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산 18번째 엔진오일 교체입니다.

 

이번에는 직접 차고에서 엔진오일을 내리려고 하다가 막상 차고 안에 세워둔 차를 빼고 삼각떼를 딱 도크에 집어넣고 보니 오일필터 하우징을 분해하는 27mm 복스가 없더군요. 그래서 그냥 엔진오일과 필터를 가지고 다니다가 마침 들어갈 일이 생긴 내포현대서비스에서 교체했습니다.

 

보통 7,000km를 교체주기로 잡고 교체하는데, 그보다 500km 더 탔습니다.

 

2019.0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첫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03.0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0304 더 뉴 아반떼 펑크수리 + 엔진오일 교환

2019.05.2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디젤 엔진오일 교환 + 현대블루핸즈 홍성오관점

2019.08.1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19.10.1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1011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12.0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배터리점검 + 내포현대서비스

2020.02.0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130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오일누유

2020.03.3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330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20.05.2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527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0.07.2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보증수리(헤드램프 교체)+블루기본점검+브레이크액 교체

2020.09.0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903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0.10.24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DCT 미션오일+중국산 타이어 교체

2020.12.1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1216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내포현대서비스)

2021.02.1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0215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내포현대서비스

2021.04.10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0409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연료필터 교체

2021.06.0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블루기본점검

2021.07.22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점심시간에 차를 던져놓고 온다.

점심시간에 차를 던져놓고 일을 보러 갑니다.

다른곳에 세워둔 젠트라를 집에 가져다 놓고 킥보드를 타고 오니 한참 작업이 진행중이더군요.

 

그동안 물어본다고 하고 까먹었던 DCT 클러치 마모량 확인을 부탁하고, 요 근래들어 자꾸 공기압이 빠지는 운전석 앞바퀴도 봐달라고 했습니다. 이제 13만km를 넘겼는데, 냉간 출발시 1단에서 조금 떨리는 증상이 어쩌다 한번 나타나기 시작하더군요. 잔여량은 65% 70%정도 남았다고 합니다.

 

찾다보면 7단 DCT 무상수리 관련된 포스팅을 보면 보증 만료를 앞두고 변속기를 교체해달라고 생떼를 써서 교체했다고 혹은 보증기간 내 두번이고 세번이고 바꿨다고 자랑스럽게 쓰신 분들도 계시지만, 작년에도 80% 후반대의 마모율을 보였기에 마땅히 신경쓰지 않고 다녔습니다.

 

변속이 안될정도로 클러치를 태우려면 20만km 가까이 타야 된다는 얘기겠지요.

 

잘 타다가 그즈음에 싹 고치면 될겁니다. 수리 관련 게시물을 찾아보면 10만 언저리에서 수리하는 경우가 종종 보입니다만, 병적으로 관리하는 분들도 제 주행거리 수준이면 잘 타야 70~75%정도의 마모율을 보이는듯 하네요. 문제 많은 변속기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아주 못써먹을 하자품은 아닌 느낌입니다.

 

리프트에 올라갔다.

차는 리프트에 올라가 있습니다.

 

엔진오일 교체작업은 제가 오기 전 다 끝나서 보지 못했고, 펑크를 찾았다고 보여주더군요. 공기압을 60 이상으로 채운 뒤 분무기로 워셔액을 뿌리니 바람이 새는 자리를 찾았다고 합니다. 그동안 긴급출동을 불러도 멀쩡하다고 제대로 찾아내지 못했고, 공기압을 채워두면 처음에는 보름. 이후에는 일주일이면 공기압 경고등이 들어오곤 했습니다.

 

그렇게 하나를 찾아 지렁이를 박았고 또 하나를 찾았다고 지렁이를 무려 두개나 박았습니다. 이전에도 그랬듯 지렁이를 박은 자리가 마모된다면 지렁이도 같이 닳아서 그 자리로 공기압이 계속 빠지겠지요. 차라리 그쯤가서는 타이어 교체를 고려하던지 해야겠습니다.

 

결제완료

지렁이값은 추가를 안한건지 26,000원만 결제하고 왔습니다.

 

그동안은 엔진오일만 구입해서 갔는데, 이번에 엔진오일을 구입한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에어크리너와 오일필터는 블루핸즈에서 판매하는 가격과 동일하더군요. 그래서 내내 배송비 들여 구입하는 김에 자가교체를 하겠다며 같이 구입했었습니다.

 

대략적으로 엔진오일과 소모품을 블루핸즈에서 구입하여 교체하는 비용보다 인터넷으로 부품을 구입한 뒤 공임만 주고 교체하는 방법이 대략 1만원정도 절약됩니다. 공임나라처럼 저렴한 공임으로 홍보하는 카센터를 찾아가면 이보다 5~6000원정도 더 절감이 가능하겠죠.

 

다음에는 14만km 즈음에서 교체하겠네.

다음에는 14만km에 임박해서 교체하겠군요.

 

확실히 7000km 타고 와서는 내내 같은 엔진오일인지라 엔진오일을 교체했다는 느낌이 그닥 없었습니다만, 그보다 500km 이상 더 타고 와서 교체하니 엔진오일을 교체했다는 느낌이 확 오네요. 그리고 평소 배부해주던 스티커와 동일한데 왜 전화번호를 수정테이프로 가렸는지 알고싶어 수정테이프를 긁어봤습니다. 

 

광주 운남점 스티커다.

졸지에 광주까지 가서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온 사람이 된 느낌입니다.

 

아마 이런 스티커를 제작하는 업체에서 샘플용으로 놓고 간 물건일겁니다. 그래서 200km 이상 떨어진 광주 운남점의 스티커가 이곳에 있겠죠. 이왕 지운김에 광주에서 교체했다고 생각하고 앞유리에 붙여놓았습니다. 다음 교체는 10월 말 혹은 11월 초로 예상되네요. 그때까지 무탈히 달려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달로 기억하네요. 갑자기 공기압이 빠져 경고등이 들어와 긴급출동을 불러 지렁이를 떼웠었죠. 



그리고 대략 4~50일이 지난 시점에 와서 또 공기압 경고등이 뜹니다. 아 물론 같은 타이어에서 말이죠. 지렁이를 박았던 자리가 아마 다 닳아서 또 공기가 새는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지렁이를 박았던 자리에서 아마 또 새지 않나 싶네요.


대략 39-40에 가까운 공기압이 표시되고 있지만, 우측 앞바퀴만 저압이라는 문구가 떠 있습니다. 진짜 타이어를 교체하던지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가뜩이나 재앙급 불경기에 돈도 없고 하다보니 막상 며칠 또 지렁이 박고 타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여튼 학원에 거의 다 와서 경고등이 들어왔던지라, 살살 학원에 가서 세워놓습니다.



뭐 육안상으로는 크게 문제점이 보이지 않습니다만, 안쪽에 지렁이를 박았던 자리에서 새고 있습니다.


일단 점심을 먹으러 나가야 하니 긴급출동을 부르기로 합니다. 긴급출동을 불러 또 지렁이를 다시 박고 밥을 먹으러 나가야죠. 타이어를 교체하자니 무엇보다 2월부터 계속 적자를 보며 모아둔 돈을 까먹고 사는 한푼이 아까운 거지새끼고, 아직 트레드가 가을까지 버틸 수준으로 남아있어 아깝기도 합니다. 


답은 타이어를 도리까이(탈거 후 재장착)하여 트레드가 얼추 다 닳을때까지 쓰는 방법 말곤 없어보이지요.



지루한 기다림 끝에 긴급출동 렉카가 도착하였습니다.


상황을 설명하고 어디서 바람이 빠지는지 확인해보기로 합니다. 주차된 차를 뒤로 살살 빼면서 바람이 새는 부분을 확인합니다. 다른 타이어의 공기압도 겸사겸사 체크합니다.



미세하게 공기압이 빠지는 모습이 보입니다.


대략 7,000km를 타고 지렁이가 다 닳아버렸습니다. 원인은 편마모인데, 가장 싸게 해결하는 방법은 도리까이가 아닐까 싶습니다. 트레드를 봐도 무조건 가을까지는 탈 수 있을테니 가을에 타이어를 교체하며 휠 얼라인먼트를 다시 보는게 가장 경제적으로 탈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작년만 같아도 그냥 크게 마음먹고 휠 얼라인먼트를 보고 타이어를 교체하겠습니다만, 올해는 너무 힘듭니다. 그냥 하루하루가 재앙이라 그럴 여유조차 없습니다.



여튼 지렁이를 다시 박았습니다.


가까이에서 보면 트레드가 얼마 남지 않은듯 보이지만, 그래도 아직 절반은 남아있습니다. 일단 지렁이를 다시 박고 타니 별다른 문제는 없네요. 또 안쪽으로 타이어를 파먹으며 얼마 타지 않은 시점에서 바람이 빠지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오일 교체와 함께 타이어의 도리까이도 필히 진행하는걸로 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