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년 넘게 묵혀두었던 사진입니다.

 

최근 장항선 2단계 직선화 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2021년 1월 6일부터 남포~판교 구간의 장항선 선로가 이설되었습니다. 구 웅천역을 기리는 포스팅에서 그 이야기는 다뤘었으니 참고하고 오시기 바랍니다.

 

2021/01/04 - [티스도리의 지역이야기] - 210104 장항선 (구) 웅천역. 마지막 영업

 

210104 장항선 (구) 웅천역. 마지막 영업

며칠 전 청소역 급수탑이 철거되었다는 소식과 함께 장항선 직선화 2단계 공사와 관련된 언급이 있었습니다. 네. 청소역이 포함된 신성~주포구간은 이제 막 삽을 뜨려 하지만, 남포~판교 구간의

www.tisdory.com

여튼 장항선 선로 이설 전인 2017년 연말에 국도 제 21호선이 먼저 확장하여 개통합니다. 거기까지는 좋습니다만, 남포면 옥서리를 지나는 구간에서 장항선 철길과 만나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철길과 새로 건설하는 도로가 만나게 된다면 도로가 고가교각으로 철길 위로 건너가는 형태의 입체교차로를 건설합니다.

 

그렇지만 이미 도로 공사 전 장항선 직선화 공사가 먼저 진행중이였고, 기존의 건널목도 입체교차로화 시키는 작업이 한참 진행중인 수십년이 지난 2017년 연말에 장항선에 옥서리 건널목이 생겨났습니다. 물론 장항선 직선화 공사 이전까지만 운영될 예정이니 시한부 임시 건널목이겠죠.

 

옥서리건널목 역시 직선화와 함께 2021년 1월 5일자로 폐지되었지만, 2010년대 말에 생겨난 흔치 않은 왕복 4차선 자동차전용도로의 철도건널목의 사진을 꺼내며 추억해보기로 합시다.

 

옥서리 건널목으로 향하는 길

옥서리 건널목으로 향합니다.

 

남포교차로 이남 구간이 준공된 이후 2017년 12월 31일자로 국도 제 21호선에 편입되었습니다. 국도 제 21호선 확장구간의 개통과 동시에 옥서리 건널목의 영업도 시작되었습니다. 남포교차로를 지나 조금 남쪽으로 내려가면 철도건널목을 알리는 표지판이 나타납니다.

 

위험 철길건널목

위험 철길건널목 (Railway Cross)

 

2010년대 후반 건설된 국도에 어울리지 않는 철도건널목 표지판입니다. 그리고 좀 더 지나가면 40km/h 카메라가 보입니다. 시내도 아니고 스쿨존도 아니고 제한속도 80km/h 구간의 국도에 쌩뚱맞은 건널목과 과속단속카메라가 옥서리 건널목을 알리고 있습니다.

 

과속 단속 카메라

 

과속 단속 카메라를 지나면 건널목 차단기가 보이고 컨테이너 초소가 보입니다.

 

철도건널목 앞에서는 일단 정지

옥서리 건널목에 진입합니다.

 

운전면허 주행시험에서 철도건널목 앞에 정지하지 않으면 무조건 실격이지요. 뭐 요즘은 철도건널목을 건너지 않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기능시험 간소화 이후 도로주행 코스를 마치고 시험장 장내로 들어와 철도건널목을 건너는 코스가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고로 철도건널목에서는 일단 정지 후 출발이 원칙입니다.

 

다시 남포방향으로 돌아오며

옥서리 건널목을 지난 뒤 차를 다시 돌려 북쪽방향으로 돌아옵니다.

 

하행처럼 상행 구간에도 철길건널목을 알리는 표지판과 과속단속을 알리는 표지판이 나란히 세워져 있습니다. 제한속도도 동일하고 별다른 차이는 없습니다.

 

상행 옥서리건널목

상행방향 철도건널목도 마찬가지로 차단기와 관리원이 머무는 컨테이너 초소가 존재합니다.

 

왕복 4차선 국도인지라 차단기가 내려오면 앙쪽 컨테이너 초소에서 관리원 두분이 나오셔서 차량을 통제합니다. 왕복 2차선 수준의 좁은 도로라면 충분히 한사람의 관리원이 커버하겠지만, 양쪽으로 커버하기에는 무리가 있겠죠. 여튼 철도시설공단에서 국도관리청에 용역을 줘 계약직 관리원을 뒀다고 합니다.

 

옥서리 건널목

차를 세우고 건널목을 살펴봅니다.

 

여느 평범한 철도건널목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이 건널목의 특이점은 입체화라는 추세를 거스르고 세워진 건널목인지라 주변이 매우 깔끔하다는 점. 그리고 시가지가 아닌 왕복 4차선 외곽도로라는 부분입니다.

 

저 멀리 보이는 남포터널

저 멀리 남포터널이 보입니다. 현 시점에서 장항선 열차는 저 터널을 통과합니다.

 

웅천역에서 굽이굽이 산을 돌아 건널목을 지나가던 열차는 터널을 건너고 남포저수지를 건너 남포역으로 향합니다. 사실상 새 남포역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여객취급이 중단되어 쓸모없이 크고 아릅답게 지어놓은 남포역을 거쳐 대천역에 정차하지요.

 

옥서리철도건널목 관리원 초소

관리원 초소는 에어컨과 위성방송 수신을 위한 스카이라이프 위성접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더운 여름에도 추운 겨울에도 관리원이 머무는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넓은 창으로 저를 보고 어떻게 왔냐고 물어보시더군요. 구경하러 왔다고 하니 도로로 들어가진 말라고 하십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 국도변 건널목에 구경을 오는 느낌입니다.

 

옥서리 건널목을 지나는 마이티

옥서리 건널목에서 열차가 오기를 기다립니다.

 

열차는 대략 20여분 뒤 건널목을 통과할 예정이고, 끊임없이 국도를 지나는 차량들이 건널목을 통과하고 있습니다. 건널목을 통과하며 나는 굉음만이 울려퍼집니다.

 

끝없이 펼쳐진 철길

끝이 보이지 않는 철길.

 

도로가 생겨버리는 바람에 운명에도 없던 건널목이 생겨버렸습니다.

 

옥서리건널목

옥서리건널목 차단기에 붙어있는 안내문입니다.

 

고장 표시등 점등시 통과방법과 건널목 안에 갇혔을때 통과방법에 대해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래도 관리원이 상주하고 무모하게 통과하려는 사람 없이 옥서리건널목은 무사고로 영업을 종료했습니다.

 

LED 표시등

차단기의 표시등 역시 모두 LED입니다.

 

어지간한 건널목 차단기의 표시등은 다 교체했겠거니 합니다만, 처음부터 LED 표시등이 부착되었던 옥서리건널목의 차단기입니다.

 

남포저수지

남포저수지를 지나는 새 장항선 선로입니다.

 

저수지 옆으로 돌아가던 철길은 터널을 거치고 저수지를 건너 남포역으로 바로 들어갑니다.

 

맞은편으로 이동

건널목 맞은편 초소로 이동합니다.

 

내내 이쪽 컨테이너 초소에도 스카이라이프 위성접시와 에어컨이 설치되어있고요. 관리원 아저씨가 상주하고 계십니다. 별반 다를건 없습니다.

 

제어기 

철길 옆으로 건널목 제어 유닛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대략 3년간 사용했는데 폐기하기는 아까우니 아마 철거하여 예비용으로 놔둔 뒤 다른 건널목에 활용하겠죠.

 

사진촬영 준비

다시 반대편으로 돌아와 열차가 지나가는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 삼각대를 펼쳤습니다.

 

핸드폰으로는 사진을 촬영하고 미러리스 카메라로는 동영상을 촬영하려 했지만, 결국 미러리스 카메라로 동영상이 촬영되지 않아 이 사진들을 1년 넘게 묵혀두었습니다. 언젠가 다시 가서 영상으로 남겨둬야지 했지만 직선화 이전에 다시 찾아가지 못했네요.

 

서서히 내려오는 차단봉

차단봉이 서서히 내려옵니다.

 

관리원 아저씨들도 나오셔서 차량을 통제합니다.

 

지나던 차량은 모두 정차

건널목을 지나는 차량은 모두 정차합니다.

시끄러운 경고음과 표시등이 점등됩니다.

 

그렇게 조금 더 기다리니 우렁찬 소리가 멀리서부터 들려옵니다.

 

옥사리 건널목을 지나는 무궁화호 열차

곧 열차가 옥사리 건널목을 지나갑니다.

 

웅천역 방향으로 떠나는 열차

열차는 웅천역을 향해 달려갑니다.

 

 

차단봉이 다시 열리고, 정상적으로 차량 통행이 가능해집니다.

 

물론 지금은 볼 수 없는 풍경이지만, 사진으로는 영원히 남아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나중에 지날 일이 있으면 폐쇄된 옥서리 건널목의 모습도 촬영해 볼 생각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1월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자동차세 연납이 시작되었습니다.

 

자동차세는 매년 2회. 1기분과 2기분으로 나뉘어 부과됩니다만, 지자체의 원활한 세수 확보를 위해 1월 10일부터 31일까지의 기간에 납부하면 연 세액의 10%. 정확히 따지자면 9.15%를 공제한 세액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올해는 31일이 일요일인지라 2월 1일까지 자동차세 연납을 받고 있습니다.

 

이미 경감이 될대로 된 경차들이야 따져봐야 3만원 돈 경감해주는 수준인데, 3000cc를 초과하는 신차를 기준으로 따지면 몫돈이 들어가긴 한다만 대략 8~9만원까지도 아낄수 있습니다.

 

물론 연납은 신청해야 고지서가 나옵니다. 첫 해 신청하면 그 다음해부터는 기간마다 고지서를 보내줍니다. 물론 고지서가 없더라도 인터넷이나 여러 결제수단으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올해도 우편으로 발송된 자동차세 연납고지서

올해도 어김없이 자동차세 연납고지서가 날라왔습니다.

 

아반떼는 19년 1월에 등록했고 등록증상 년식도 2019라 찍혀있지만, 18년 생산 차량으로 인식되어 취등록세에서도 이득을 봤고, 자동차세 차량경감률에서도 이득을 보고 있습니다. 19년 1월 등록 차량이지만, 세금은 18년 하반기 생산 차량으로 인식되어 벌써 상반기 5%, 하반기 10%의 경감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튼 당초세액은 266,310원. 연납으로 24,360원을 공제하여 241,960원만 내면 된다고 합니다.

 

카카오페이로 QR코드 촬영 후 납부

위택스 홈페이지가 문을 닫은 시간인지라, 카카오페이로 고지서의 QR코르를 촬영하여 납부했습니다.

 

뭐 요즘 카카오페이나 네이버페이로 자동차세를 납부하면 상품을 준다는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더군요. 3만원짜리 세금이 나오는 차들이야 뭐 그냥 계좌이체로 납부했지만, 20만원대의 아반떼만은 카드할부로 납부했습니다. 여러모로 올해는 민간 애플리케이션의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위택스나 서울시ETAX 말고 이런 민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납부하는 경우도 많을 것 같습니다. 위택스 납부방법은 지난해 연납 포스팅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2020/01/1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자동차세 납부.(2020년도 자동차세 연납)

 

더 뉴 아반떼 자동차세 납부.(2020년도 자동차세 연납)

(버튼을 무려 두번식이나 잘못눌러서 글 다 날리고 세번째 다시 쓰는 중.) 2020년도 자동차세 연납고지서가 날라왔습니다. 자동차세는 매년 2회. 1기분과 2기분으로 나뉘어 부과됩니다. 다만, 지

www.tisdory.com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