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남양주 사릉의 도로변에서 목격한 차량입니다.


병문안을 위해 방문했던 동네인데, 도로변에 세워진 타우너가 가장 먼저 눈에 띄었습니다. 결국 지나던 길 차를 세우고 다마스와 라보보다 훨신 더 보기 힘든 타우너를 잠시 탐구하고 지나가기로 합니다.


1991년 대우국민차가 스즈키(SUZUKI)의 2세대 에브리와 8세대 캐리를 다마스와 라보라는 이름으로 라이센스 생산을 개시합니다. 당시 국내에 존재하지 않던 개념의 경상용차를 도입하여 나름 괜찮은 판매고를 올리는 모습을 지켜보던 기아자동차의 상용차 생산 전문 자회사 아시아자동차 역시 경상용차를 출시하기로 결정합니다.


1992년 5월 일본 다이하츠(DAIHATSU)의 7세대 하이제트(HIJET) 밴과 트럭을 현지화하여 광주공장에서 생산하게 된 차량이 바로 타우너입니다. 그렇게 생산을 시작하여 자잘한 부분변경만 거친 뒤 아시아자동차가 기아자동차에 흡수합병되어 현대자동차그룹에 인수된 이후 2002년 10월 환경규제 강화로 단종되게 됩니다. 단종 이후로는 지금껏 다마스와 라보가 경쟁차종 없이 경상용차 시장을 독점하고 있고, 경상용차의 특성상 내구성이 좋지 못해 폐차가 되거나 수출길에 올라 사실상 구형 다마스와 라보보다 훨씬 더 보기 힘든 차량이 되었지요.



지난 2017년에 초기형 가솔린 모델을 폐차장에서 목격하기도 했습니다만, 그 이후 오랜만에 보네요.


오늘의 주인공은 아시아자동차가 기아자동차에 완전히 병합된 1999년 7월에 등록된 차량입니다. 



도로 한복판. 폐차장 광고용 차량으로 사용중인 다마스입니다.


대부분 이런 차량들은 압류가 많아 말소를 하지 못하거나 여러 사유로 인해 말소가 불가한 차량들입니다. 차령초과말소를 진행하거나 압류나 저당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광고판으로 사용을 하는 것이죠.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어 말소가 가능한 경우 소리소문없이 사라지게 되는데, 이 타우너 역시 그러한 서류상의 문제로 도로 위에서 쓸쓸한 말년을 보내고 있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녹색 전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습니다. 

97년부터 타우너의 그릴이 변경되었는데, 그 이후 출시된 차량입니다.


번호판이 차량 우측에 붙어 일본차의 흔적은 남아있습니다. 년식변경과 함께 자잘한 부분들이 변경되었습니다만, 이러한 체크무니의 그릴은 아시아자동차가 기아자동차와 동일한 로고를 사용하게 된 97년부터 적용되어 2002년 단종 직전까지 적용되었습니다. 물론 기아자동차의 로고를 사용하게 된 이후에도 아시아자동차라는 상호의 법인은 존속되었으나 1999년 6월 30일자로 기아자동차에 합병되었기에 99년 7월에 등록된 이 차량은 생산일자를 알 수 없기에 기아자동차 타우너로 표기하였습니다.



타우너의 실내가 훤히 보입니다.


운전석과 조수석 그리고 2열 3열 시트의 패턴이 모두 다릅니다. 운전석은 등받이에만 시트커버가 씌워진 직물시트. 조수석과 2열은 비닐 재질의 시트. 3열은 직물시트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 각기 다른 패턴의 시트가 장착되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핸들과 오디오 위치를 제외하고는 7세대 하이제트와 큰 차이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타우너의 경우 오디오가 대시보드 상단에 위치하는데 이 차량은 탈거가 된 상태네요. 하이제트의 경우 오디오가 공조기 아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만, 타우너는 그 자리에 파워윈도우 스위치와 여러 스위치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타우너와 하이제트의 미묘한 차이점이 이렇게 하나 둘 보이긴 하는군요.



2열 좌석은 접혀있고, 3열 좌석은 펼쳐져 있습니다.


이 비좁은 차량은 그래도 형식상 7인승입니다. 물론 안전은 장담 못합니다.



리어와이퍼는 빠져 도망간 상태. 폐차 광고 스티커가 크게 붙어있습니다.


나름 고급사양인 SDX입니다. 그런고로 경상용차에는 어울리지 않게 여겨질지도 모르는 리어스포일러와 보조제동등이 적용되어 훨씬 더 멋진 자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봐야 경상용차라 생각할지 몰라도 있고 없고의 기능상 차이보다 미관상의 차이는 꽤 큰 편입니다.



자세히 살펴본 리어스포일러와 보조제동등.


상단의 색이 좀 바랜걸 제외한다면 크게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물론 굴러다니는 타우너의 개체수가 많다면 나름 비싼 가격에 동호인들에게 거래가 될텐데 사실상 거의 다 전멸한 차량인지라 찾는 사람도 없을테고 결국 폐기되거나 잘 해봐야 부품으로 수출이나 나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범처 좌측에 매우 작은 후진등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당시 다마스는 구형이여도 양쪽 후미등에 후진등이 부착되어 있어 나름 후진시 시야 확보에 문제가 없었으나, 타우너는 단종 직전까지도 이와 같은 형태의 후진등을 고수하였습니다. 물론 2005년 출시된 올뉴마티즈 역시 출시 당시에는 범퍼 좌측 하단에 후미등이 하나만 적용되었습니다만, 건설교통부의 안전기준 강화로 인해 리콜조치가 단행되었고 이후 개선형 차량부터는 범퍼에 후미등이 두개가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여러 스티커가 덕지덕지 붙어있는 좌측면과 달리 우측면은 매우 깔끔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우측으로는 큰 도로에 합류하는 차량들이 지나가는지라 사실상 뒤돌아 볼 일이 거의 없기에 우측에는 아무런 스티커도 붙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물론 이 자리가 아니라 다른 자리로 이동하여 세워두는 일을 염두했더라면 사방팔방으로 붙여놓았겠지요.



휠은 조수석 전륜을 제외하고는 모두 청색으로 도색이 되어있었습니다.


나름 영롱한 컬러입니다. 어떤 이유에서 스틸휠을 도색하였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차를 꾸미는 작업에 관심이 있었던 차주의 작품으로 보입니다. 그랬던 시기를 뒤로하고 지금은 그저 폐차 광고용 방치차로 여생을 보내고 있습니다.



사제 썬루프의 모습도 보입니다.


수동 썬루프입니다. 지금이야 순정 옵션으로도 썬루프가 대중화되었습니다만, 그 당시만 하더라도 거의 사제 튜닝 품목 중 하나였습니다. 이후 물이 새거나 문제가 생겨 실리콘으로 막아두는 경우가 다수였지만 말이죠.



미미하지만 출고 당시 부착되었던 바코드의 흔적도 남아있습니다.



유리에는 옛 아시아자동차 로고가 박혀있네요.


물론 아시아자동차 역시 기아자동차와 동일한 로고를 사용한지 대략 2년정도 지난 시점에서의 아시아자동차 로고입니다. 따로 기아로 변경하지 않고 계속 생산한듯 보이네요.


그렇게 도로 위에서 여생을 보내던 7인승 타우너. 언젠가는 사라지겠지만 사라지는 그날까지 부디 괴한에 의한 파손 없이 잘 서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서해안을 대표하는 대천해수욕장으로 유명한 보령시의 보령버스터미널 시간표입니다.


정식 명칭은 보령공영종합터미널. 보령의 시청 소재지인 대천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강남 센트럴시티를 오고가는 고속버스와 그 외 각지를 잇는 시외버스 그리고 시내버스까지 이 터미널에 진입하여 종합터미널이라는 명칭을 사용합니다. 여름 휴가철이면 대천해수욕장을 가기 위해 찾는 사람들이 있고, 전주와 광주에서도 여름 한정으로 이 터미널로 오는 노선을 운행하기도 합니다.


여튼 코로나바이러스의 여파로 일부 버스의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만, 그럭저럭 돌아가고 있습니다.



지상 2층 규모의 2000년대 중반 지어진 지상 2층 규모의 터미널입니다.


그럭저럭 관리가 되는 느낌입니다만, 대략 15년의 세월을 버티며 생겨난 흔적들은 뭐 어쩔 수 없어보이네요. 생각보다 큰 규모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출구 방향으로는 택시승강장이 있고, 생각보다 입구를 찾기 힘든 구조입니다.



내부는 뭐 평범한 터미널 수준입니다.


여러 지역 업체의 광고판과 대합실 매표소 그리고 주변 매점과 식당이 성업중에 있습니다.



각 지역별 시간표와 함께 소요시간과 경유지가 매우 친절하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확대됩니다.


강남(센트럴시티)행 직통노선은 2시간이 소요되며 20분~1시간 간격으로 9시 30분까지 운행됩니다.

남부터미널(서초동)행 노선은 광천,홍성,내포를 경유하여 2시간 50분이 소요되며 일 2회 운행합니다.

동서울터미널(구의동)행 노선 역시 광천,홍성,내포,고덕 경유 3시간 10분이 소요되며 일 6회 운행합니다.

인천터미널행 노선은 1시간 50분이 소요되는 직통은 일 7회. 3시간이 결리는 완행은 일 2회 운행합니다.

성남터미널(야탑)행도 광천,홍성,내포,고덕까지 경유하여 2시간 40분이 소요되며 일 4회 운행합니다.

안양역과 부천터미널을 거쳐 고양터미널(백석동)으로 들어가는 버스는 일 5회 운행됩니다.

안산터미널행 역시 광천,홍성,내포를 거쳐 3시간 10분이 소요되며 일 3회 운행합니다.

김포공항 경유 일 2회, 인천공항 직통 일 6회 운행합니다.


홍성,예산,아산,천안행. 홍성종착 1회. 광천,홍성,내포경유 일 5회. 청양,운곡,신양경유 일 2회.

서천,장항,군산행. 군산 직통 일 9회 서천경유 일 4회.

해미,서산,태안행. 일 7회. 갈산,고북경유 일 2회.



우측은 요금표입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확대됩니다.


대전 무정차. 대전복합터미널(동대전)행 일 9회 1시간 50분 소요. 서대전행 일 8회 1시간 40분 소요.

청양,공주,유성,대전행. 청양종착 일 1회. 서대전행 일 10회. 동대전행 일 6회.

부여 논산 서대전행. 일 6회. 내포신도시 경유 당진행 일 2회.



코로나19 여파로 운행이 임시 중단된 노선의 시간표입니다.


강남행 5회, 인천공항행 4회, 인천터미널행 2회. 안양/부천/고양행은 모든 차량의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이후 사태가 진정된다면 운행이 재개되겠죠. 당장은 운행을 하지 않는다 하니 참고하시어 불편 없이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