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려 우리 지역에 교황폐하께서 오신답니다!!!!!!!


천주교 신자는 아닙니다만, 가톨릭의 종교지도자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미천한 우리 지역에 방문해주신다는 사실을 정말 영광으로 생각하는 지역 주민입니다. 고로 전국에서 많은 손님들께서 당진 합덕과 우강에 방문을 해주셨는데, 좋은 기억 만들고 가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고로 오늘은 교황님께서 김대건 신부님의 생가가 있는 '솔뫼성지'에 방문을 하신다고 합니다. 제 6회 천주교 아시아청년대회 폐막미사를 집전하신다고 하네요.


고로 지역민으로써 아침 일찍부터 상황을 보기 위해 다녀왔답니다!!!




당진지역의 숙박업소로 아시아청년대회에 참여한 천주교 신자들이 도저히 커버가 되지 않아서 주변 천주교 신도들 집에서 홈스테이를 했다고 합니다.


주차장에서 차를 꺼내러 나올 때 보니 저희 아파트에서도 홈스테이를 했던 신도들이 몇 있더군요..



저희 아파트 주변까지도 버스가 잔뜩 있습니다...


버스기사님들은 알코아휠 닦고 계시고... 뭐 번호판도 전국 각지입니다.



여튼 솔뫼성지 주변으로 가 보도록 합니다.


오전 9시부터 합덕터미널부터 우강초등학교 구간이 통제가 됩니다. 물론 통제시간이 되기 전이라 직접 차를 타고 들어갔지요.



금전문제로 현재 공사 진척이 없는 우강송산지구는 주차장으로 활용됩니다...


아 물론 이날 행사를 위해서 풀도 열심히 깎아두었습니다. 공터에요.....



솔뫼성지 입구입니다. 아직 차를 통제하진 않았습니다.


방송국 차량이나 기타 관광객들 차량과 뒤섞여 솔뫼성지로 향합니다.



이 길이 정말 유명한 길이 될 줄이야.......!



가다가 보건소 자리 부근부터 막히기 시작합니다...


전경버스 수십대가 서 있는데다가 반대편 차선에 차량들이 많이 오니 뭐 어쩔 수 없죠...



흔히들 닭장차라 하죠. 물론 예전처럼 철창은 안치고 다니지만요....


버스의 숫자만큼 의경들이 깔렸습니다. 의경 여러분 고생이 많습니다..



도저히 정체 해소의 기미가 보이지 않아서 샛길로 들어옵니다.


아시아 청년대회를 위해 임시로 설치해둔 가건물이 하나 보이죠..



차를 세워두고 솔뫼성지 근처로 나옵니다. 정체가 이어집니다..



노란 옷 입은 사람들은 아시아청년대회에 참여한 청년들입니다.


물론 행사를 관리하는 당진시청 공무원들 역시 노란옷을 입고 있었지만, 이들은 다 밖에 있습니다. 노란옷 입은 청년들은 다 안에 들어 가 있구요.



솔뫼성지로 들어가는 다리서부터 차량 출입을 통제합니다.


원래는 다리 이딴거 없었는데, 70번 지방도의 합덕 우회도로를 놓으면서 저렇게 되었습니다.



이날을 위해 임시포장도 해 두었습니다. 방송국이나 통신사 차들도 여기저기 보이구요..



차 정말 많습니다;;; 다 돌아서 가지만 말이죠ㅠㅠ



솔뫼성지 입구는 정말 혼잡합니다. 허가받은 사람만 들어 갈 수 있더군요... 

일반 관광객은 저 뒤로 돌아들어 가야합니다.


여기서 허가 받은 사람이란... 노란 옷 입은 아시아청년대회 참여 청년들이나 관계자들이죠.



경찰 작전차인줄 알았는데 이동식 화장실 차량입니다.


이동식 화장실을 달고 다니는 메가트럭이 무려 세대정도나 온 것 같더군요. 대규모 시위현장에서나 볼법한 차량들이 많이 왔습니다.



일반인 관광객은 저쪽으로 돌아서 들어오라고 합니다.



청와대 경호실 소속 버스들도 보이네요... 청와대 경호원들이 쫙 깔렸습니다.


뉴스에서 대통령 움직일때마다 보이던 검은 그랜져와 코란도C도 이리저리 돌아다니구요..



솔뫼성지 바로 뒷편의 명지아파트는 도색을 새로 했습니다.


들리는 얘기로는 시에서 지원을 해 줬다고 하네요.. 원래는 녹색의 화려한 아파트였는데, 회색의 그저 그런 우중충한 아파트가 되었습니다.



우강초 방향으로 가 봅니다. 당진시청 소속 이동식 화장실 차량도 역시 와 있습니다.


경찰은 메가트럭, 당진시는 노부스네요..



솔뫼성지에 아시아청년대회 참석자들이 아닌 일반 관광객들이 들어 갈 수 있는 입구입니다.


원래는 막아두고 옆에 수녀원에 사시는 수녀님들께서나 통행하시던 문이긴 합니다만, 이날을 위해서 일반에 공개가 되었네요



교황께서는 헬기를 타고 이동하십니다. 헬기는 우강초등학교에 착륙할 예정이구요.


우강초등학교 바로 앞에 있는 청산아파트는 그럭저럭 칠이 깔끔해서 재도색은 하지 않았습니다.



교황께서 헬기에서 내려 솔뫼성지까지 쏘울을 타고 이동하시는 구간은 이렇게 깔끔합니다.


자원봉사자 분들게서 주변에 쓰레기를 수시로 줍고 계시니 이렇게 깔끔하겠죠??



우강초 입구입니다. 경찰아저씨들이 무섭게 깔려있더군요. 닭장차도 많구요...


학교로는 들어가지 못한다고 합니다만, 밖에서는 구경을 할 수 있다고 하네요.



프란치스코 교황님 당진 솔뫼성지 방문!!!


영광입니다! 교황님!!!!



우강초등학교는 헬기 이착륙장이 되기 위해 플라타너스 나무를 죄다 쳐냈고

얼마전만해도 그냥 맨 모래바닥이던 운동장은 천연잔디구장이 되었습니다.



우강초등학교도 깔끔하게 정비가 되어있네요.



벌써부터 경호원들과 경찰들이 깔려있습니다.



충남 관내 엠뷸런스들이 다 왔네!!!!!!


처음에는 스프린터 구급차가 지나가기에 그냥 사진을 찍었습니다만, 당진에 스프린터가 하나밖에 없는걸로 알고 있는데 왜 이리 많이 지나가나 하며 자세히 살펴보니 다 타지역에서 지원나온 차량들이더군요.



셔틀버스는 관광버스(신성관광)가 돌아다닙니다만, 잘못 들어온 노선버스는 이렇게ㅠㅠㅠㅠ


통행을 막는 공무원들과 기사아저씨가 실랑이를 벌이다가 결국은 미개통구간으로 돌아서 가는걸로 쇼부를 보고 버스가 이동합니다. 솔뫼를 거쳐 시골로 들어가는 버스입니다.


여튼 솔뫼는 건재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방문 이후로 종교를 초월한 전국적인 관광지로 이름을 날렸으면 좋겠네요... 당진시 만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정말 오래 기다렸습니다. 비스토 팔고 버스타고 다니던 시절보다는 그래도 시냇길로 도는 버스를 타서 그런지 멀미는 안하던데 그래도 버스타러 저 멀리 나가지 않아도 됩니다. 


버스 정류장만 가깝다면야 충분히 버스로 출퇴근 하는것도 나쁘진 않을텐데요.

여튼 당분간 시내버스와 작벌을 고할 스파크가 다시 나왔습니다!


차량을 출고받고 영 만족스럽게 작업이 되었다 말은 못하겠지만 그래도 그 존재가 다시 생겼다는게 정말 기분이 좋고 또 좋습니다. 다만....(쭉 내려보시면 아시게 될 겁니다.)



조금 틀려졌어요. 뒤에 스티커가 다 떨어져 나갔습니다ㅠㅠ


사이드스컷쪽으로는 스티커에 칠이 되어있고 여튼간에 스티커 상태도 그닥입니다. 붙인지 보름만에 사고가 나서 다시 떼어야 할 운명의 스티커입니다. 커스텀 데칼의 특성상 부분 재작업이 불가능하죠. 전체 판을 갈아엎어야 합니다.



뭐 그렇다고 칠이 아주 잘 되었다고 보기도 힘듭니다..


그냥 판금만 해달라고 얘기를 안해서 멀쩡한 윗부분까지도 판넬 전체를 뜯어서 용접하는 사고차가 되어버렸는데 오리지날 출고칠과 차이는 나지 않지만 저렇게 칠이 패인곳도 있구요. 보이지 않는 부분에 있는건 참고 넘긴다 해도 저런게 두세곳정도 됩니다. 


재시공 하려고 해도 차를 다시 맏기고 또 판을 다시 칠해야 하니 짜증만 이빠이 납니다. 여튼 차가 나온건 썩 맘에들진 않습니다. 



여튼 그새 휑 해졌습니다....


휠하우스쪽으로도 주유구 주변처럼 비슷하게 패인곳이 두군데 있구요. 뒷문 열어도 두군데나 더 있습니다. 비스토는 멀쩡하게 나오더니만 이건 웰케 하자가 많이 보일까요..



뒷범퍼도 스티커가 없어졌습니다. 이것도 재시공....


다만 뒷범퍼도 우둘우둘한게 만지면 느껴집니다. 이것도 도색불량입니다. 


생각할때마다 멀쩡한차 뒤에서 받치고도 과실 3씩이나 쳐먹어서 짜증나는데 판금으로 해달라 얘기 안하고 그냥 놓고와서 멀쩡한 부위까지 잘라내고 붙인 관계로 빼도박도 못하는 사고차가 되어버렸고 일주일 넘게 인내했으나 도색도 불량난곳이 많아서 더 짜증이 나네요. 


되는 일 없는놈은 이렇게 끝까지 일이 안풀립니다.  

원체 운 없는놈이긴 하지만 재수없는일을 달고 사네요..


쓰면서도 분노게이지만 올라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