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울 양평동 골목길에서 목격한 순정 상태의 포니 2 픽업입니다.

 

대한민국 자동차 역사상 최초의 고유모델로 이름이 알려진 포니(PONY)는 다양한 파생모델이 탄생했었습니다. 포니 1에서 포니 2로 부분변경을 거치며 패스트백에서 해치백 형태의 차량으로 변화하기도 했고, 현재까지 생존한 차량을 찾아보기는 매우 어렵습니다만 스테이션왜건 모델과 3 도어 모델도 존재했습니다.

 

그러한 여러 파생형 중 대표적인 모델이 포니에 짐칸을 올린 픽업트럭 모델이지요. 포니1로 시작하여 포니 2가 후속 차종인 포니엑셀에 자리를 넘겨주며 단종된 뒤 1990년 1월까지 생산되었던지라 다른 모델의 포니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수의 개체가 살아있고 순정상태를 유지하며 원형 복원된 차량들과 더불어 빈티지 튜닝카도 다수 보이곤 합니다.

 

1987 HYUNDAI PONY 2 PICK-UP

골목길을 지나던 중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에 주차된 포니 픽업을 발견하고 가던 길을 멈췄습니다.

 

순백색 바디에 검정 몰딩으로 장식된 포니 픽업이 맞습니다. 정확히 따지자면 A필러 옆으로 사이드미러가 옮겨 온 포니 2 픽업입니다. 승용 픽업트럭의 등장 이전에는 소형 화물차로 삼륜차가 주로 사용되었습니다만, 포니보다 먼저 출시된 브리사 픽업을 시작으로 새한자동차의 새마을 트럭 그리고 포니 픽업까지 등장하며 삼륜차는 빠르게 승용형 픽업트럭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캡오버 스타일의 1톤 트럭이 등장하며 시장을 빠르게 잠식해가긴 했지만 말이죠.

 

기아는 80년대 초 자동차산업 합리화조치로 브리사를 단종시켰고, 새한자동차는 새마을 트럭의 후속으로 제미니 기반의 맥스를 출시했습니다만 포니 픽업의 아성을 넘지 못했습니다. 브리사가 0.5톤, 새마을이 0.7톤, 맥스가 0.85톤의 최대 적재중량을 자랑했지만, 최대적재량 0.4톤의 포니 픽업이 가장 많이 그리고 오래 팔렸다는 사실이 아이러니하긴 합니다.

 

1987 HYUNDAI PONY 2 PICK-UP

34년 가까운 세월을 버티며 스틸휠에는 녹이 보이네요.

 

차체는 다시 도장을 입힌지라 전반적으로 깔끔한 상태였습니다. 여러모로 중학생 시절만 하더라도 동네에 포니 픽업이 돌아다녔었습니다. 물론 상태는 점점 가면 갈수록 심각해졌고 어느 순간 보이지 않더군요. 그 외에도 주변 동네에 간간히 돌아다니는 모습이 보이긴 했습니다만, 가까이에서는 오랜만에 보는 느낌입니다.

 

1987 HYUNDAI PONY 2 PICK-UP

허브 캡에는 'HD'마크가 찍혀있습니다.

 

지금은 경차 깡통 모델에나 적용되는 175/70 R13 규격의 13인치 광폭타이어가 장착되어 있네요. 넥센타이어의 SB702는 현재 티코와 골프카트에 적용되는 12인치만 생산 중입니다. 타이어의 생산 주차는 자세히 보지 않았지만 꽤 오래된 타이어라는 사실을 짐작케 하고 있습니다.

 

포니픽업 적재함

적재함에는 아직 녹지 않은 눈과 염화칼슘 포대 그리고 낙엽이 보이네요.

 

바닥에 합판이나 철판을 깔아놓지 않아 바닥골의 칠은 벗겨져 있습니다. 차 바닥 시공을 하지 않고 그냥 타는 1톤 트럭들도 내내 타다 보면 이렇게 칠이 벗겨지곤 합니다. 짐차에 크게 중요한 부분도 아니고 눈에 띄는 부분도 아니니 구멍만 뚫리지 않으면 별 상관은 없지요.

 

1987 HYUNDAI PONY 2 PICK-UP

두 자릿수 서울 지역번호판과 이 주차구역의 이용자임을 알리는 주차비 납부 영수증이 보입니다.

펜더 끝부분 안테나 자리에 안테나만 없네요.

 

중국발 미세먼지의 원인을 노후 경유차로 돌리며 5등급 차량의 운행이 자유롭지 않다 보니 옛 기준으로 제작된 포니 픽업도 5등급 차량인지라 서울시내를 마음껏 활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단속이 없는 주말에나 움직이겠죠.

 

물론 삼원촉매조차 제대로 장착되지 않았고 전자제어의 개념도 없었던 그 시절 휘발유차들도 2 행정 오토바이나 예초기에 준하는 역한 냄새가 나는 매연을 내뿜고 다니긴 합니다만, 한쪽에서는 근대유물이라 칭하면서 차세대 전기차로 포니의 명맥을 잇는다 어쩌고 하면서 한쪽에서는 미세먼지의 주범이자 적폐 취급을 당해 수시로 단속이 이루어지는 평일 낮에는 마음껏 탈 수 없으니 참 아이러니하게 느껴집니다.

 

조랑말 그림이 그려진 OK스티커

조랑말 그림이 그려진 OK 스티커도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포니(PONY) 자체가 조랑말을 상징하는지라 OK 스티커에도 말 그림이 들어가 있네요. 이후 출시된 현대정공의 갤로퍼(GALLOPER) 역시 달리는 말을 의미하지만 OK 스티커에 이렇게 말 그림이 들어가지는 않았습니다. 여러모로 34년 넘는 세월 일부 삭아버리기는 했지만 그 모습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도어트림과 오디오만 제치가 아니다.

도어트림과 오디오만 제치가 아니네요.

 

도어트림이야 뭐 오래된 차들이 다 흘러내리고 개판이니 저런 방식으로 리폼을 많이 합니다. 오디오 역시 이후 출시된 차량의 오디오를 옮겨 달은 느낌으로 보이네요. 34년 넘는 세월을 버티며 대시보드는 조금 갈라졌고 그 세월을 함께 한듯한 대나무 시트 역시 세월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이 상태로 오랜 세월을 버텨왔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대단하게 느껴지는게 당연하겠죠. 저같이 돈 없는 거지 도태한남충은 이런 차 사고 싶어도 유지하고 보존할 돈이 없어 살 수 없습니다. 어느 올드카건간에 괜히 남들에게 보이는 시선을 의식하여 빈티지 관종들이 사곤 합니다만 대부분 오래 유지하지 못하고 팔아버리지요.

 

1987 HYUNDAI PONY 2 PICK-UP

그렇게 포니픽업과의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갈 길을 향해 가기로 합니다.

 

포니 픽업의 경우 중고차 가격도 이미 신차 가격을 뛰어넘은 지 오래고, 수리를 모두 마친 준수한 상태의 차량을 기준으로 천만 원 정도에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첫 고유모델 자동차라는 상징적인 의미도 있으니 운행에 제한이 있다 한들 경유차처럼 폐차장에 보내지 못해 안달 나지는 않을 겁니다. 

 

보내온 34년 가까운 세월만큼 앞으로도 주인에게 사랑받으며 규제에 굴하지 않고 살아남아 서울 도로 위에서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삽교천, 삽교호, 운정리 등등 부르는 명칭은 다양하지만 삽교호관광지와 함상공원이 소재해 있는 당진시 신평면 운정리 일대의 버스터미널입니다. 주로 시외버스가 경유하여 가곤 합니다만, 당진시 시내버스와 아산시 시내버스 그리고 멀리 떨어진 예산군 농어촌버스까지 총 세개 지자체의 버스가 이 터미널에 들어오곤 합니다. 여러모로 평일보다 주말에 이용객이 더 많은 터미널입니다.

 

2019/01/30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삽교호터미널(운정리) 시외버스 시간표 [2019년 2월 현재]

 

삽교호터미널(운정리) 시외버스 시간표 [2019년 2월 현재]

흔히 삽교천이라고들 하는 삽교호관광지와 함상공원이 소재한 신평면 운정리 일대의 버스 터미널입니다. 명색이 버스 터미널이지만, 사실상 중간 경유지 포지션에 가까우며 관할 지역인 당진

www.tisdory.com

지난 2019년 게시물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삽교천터미널(운정리) 매표소

시내버스 및 농어촌버스는 카드 혹은 현금으로 승차하면 됩니다.

 

시외버스만 매표소에서 탑승권을 발권받아 탑승하면 됩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천안경유 춘천이나 안성행 노선은 운행이 중단되었지만, 그래도 얼추 코로나 이전의 80% 수준까지 운행이 재개된 분위기입니다.

 

삽교천터미널(운정리) 시간표와 요금표.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공항노선의 운행 중단으로 28석 우등버스를 시외노선에 투입하여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서울,수원,인천의 빨간 표시는 시외우등차량입니다. 서울행(남부터미널)은 일 9회, 수원행은 일 5회, 인천행은 일 4회 운행합니다. 당진을 경유하여 넘어오는 온양(아산),천안행은 일 6회 경유하고, 밀두리와 안중을 거쳐 평택터미널로 가는 평택행은 일 4회 운행합니다.

 

남부터미널과 인천에서 출발하여 신평을 경유하여 합덕으로 향하는 버스는 일 8회 경유합니다. 예산교통에서 운행하는 예산행 농어촌버스는 일 1회 운행하고, 인주단지(인주산업단지)는 합덕발 남부터미널행 첫차와 막차만 경유합니다. 본래 이 노선이 인주 대신 이주단지를 거쳐 송악ic로 올랐지만, 지금은 경유하지 않습니다.

 

당진여객 시내버스 시간표

당진여객 시내버스 시간표입니다.

 

당진방면은 일 10회 운행하고, 이주단지 방면은 일 1회. 합덕방면은 일 4회 운행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