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에 교체했던 신품 중국산타이어 말고, 지난 5월에 교체했던 중국산 타이어가 자꾸 말성이네요.

 

지난 9월에 억까 아닌 억까를 당했던 자리 바로 옆에 있던 타이어도 결국 문제가 생겨 내리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중국산 치곤 많이 쓰는 청산타이어였는데, 남들은 청산 잘 쓴다고 하는데 저는 가운데 트래드가 아예 뜯겨나가는 현상을 경험하게 되었네요.

 

2024.05.26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프리마 카고 5축 타이어 교체 - 중국산 12R 22.5 청산(CHENGSHAN) CFH136

 

프리마 카고 5축 타이어 교체 - 중국산 12R 22.5 청산(CHENGSHAN) CFH136

지난해 7월에 5축 타이어를 중국산이자 금호타이어의 모기업인 더블스타 아오센으로 교체했었는데 10개월 조금 넘기고 거의 다 닳아 또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솔직히 조금 더 타도 될 수준으

www.tisdory.com

 

2024.09.2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프리마 카고 타이어 찢어짐 + BF Goodrich 타이어로 교체

 

프리마 카고 타이어 찢어짐 + BF Goodrich 타이어로 교체

이날 웬일로 아침부터 딱딱 맞아떨어지나 싶었더니.. 오후에 억까를 당하고 돌아와서 상차를 하고 나오는데 5축에서 에어 새는 소리가 꽤 크게 나더군요. 또 어디서 에어가 새는 건가 하고 봤더

www.tisdory.com

 

이게 왜 이러지?

 

이상이 있음을 감지하게 된 것은 지난 화요일 아침이었습니다.

 

전날 하차지에 와서 잠을 자고 일어나서 방수포를 걷으며 타이어를 확인하는데 5축 좌측 타이어의 상태가 이렇더군요. 전부터 뭔가 날카로운걸 밟아서 트래드에 살짝 찍힌 자국이 있긴 했습니다만, 그 찍힌 자국이 있던 자리부터 트래드가 그냥 뜯어져서 떨어져 나갔습니다.

 

뭐 그럴만한 일이 있나? 싶어 돌아보니 전날 현장에 가서 빈차로 노치 넣고 언덕을 겨우 올라오긴 했었는데, 그렇게 스베루를 치지도 않았었고 문제가 있었다면 전날 분명 확인을 했겠지요. 아마 전날 있었던 일이 원인은 아닌듯 보이더군요. 뭐 일단 왔으니 하차를 마치고 복귀하여 바로 타이어집으로 향했습니다.

 

다시 확인한 타이어 상태

 

타이어 상태를 다시 확인하고, 카센터에 킵해둔 타이어로 교체합니다.

물론 제가 빼놓은 타이어들은 다 폐급이라 버렸고, 다른 차에서 내린 타이어입니다.

 

정 가운데 트래드만 딱 떨어져 나갔고 트래드 안쪽의 철심이 적나라하게 보였습니다. 이렇게 떨어져 나가는 모습도 처음 보는데 이 상태로 더 운행했다간 뭐 하나 잘못 밟으면 무조건 타이어가 터져버리겠지요. 아예 보질 못했다면 모르겠는데 타이어의 트래드가 이렇게까지 뜯겨나간 모습을 확인한 이상 바로 교체해줍니다.

 

그간 사용했던 중국산 타이어들이 큰 문제가 없어서 나름대로 중국산도 쓸만 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생소한 중국산도 아니고 청산타이어처럼 많이들 쓰는 중국산 타이어가 이래 되어버리니 어이가 없습니다. 중국산도 복불복인지 싶고요. 중국몽 함께 한 결과물이 이렇습니다.

 

그나저나 9월에 교체했던 안쪽 타이어도 꽤 많이 닳았네요. 10월 내내 초여름 수준의 날씨가 계속 이어지다 보니 타이어도 꽤 많이 닳았습니다.

 

교체될 미쉐린 타이어

 

제 돈 주곤 비싸서 끼우지 못할 미쉐린 타이어를 비록 스페어로나마 끼워봅니다.

 

약 40% 남은 타이어인데 겨울이야 크게 닳지 않아 걱정 없이 탈 수 있겠습니다만 아마 날이 풀려서 따뜻해지기 시작하면 금방 닳아서 또 교체해야 할겁니다. 그때 가서 어느 정도 트래드가 남은 반대편 두짝을 예비용으로 빼놓고 1,2축 타이어를 뒤로 보내던지 또 새 타이어를 끼우던지 해야겠지요.

 

장착 완료

 

그렇게 5월에 장착한 중국산 타이어 네짝 중 두짝을 버렸습니다.

 

그나마 멀쩡하게 버티는 반대편 두짝도 그렇고 부디 스페어로 끼운 타이어들은 큰 탈 없이 탈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새 타이어를 끼우고 제 수명까지 타지 못하고 내리는 일이 가장 돈도 아깝고 슬픕니다. 그나마 장착비만 내고 끝내긴 했습니다만, 장착비마저도 아깝게 느껴지는건 사실이지요.

 

여튼 그렇게 어이없이 트래드가 뜯겨 나가서 또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이날 웬일로 아침부터 딱딱 맞아떨어지나 싶었더니..

 

오후에 억까를 당하고 돌아와서 상차를 하고 나오는데 5축에서 에어 새는 소리가 꽤 크게 나더군요. 또 어디서 에어가 새는 건가 하고 봤더니만, 좌측 5축 안쪽 타이어에 철근이 박혀있었습니다.

 

사이드월에 철근이 박혔다

 

이렇게 박으라고 해도 쉽게 박지는 못 할 겁니다.

 

그나마 두 개 다 터지지 않은 것이 다행인지 모르겠네요. 대체 어떻게 철근을 밟아야 타이어에 저렇게 박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손으로 철근을 뽑으려 해도 뽑히지 않고요. 지난 5월에 교체했던 타이인데 겨우 네 달 타고 버리게 되었습니다. 많이 닳은 타이어가 저렇게 찢어진다 해도 기분이 참 더러운데, 이제 겨우 네 달. 여름만 버틴 타이어가 저렇게 되어 버리니 기분이 좋을 리가 있을까요.

 

항상 그랬습니다. 웬일로 운이 좋다 싶으면 그에 상응하는 재수 없는 일이 벌어지더군요. 웬일로 잘 풀린다 생각되면 또 어떤 억까가 나를 기다리고 있는지 항상 경계하게 됩니다.

 

2024.05.26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프리마 카고 5축 타이어 교체 - 중국산 12R 22.5 청산(CHENGSHAN) CFH136

 

프리마 카고 5축 타이어 교체 - 중국산 12R 22.5 청산(CHENGSHAN) CFH136

지난해 7월에 5축 타이어를 중국산이자 금호타이어의 모기업인 더블스타 아오센으로 교체했었는데 10개월 조금 넘기고 거의 다 닳아 또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솔직히 조금 더 타도 될 수준으

www.tisdory.com

 

주저앉은 타이어

 

복륜이라 타이어 하나가 터지더라도 공차라면 주행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만..

적차된 상태라 그런지 멀쩡한 타이어에 하중이 몰리며 이런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번 케이스는 바로 바람이 빠지는 소리가 들려 타이어가 찢어졌다는 사실을 인지했지만, 안쪽 타이어에 미세한 펑크가 발생한 경우 이렇게 바깥쪽 타이어가 눌려있는 모습을 보고 알아차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타이어집들이 모두 문을 닫은 상태에서 이렇게 된지라 가게 앞에 차를 세우고 아침 오픈시간에 맞춰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스페어로 타이어집에 보관해 둔 타이어가 있어 장착비만 내고 약 50% 정도 남은 BF 굿리치 타이어를 장착했습니다.

 

탈거

 

바로 작키로 차를 들고 5축 안쪽 휠타이어를 탈거합니다.

 

안쪽에 철근이 박힌 휠타이어를 탈거하여 탈착기로 가져갑니다.

 

탈착

 

5월에 교체한 뒤 더운 여름을 버티고 아직 트래드가 70% 이상 남아있는데 버려야 합니다.

 

측면 찍힘이나 찢어짐은 답이 없습니다. 승용차 타이어나 트럭 버스용 타이어나 마찬가지입니다.

 

철근이 꽤 깊숙히 박혔다.

 

철근이 꽤 깊숙하게 박혔습니다.

 

타이어를 탈착 하고도 쉽사리 빠지지 않습니다. 바깥에서 보이는 철근의 길이보다 타이어 안쪽에 박혀있는 철근의 길이가 더 깁니다. 이게 대체 어떻게 박혀있는지, 그나마 다행으로 하나만 건드리고 말았는지 보면 볼수록 미스터리 그 자체입니다.

 

대신 장착될 타이어

 

대신 장착될 타이어의 트래드는 약 50% 정도 남아있습니다.

 

눈물 납니다. 그나마 보관해 둔 타이어치곤 트래드가 가장 많이 남아있는 물건입니다.

 

공기압 주입

 

이런 고급 수입 타이어는 이렇게 땜빵용으로나 끼워보네요.

 

미쉐린이나 BFG 같은 고급 수입 타이어는 이렇게 땜빵용으로나 끼워봅니다. 제 돈 주고 구입한 타이어라고 해봐야 죄다 중국산 아니면 전륜용 국산입니다. 비싼 타이어가 상대적으로 덜 닳고 승차감도 좋습니다만, 당장 때려치우고 싶은 마당에 올 겨울 월동준비 시점에서도 비싼 타이어를 끼울 일은 없겠죠.

 

억까의 끝은 과연 어디일까요. 남들 1년에 한 번 겪을 일을 저는 한 달에 한 번 겪고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