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코'에 해당되는 글 78건

반응형

 

차고에만 박혀있는 차량. 따로 언급은 안했지만 애칭은 고수레.

 

귀한 손님이 오셔서 꺼내서 한바퀴 타고 들어왔는데 주차하려고 보니 이상한 소리가 납니다. 시동을 꺼도 뭔가 닿는듯한 이상한 소리가 계속 이어지더군요. 이게 도무지 무슨 소리인지 본넷을 열어 엔진룸을 확인합니다. 흔히 라디에이터팬 냉각팬 엔진팬이라 부르는 그쪽에서 소리가 나더군요.

 

영상

영상에서 보다시피 팬 날개가 제대로 돌지 않고 흔들거립니다.

 

이상한 소리는 혼자 겉도는 모터 소리였고, 일단 배터리 (-)단자를 분리하여 상황을 종료시킵니다. 아무래도 냉각수를 식혀주는 팬에 문제가 생긴 느낌입니다. 헐렁거리는 모습을 보아하니 아마 고정 너트가 빠진 느낌인데, 이걸 뭐 당장 냅두기도 뭐하고 팬을 탈거하여 상황을 파악해보기로 합니다.

 

도크가 있어 편리하다.

일단 차를 정방향으로 세워 도크에 들어갈 공간을 확보합니다.

 

티코의 라디에이터팬은 위에서 볼트 두개를, 아래에서 볼트 하나를 풀어서 분리해줍니다. 말로만 하자면 매우 쉽습니다만, 아래에 보이는 볼트를 풀기 위해 차를 띄우고 커버를 탈거하는 생각보다 번거로운 작업이 존재하는지라 차를 띄우기 어려운 환경이라면 괜히 고생하느니 그냥 카센터에 가는게 낫습니다.

 

이럴때 사용하려고 열심히 치워뒀던 도크가 있으니 직접 뜯어 상태를 확인해보기로 합니다.

 

다시 확인

다시 확인합니다. 누가 봐도 팬의 상태가 정상적이지는 않습니다.

 

약 두시간정도 차량을 냉각시키고 본격적으로 탈거작업에 나섭니다. 

 

빨간 사각형이 탈거해야할 위치

빨간 사각형으로 보이는 부분이 탈거하거나 풀어줘야하는 자리입니다.

 

먼저 양쪽 끝의 10미리 볼트를 풀어줍니다. 물론 이 두 볼트만 풀어준다고 빠지지는 않습니다. 라디에이터 호스를 고정하는 호스반도의 십자볼트가 엔진팬을 함께 고정하고 있습니다. 살짝 풀어서 돌려주고 호스를 빼주면 됩니다. 냉각수가 흘러나오니 주의합니다. 이후 보조통으로 가는 호스는 팬치나 니퍼를 이용하여 호스반도를 풀어준 뒤 탈거하면 됩니다.

 

도크 밑으로 내려온다.

도크 아래가 지랄맞습니다. 철제 언더커버를 탈거해야 손이 들어갈 공간이 나옵니다.

사진상에 보이는 냉각팬 고정 볼트와 호스밴드 십자볼트를 풀어줍니다.

 

배터리가 없어 충전기에 물려놓고 볼트의 탈거를 진행했습니다. 볼트를 탈거한 뒤 커넥터를 탈거하고 위에서 잡아당겨주면 냉각팬만 탈거됩니다.

 

낡은 차고에서 정비중

낡은 차고에서 정비를 이어갑니다.

 

중간에 미친듯이 비가 내리긴 했습니다만, 작업에 문제는 없습니다. 빨리 콤프레샤 하나 가져다 놓고 에어공구 써야지 손으로 돌리고 풀고 올라갔다 내려갔다 참 귀찮네요. 여튼 낡은 차고에서 고쳐지는 낡은 티코의 모습입니다.

 

탈거된 냉각팬

탈거된 냉각팬입니다. 멀쩡하게 보입니다만, 너트가 없네요.

 

고로 너트가 빠져 도망갔고, 그로 인해 유격이 생긴데다가 모터가 돌아가며 약간의 손상이 생겼습니다. 손으로 돌려보면 뭔가 닿는 느낌이고 제대로 돌아가지 않네요. 당장 원인만 확인했지 교체할 부품이 없으니 일단은 임시방편으로 너트를 물려 다시 끼우기로 합니다.

 

너트를 끼워준다.

너트를 끼워주고 조립합니다.

유격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만, 팬이 휘어서 뭔가 사각사각 소리가 계속 나네요.

 

티코용 팬은 두종류가 나오는지라 잘못사면 꽝이니 비품 앗세이를 구입하기로 합니다. 비품 앗세이가 4만원대. 정품은 커버 날개 모터 따로 나오는데 다 합하면 8만원 수준이네요. 창렬한 대우차 부품인지라 도태거지는 비품을 쓰기로 합니다. 지금것도 모터랑 커버는 멀쩡하니 놔두면 될테고요.

 

여튼 비품 냉각팬을 구입하여 다시 작업하기로 합니다. 나중에 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전체도장 이후 사실상 좋은 자리에 모셔놓고 사실상 없다고 생각하고 다니는 소장용 차량.

 

매주 시동만 걸어주고 간간히 기분내러 나들이 다녀오는거 말곤 모셔두는 차량입니다. 차고 역시 대대적인 보수를 거쳤지만 문틈 사이로 먼지가 들어와 차량이 더러워져 주기적으로 닦아줘야 합니다. 오랜만에 세차장으로 몰고 가서 깔끔하게 닦아주고, 플래그쉽 자리를 지키던 크리스탈 퀵 코트보다 훨씬 우수한 성능을 자랑하는 불스원의 새로운 플래그쉽 물왁스 '크리스탈 퀵 코트 엑스트라 샤인'을 시공해보기로 합시다. 

 

평범하게 세차 완료.

먼저 평범하게 세차를 마쳤습니다.

크리스탈 퀵 코트 엑스트라 샤인의 사용방법은 기존의 크리스탈 퀵 코트와 동일합니다.

 

똑같이 세차를 마치고 물기를 모두 제거한 뒤 도포해주는 방식이지요. 자칭 전문 디테일러들이 가진 사대주의로 싸구려 취급에 저평가되던 불스원 제품입니다만, 크리스탈 퀵 코트는 이름도 어려운 수입 제품들보다 월등한 성능과 저렴한 가격으로 그런 편견을 깨부수는데 큰 역할을 해냈습니다. 저 역시 사용해본 바 대단한 코팅 지속력을 느꼈던 제품입니다.

 

엑스트라 샤인은 그러한 자칭 전문 디테일러들의 감성을 충분히 자극하는 어렵고 긴 이름과 함께 크리스탈 퀵 코트 대비 고농축 유리계 폴리머 유효성분이 30%나 더 첨가되었고 천연 카나우바 왁스 성분을 배합했다고 합니다. 그냥 쉽게 얘기해서 좋다고 이름난 제품보다 더 좋다고 보면 됩니다.

 

물기 먼저 제거해준다

드라잉타올을 동원해 물기를 제거해줍니다.

 

어느정도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시공해도 된다고 합니다만, 제 성능 발휘를 위해서는 물기를 꼼꼼하게 제거해줍니다. 차체가 작아 물기 제거작업은 매우 수월하게 진행됩니다. 물기라고는 남아있지 않은 차체 표면에 '크리스탈 퀵 코트 엑스트라 샤인'을 뿌리기 위해 준비합니다.

 

준비물은 이름도 긴 '크리스탈 퀵 코트 엑스트라 샤인'과 그 귀한 용액을 도포한 뒤 닦아낼 버핑용 타올만 있으면 됩니다. 혹시몰라 버핑용 타올을 두개 준비했습니다만, 금방 젖어버리더군요. 뭐 작은차에도 두개의 타올을 사용했으니 더 큰 차량이라면 여러장 준비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생겼습니다.

기존 크리스탈 코트 제품군이 대부분 밝고 파란 톤을 자랑했었죠.

다만 오프라인 전용상품인 크리스탈 퀵 코트 엑스트라 샤인은 진한 회색입니다.

 

온라인에서는 구할 수 없습니다. 시골 냄새까지 걸러주는 넘사벽급 성능을 자랑하는 향균필터가 가격은 조금 비싸지만 일반 매장이 아닌 불스원 매대가 입점한 정비소에서만 판매하는 오프라인 제품임을 감안하면 최상위 제품군은 오프라인에서만 판매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에서 주로 판매하는 제품이라 해도 기존 크리스탈 퀵 코트 대비 월등한 성능을 가졌다는 문구를 눈에 잘 띄는 스티커를 붙여 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으리라 여겨집니다.

 

넓게 잘 뿌려주고 닦아주면 끝.

시공 역시 매우 쉽습니다. 다만 용액의 냄새는 사람마다 호불호가 갈릴만한 느낌입니다.

 

용액의 냄새에서 호불호가 갈리리라 예상됩니다. 저 역시 퀵 코트에서는 용액의 냄새가 나쁘다는 생각은 그닥 없었는데, 이 제품의 냄새는 약간 역하게 느껴지더군요. 그래도 금방 사라지니 시공에는 별다른 지장은  없었습니다. 역시 시공방법도 물왁스를 차체에 도포하고 닦아주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버핑타올의 양면을 잘 활용하여 꼼꼼하게 닦아줍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잘 뿌려주고 잘 닦는다.

잘 뿌려주고 잘 닦기를 반복합니다.

 

역시 차량이 작아 금방 끝납니다. 다만 잘 닦았다고 생각해도 약간의 얼룩이 생기더군요. 다시 닦아주니 사라집니다. 앞으로 물만 뿌려 먼지만 제거해줘도 코팅이 지속되어 계속 깔끔한 상태를 유지하리라 생각됩니다. 더위가 꺾이고 세차하기 좋은 날씨로 바뀐다면 다시금 뿌려주기로 합시다.

 

세차를 마쳤다.

그렇게 세차를 마쳤습니다.

 

크리스탈 퀵 코트 엑스트라 샤인과 함께 깔끔하고 영롱한 신차급 도색을 앞으로도 오래오래 유지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여러분도 세차장이나 정비소의 불스원 매대에서 이 제품을 보신다면 꼭 구매하셔서 사용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본 포스팅은 불스원으로부터 무상으로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