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타워크레인 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8일차.


8일차 교육이 진행되던 2월 9일 오전에는 필기시험이 있었습니다. 교육을 받는 과목의 필기시험이기에 이날의 결석은 출석으로 인정되더군요. 그렇지만 뭐 주말에 할일도 없고 해서 출결은 찍지 않았지만 학원에 가 크레인을 타고 왔습니다.



큐넷에 접속하여 필기시험 원서접수를 했었고, 드디어 대망의 시험날이 밝아왔네요. 시험 장소는 당진의 신성대학교. 2년제 전문대학이지만 대학교라는 이름을 쓰고 있습니다.



신성대학교 정문.


벚꽃이 활짝 피었던 봄에 오고 아마 그 이후로 딱히 온 기억은 없습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탓에 전반적인 대학들의 개강이 연기되었는데, 아마 이 학교도 그러리라 생각됩니다. 커다란 정문을 넘어 들어가면 바로 우측에 있는 주차장에 주차를 하라고 하네요. 주차장 바로 앞에 있는 건물 3층이라고 합니다.





기능사 필기시험 시험장.


기능사 시험장으로 가는 길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9시 40분부터라고 해서 서둘러 왔더니만, 제가 막 올라가던 시간에 입실을 시작하더군요. 그냥 컴퓨터가 놓여있는 실습실 같은 공간에서 시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여러가지 국가기술자격증의 필기시험이 치뤄지는지라 옆사람이고 앞사람이고 컨닝을 할 수도 없습니다. 그렇게 시험과 관련된 안내가 이어지고 본격적으로 10시부터 시험이 시작되었습니다. 집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기출문제를 풀었을 때 보다 훨씬 더 쉽게 나왔네요.


60문제 중 49문제를 맞춰 81.6점으로 가볍게 합격하였습니다. 

CBT 시험의 장점은 아무래도 바로 합격여부가 확인된다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느지막에 학원으로 출근하였습니다. 그리고 가장 마지막 순서로 타워크레인에 올랐네요.



운전실 안에는 저 혼자 있습니다.


강사님은 밖에 계시면서 화물의 높이를 사진으로 찍어 보여주십니다. 모토롤라 생활무전기로 통신합니다. 출발 여부와 기타 가타부타를 얘기하고 본격적으로 화물을 들어올려 운행을 시작합니다.



장애물의 위치도 옮겨졌습니다.


A지점에서 B지점으로 가는 도중 통과하는 장애물의 위치는 시험때마다 조금씩 달라진다고 합니다. 보통 세군데의 지점 중 가운데 있는 지점에 장애물을 놓고 연습을 했었는데, 시험중에는 A지점에 가까운 곳에 장애물이 자리를 잡고 있거나 B지점에 가까운 곳에 장애물이 자리를 잡고 있을 수 있다고 하네요.


출발지점인 A지점에서 가까이 있으면 있을수록 트롤리를 당길 시간이 촉박하니 난이도가 올라갑니다. 오늘은 B지점쪽에 가까운 곳으로 장애물을 옮겨놓아서 비교적 쉽게 움직일 수 있었네요.



마무리도 혼자 하고 나옵니다.


운전석 우측 레버 옆에 보이는 컨트롤 오프 버튼을 누르고, 비상정지버튼을 눌러놓습니다. 그리고 우측에 보이는 선회브레이크 풀림장치의 버튼을 눌러놓습니다. 그리고 열린 문을 닫은 다음 타워크레인 아래로 내려왔네요.


일단 큰 산으로 여겼던 필기시험의 벽은 넘었으니 다행이라 생각됩니다. 이참에 문제 출제 유형이 비슷한 다른 중장비 과목의 필기시험을 마저 남은 교육기간동안 준비하는건 어떨지 싶은 생각이네요. 9일차 이야기에서 마저 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아산-함안-창원-홍성 650km 가까운 거리를 주행했습니다.


그리고 계기판에 찍힌 연비를 확인합니다. 대략 100km/h 수준으로 주행하였고 조금 밟을때는 120km/h까지 올렸는데도 그럭저럭 괜찮은 연비가 계기판에 찍혀있네요. 또 갑자기 재생주기가 짧아진 탓에 중간에 DPF 재생이 무려 세번씩이나 들어갔음에도 이러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총 8시간 7분 주행. 거리 649.5km. 연비 21.6km/l


수치만 놓고 본다면 하이브리드가 3~4km/l 정도 더 나와줍니다. 그렇지만 차값만 놓고 본다면 최소 500만원 이상은 비싸고, 하이브리드의 연료인 휘발유가 경유보다 암만 못해도 150원 이상은 비쌉니다. 전기모터와 가솔린 엔진이 함께 구동하며 내는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경유차는 최고의 연료 효율을 냅니다.


이래서 디젤차 탑니다. 5만km 넘게 타면서 느꼈습니다. 데일리로 일반적인 휘발유차를 타고 다니는 상상은 이제 하기도 싫은 수준입니다. 물론 자연흡기 휘발유차 대비 까다로운 관리를 필요로 하는 디젤차입니다만, 조금만 신경써준다면 이만큼 힘좋고 연비좋은 차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디젤차가 미세먼지의 주범이자 적폐가 되어버려 SUV가 아닌 연비를 위해 타는 디젤승용차 선택의 폭은 점점 좁아지고 있습니다. SUV 역시 휘발유 모델이 등장하며 디젤의 자리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물론 추세가 친환경 연료로 가고 있는지라 현대기아차도 2030년대에는 내연기관 신차를 출시하지 않겠다는 발표까지 했지만, 관리만 잘 해주고 탄다면 매우 높은 효율을 내는 연료를 사장시킨다는것은 아쉽기만 합니다.


디젤차 사세요 두번 사세요. 아직까지 차값대비 디젤만큼 좋은 효율을 내는 차는 없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