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번호판만 좋은 똥차 마티즈. 99년식으로 어지간한 학생들보다는 나이가 많습니다.


물론 이 차를 나중에 새차를 구입하면 번호판을 옮겨달을 생각으로 가져왔지만, 그래도 당장 새차를 살 건 아니고 못해도 3~4년은 세워놓던지 타야 합니다. 아 물론 지금 업무용으로 매우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어 당장 폐차하거나 처분할 생각도 없지요.


뭐 여튼 여러번 주인이 바뀌면서 막 타고 다니며 여기저기 긁히고 까진 부분이 많습니다. 물론 중간에 어떤 차주인지는 모르지만, 색이 맞지 않는 락카를 가까이 대고 뿌려 칠이 흘러내린 자국도 있더군요. 지난번에 마트에 가니 마티즈와 컬러코드가 맞는 카페인트가 있어 구입하였고, 오늘 시간이 나 직접 야매도색을 하게 되었습니다.



제일케미칼의 스프레이형 카페인트입니다. 이마트 서산점에서 9,900원에 구입했습니다.


인터넷 최저가는 7800원. 거기에 쿠폰을 사용하면 7100원대입니다. 그렇지만 5만원 이하에는 배송비가 붙어 대략 오프라인 판매가보다 300원정도 저렴한 수준이네요. 물론 많은 양을 구입한다면 모르겠지만, 소량을 구입하는 경우 그렇게 저렴하지는 않은 느낌입니다.


여튼 마트에 재고가 딱 하나 있어 딱 하나만 구입했는데, 하나로는 어림도 없었습니다.



쉐보레/대우 컬러코드 73L/GGE. 슈퍼레드 혹은 바로셀로나레드라 불리는 색상입니다.

'젠트라 다마스 뉴마티즈 외' 라고 적혀있습니다만, 마티즈 크리에이티브와 스파크까지 호환됩니다. 


정확히 따지자면 티코부터 다마스 마티즈1,2 라노스1,2 칼로스 젠트라 라세티 올뉴마티즈 마티즈크리에이티브 그리고 쉐보레 브랜드 도입 이후 스파크(M300)까지 근 20년간 생산된 대우 혹은 쉐보레의 빨간색 차량은 모두 같은 도료를 사용했습니다.


뭐 빨간색 대우차가 종류도 많고 원체 많이 팔렸던지라 쉽게 구할 수 있다는건 장점이지만, 따져보면 20여년간 같은 색을 우려먹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심지어 그렇게 싸구려 똥차 대우와는 다른 미제 고급 브랜드를 표방하며 쉐보레 브랜드를 도입하고 대우차와는 다르다며 시절을 부정하던 시기에도 말입니다.



자. 오늘의 도색부위입니다.


좌측면도 긁히며 칠 대신 검은 프라스틱이 보이는 부분이 있지만, 그래도 우측면이 심해 우측면부터 보기로 합니다. 사진상으로 잘 보이지 않지만, 범퍼 끝쪽으로 색이 맞지 않는 페인트를 너무 가까이에서 뿌려 흘러내린 자국이 보입니다. 매우 보기 흉했습니다. 그런고로 맞는 색상의 카페인트를 뿌려 가려주기로 합시다.


마스킹 필요없습니다. 마스킹 할 신문지 혹은 마스킹 테이프조차 없으며, 어짜피 싸구려틱한 검은 프라스틱은 나중에 포인트를 살려 도색을 해 줄 생각입니다. 예전 비스토가 생각나네요.



카페인트를 뿌려봅니다. 딱히 클리어를 뿌려주지 않았음에도 사진빨은 잘 받는 느낌입니다.


애초에 면을 잡지 않고 페인트만 뿌리는지라 가까이 다가가면 종전에 칠이 흘렀던 자리나 범퍼가 긁혀 패여있는 자리의 흔적이 보이지만, 그래도 멀리서 보면 완벽합니다. 검은 몰딩 아래로 칠이 떨어진 부분이 있어 가까이 뿌리다 보니 몰딩에도 묻어버리네요.


아 뭐 상관 없어요. 어짜피 예전 비스토처럼 싸구려틱한 검은 프라스틱은 모두 포인트 도색을 할 생각입니다.



여튼 우측면은 완성입니다.


번호판 옆 그리고 아래로도 칠이 까진 부분이 있어 락카를 뿌렸더니 번호판에 묻어버렸네요. 괜히 번호판 아래로 락카를 뿌린 느낌입니다. 번호판을 재발급 받자니 아깝고 뭐 그냥 타야죠. 별 수 있나요. 타이어야 뭐 굴리다 보면 칠이 다 지워질테니 문제 될 건 없습니다.


좌측면을 칠하려다가 앞범퍼 좌측으로 이동합니다. 이쪽 역시 상태가 심각합니다.



뭐가 튄건지 긁힌건지 상처가 참 많습니다. 거기에 휀다 역시 칠이 벗겨져 녹이 올라오네요.


라이트 아래로 클리어가 벗겨지는 부분은 나중에 분해하던지 라이트를 꼼꼼히 마스킹 한 다음 칠하도록 합시다. 라이트는 나름 전차주가 폐차장에서 신품급을 구해다가 바꿔놓은거라 하는데 딱히 더럽히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 오늘은 어짜피 범퍼에 보이는 험한 부분을 지울 생각이였으니 말이죠.


그래도 뒤보다는 잘 된 느낌입니다.


사진빨을 받으니 깔끔해 보이긴 하네요. 여튼 사진과는 달리 가까이에서 실제로 본다면 약간의 티는 납니다만, 그래도 여기저기 긁히고 색도 맞지 않는 락카를 가까이에서 뿌려 흘러내린 모습으로 세차를 해도 세차를 한 것 같지 않은 느낌으로 다니느니 이게 훨씬 낫지요.



타이어에 휠까지 빨간 도료가 묻은 느낌입니다만, 역시 굴리다 보면 어느순간 지워지리라 생각됩니다.


타이어 상태도 매우 좋고, 휠은 악명높은 그곳에서 자주 바꾼다는 마르셀로 휠입니다. 뭐 중국산 카피휠보다야 국내에서 생산하는 마르셀로 휠이 훨씬 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만, 휠을 바꾸지 않아도 될 상황에서 적정가 대비 엄청 비싼 가격에 휠을 바꿔 오니 문제가 되는거겠죠.


여튼 똥차 마티즈에 과분한 옵셋으로 바퀴가 튀어나오는 드레스업 효과를 주는 휠입니다.



페인트가 부족하네요. 범퍼그릴 옆과 안개등 자리 옆으로는 완벽히 칠이 되지 않았습니다.


대략 서너통정도 더 구입하여 우측면에 칠이 바랜 부분까지 야매도색으로 해결을 해 보려 합니다. 여러모로 다시 DIY 도색의 기쁨을 느낄 수 있게 된 티스도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뭐 좋은차나 새차를 사면 막상 도색을 한다고 뜯고 벗기고 칠하는데에 큰 부담감을 느끼지만, 20년 넘은 똥차에 어지간하면 제가 폐차시까지 가지고 있을 차량인지라 이거저거 해보는 맛이 있네요.


인터넷으로 빨간색 차량용 락카와 클리어 페인트를 방금 막 주문했습니다.


다음에 또 시간이 된다면, 그때는 정말 대대적으로 칠해보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옛 한자리수 지역번호판이 그대로 남아있는 복사 4.5톤 덤프트럭입니다.


최초등록은 1990년 4월. 물론 복사트럭 치곤 후기형 모델이지만, 쉽게 볼 수 없어진 만큼 모든 개체가 귀하게 느껴집니다. 여튼 오늘 목격한 차량은 4.5톤 덤프트럭이지만 나름 우수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2019년에는 한서대학교에서 사용하는 92년식 바큠로리 트럭이, 올해 4월에는 굴삭기를 싣고 이동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91년식 카고트럭이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뤄졌는데 이들 중 실내 상태만 놓고 본면 가장 뛰어난 상태로 보존된 차량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잘 아시다시피 마쯔다의 복서트럭을 기아에서 라이센스 생산 및 판매했던 것이고, 애초에 일본식 영어발음이 그렇듯이 복서(BOXER)복사(ボクサー)로 읽히다보니 차량의 공식 명칭이 복사가 되어버렸다고 합니다.



복사 덤프트럭입니다.


물론 근래 생산되는 4.5톤 및 5톤트럭에도 이런 덤프형 특장차가 판매됩니다만, 대용량 덤프에 밀려 대부분 굴삭기 운반과 겸하여 적은 양의 토사 및 골재를 옮기는 용도 혹은 건재상에서 골재 및 모래를 구입한 소비자에게 배송해주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그리 쉽게 볼 수 있지는 않습니다.


여튼 그러한 복사 덤프트럭이 골목길 한 구석에 주차되어 있었습니다.



계속되는 장맛비로 적재함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적재함을 살짝 들어놓은 모습입니다.


경사가 지면 빗물이 고이지 않고 땅으로 흘러내리겠지요. 여튼 철제 범퍼의 코너 플라스틱은 깨져 도망갔지만,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만으로 30년이 넘었는데, 7월부터 이 지역 역시 종합검사를 받아야 하기에 정권에 의해 적폐로 몰려버린 복사 덤프의 미래는 밝지만은 않습니다.


그동안 정기검사 기준으로 별 문제 없이 통과하던 시골의 노후한 경유차들 역시 대도시 수준의 정기검사를 받게 된다면 쉽사리 검사를 통과하기는 힘들테니 말이죠. 그래도 과태료 30만원을 내고 타고 다닌다면야 별다른 문제는 없겠지만, 조만간 주변에 보이는 오래된 디젤차들이 다수 사라지리라 생각됩니다.



마치 단순한 실내 에어덕트를 여섯개 붙여놓은 느낌의 그릴과 이어지는 원형 라이트입니다.


그럭저럭 지난 4월 목격했던 복사 카고보다는 훨씬 나은 보존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유의 둥글둥글한 BOXER 레터링.


86년 이전 모델은 알파벳 'O'자리에 복서견이 그려져 있었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개 그림이 그려진 레터링을 여러번 보았던 기억이 있지만, 대략 10여년 전 부터 그런 레터링을 봤던 기억은 사실상 전무합니다.



그리고 복사트럭만의 특징. 휠볼트 보호 겸 발판으로 사용되던 철판이 휠에 말려있습니다.


뭐 이시절 트럭들은 다 이런 휠을 채택하곤 했었습니다. 지금은 대형차 역시 차량 탑승을 위한 스텝도 잘 설치되어 있고, 경제성을 위한 경량화가 진행되어 사라졌지만 여러모로 이 시절 트럭들의 특징 중 하나라 꼽을 수 있겠습니다.



요즘 트럭에 비한다면 상대적으로 매우 작아보이는 연료탱크와 공구함이 보입니다.


별다른 부식이나 누유 없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특히 공구함의 경우 현장을 자주 다니는 덤프트럭의 특성상 파손되거나 이미 부식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자물쇠까지 걸려있고 나름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적재함이 어느정도 올라가 있어 차량 프레임과 하체를 탐구하기에는 좋은 환경입니다.


프레임과 적재함 사이 각목을 붙여놓았고, 여러모로 세월이 세월인지라 부식과 누유가 보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이정도면 준수한 상태가 아닐까 싶습니다.



적재함에는 물은 다 떨어져 내려갔지만, 바로 위 나무에서 떨어진 잔가지들과 나뭇잎이 보이네요.


뭐 달리다 보면 다 날려서 큰 문제는 없겠지만, 긴 장마와 강풍으로 인해 떨어진 나뭇가지와 나뭇잎은 상당해 보였습니다. 움직이지 않은지 대략 보름정도 지났으리라 여겨집니다.



와이드봉고의 후미등에 철망이 더해진 복사트럭 순정 후미등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아직까지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차령 30년을 넘겨 진작 다른 메이커라면 폐차장을 수소문하여 어렵게 구하거나 신형 차량용으로 개조를 해야 할 이런 후미등이 부품자회사를 두고 막강한 자금력을 가진 현대기아차기에 아직도 생산 및 판매되고 있습니다.



4톤 이상 트럭 및 버스에 의무장착이 폐지된지 20년 이상 흐른 속도표시등 역시 부착되어 있습니다.


복사트럭도 최후기형의 경우 후속모델인 라이노의 속도표시등처럼 직사각형으로 된 램프가 적용되었지만, 구형모델은 이런 원형 램프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50km/h 이하에는 좌측 녹색 표시등만이 들어오고, ~80km/h 구간에는 양쪽 녹색 표시등이 들어오며 그 이상으로 달릴 경우 가운데 적색 등이 들어옵니다.


이 역시 원본 모델인 일본의 트럭들이 의무적으로 장착하여 나오던 사양인데, 어느순간부터 일본에서도 이런 속도표시등의 의무장착이 폐지되어 지금 출시되는 신형 일본 내수용 트럭들 역시 이런 속도표시등의 흔적을 볼 수 없습니다.



실내 상태는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가 일부 갈라진것을 제외하면 매우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습니다.


도어트림도 그렇고요. 대시보드 상단 역시 따로 갈라지거나 부러진 부분이 없습니다. 30년의 세월을 버틴 차량 치곤 매우 준수한 상태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러모로 앞으로의 전망은 밝지 않습니다만, 부디 제 임무를 마치는 그날까지 무탈히 달려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비록 적폐로 몰려 그리 머지 않은 시일에 사라질 운명이지만, 사진은 영원히 남으리라 생각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