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에 해당되는 글 218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충북 음성에서 목격했던 쌍용 SY트럭과, 노원검사소 인근에서 목격했던 뉴프린스입니다. 아주 잠깐 지나쳤던 차량들이기에 간단한 설명과 함께 사진만 보여드리고 가기로 합시다.

 

1995 SSANGYONG SY TRUCK 11.5t CARGO

조향축이 하나. 구동축이 두개. 6x4 형태의 트럭.

대형트럭으로 분류되는 차량들 중 가장 작은 사이즈인 11.5톤 트럭입니다.

 

흔히 쌍용트럭이라 하면 요즘은 쌍용에서 나오는 픽업트럭을 떠올리곤 합니다만, 쌍용자동차는 98년까지 대형트럭을 생산하고 판매했습니다. 이전에 쌍용의 버스 트랜스타를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루며 언급했었습니다만, 쌍용자동차는 90년대 초반 벤츠와의 기술제휴 이후 다임러 벤츠의 차량을 기반으로 내수형 차량을 생산하여 판매했습니다. 저감장치도 개발되지 않았고, 노후경유차를 적폐로 몰아 몰살시킴에도 판매 기간이 길었던 91A라 말하는 현대트럭을 제외하곤 내구성이 좋아 아직도 간간히 보이는 90년대 트럭입니다.

 

물론 쌍용자동차와 전신인 동아자동차도 벤츠와의 기술제휴 이전에는 닛산디젤과 기술제휴를 통해 상용차를 생산했었습니다. 당시 다른 메이커 역시 미쓰비시(현대), 히노(아시아), 이스즈(대우)와 같은 일본 업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차량을 생산했었고, 벤츠 기술이 기반이 된 SY트럭보다 가격은 저렴했습니다만 일제와 독일제의 넘사벽 품질력을 바탕으로 알게 모르게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최초등록은 95년 4월. 만 27년 가까운 세월동안 도로 위를 달려왔고, 지금까지 달리고 있습니다. 차체는 은색 락카로 덧칠되어 있었고 적재함은 타 차량용으로 교체되었지만 건재하네요. 번호판도 최근 교체했는지 깔끔했고요. 내연기관의 종말. 그리고 노후경유차 말살 정책은 계속됨에 따라 앞으로 얼마나 더 도로 위를 달릴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마지막 그날까지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1996 DAEWOO NEW PRINCE

다음으로 같은날 서울 하계동 노원자동차검사소에 근처에서 목격했던 뉴프린스입니다.

 

1983년 등장했던 대우 로얄을 시작으로 1999년 프린스의 단종까지 부분변경을 거쳐가며 무려 16년 이상 장수했던 대우의 사골 중형차 모델입니다. 그러한 사골의 종지부를 찍었던 최후기형. 뉴프린스네요. 올드카 목격담에서도 수차례 다루곤 했었습니다. 당시치곤 준수했던 성능을 가졌던 140마력대 DOHC 엔진과 그저 그랬던 SOHC 엔진 라인업이 존재했었습니다. DOHC 엔진은 레간자의 등장 이후 단종되었고 약 3년간 병행되어 판매하며 2.0 SOHC와 LPG 모델만이 남아버리긴 했지만, 아직도 그 시절 공도에서 먹어주던 뉴프린스를 기억하고 추억하는 사람들도 꽤 많습니다. 해당 차량은 96년 3월에 최초로 등록된 뉴프린스 출시 초기에 판매되었던 차량입니다. 번호판은 흰색 전국번호판이지만, 차생의 대부분을 서울에서 보냈을테니 준수한 상태로 유지중이였습니다.

 

저도 좌회전을 대기하고 있었고, 이 차량도 신호대기중이던지라 사진이라도 좀 찍어보려 했더니만 포터 뒤에 오던 싼타페가 우회전을 한다며 정지선을 넘어 우회전 기회를 엿보며 딱 프린스를 가려버렸기에 사진은 저게 전부네요. 그래도 경유차가 아닌 4등급 휘발유 차량인지라, 서울땅에서 앞으로 10년은 더 돌아다닐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주인에게 사랑받으며 오래오래 버텨주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별장처럼 생각하고 쓰는 할머니 사시던 집에는 마당을 비추는 오래된 형광등이 있습니다. 예전에도 제가 갈아드리고 왔던 기억이 있는데, 최근 이상한 소음도 나고 불이 꺼졌다 켜지기를 반복하더군요. 형광등의 수명이 끝났다는 얘기입니다. 그래서 아침에 일어나서 형광등부터 교체하기로 합니다.

 

요즘은 LED 조명이 대중화되어 삼파장 형광등도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만, 삼파장보다도 한참 전에 나왔던 직관형광등입니다. 사무실이나 학교같은 장소에서 가장 긴 규격의 직관형광등이 사용되는 모습을 본 일 말곤 최근 다른곳에서 이런 형태의 형광등을 본 적이 없는 느낌이네요.

 

낡은 형광등

요즘은 꽤나 보기 어려워진 낡은 형광등입니다.

 

대략 언제 달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수십년째 건물 밖에서 발마을 맞아도 표면에 녹만 조금 슬었지 불을 밝히는 용도로는 아직도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소켓이 오래되어 플라스틱이 삭아있네요. 그래도 안정기도 멀쩡하고 초크도 일단 멀쩡하니 형광등만 바꿔 사용하기로 합시다.

 

탈거된 기존 형광등

탈거된 기존 형광등입니다. 도시바 제품이네요.

 

다양한 브랜드에서 다양한 규격의 형광등을 제작합니다. 국내 공장은 다 사라진걸로 알고있고, 보통 중국이나 동남아 공장에서 생산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마저도 중금속 수은이 함유된 물건인지라 머지 않은 시일 내에 생산이 금지되리라 생각됩니다. 그때 가서 같은 규격의 LED 직관등으로 교체하던지, 아예 싹 갈아버리던지 하면 될겁니다.

 

전파상

탈거한 형광등을 들고 걸어서 2분 거리의 전파상에 다녀옵니다.

 

그냥 형광등을 보여주고 이거 달라고 하니 잘 찾지 않아 높은곳에 있는 박스에서 형광등을 하나 꺼내줍니다. 가격은 2000원. 예전에 천원대에 구입했던걸로 기억하는데 가격이 꽤 많이 오른 느낌입니다.

 

금호전기 번개표 형광등

나름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조명 메이커 금호전기의 제품입니다.

 

범 금호가에 속했습니다만, 지금은 전혀 다른 회사가 인수하여 경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 공장이 아닌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해서 국내로 들어오네요. 세계적으로 통일된 규격을 사용하니 어느 나라에서 만든 형광등이더라도 그냥 가져다 끼우면 맞습니다.

 

2019년 5월 생산

2019년 5월에 생산된 제품이네요. 약 3년만에 빛을 내게 됩니다.

 

그래도 자주 교체해야 하는 소모품인데 3년 전 생산한 제품이 이제 판매되었다는 사실만 놓고 봐도 요즘은 이 규격의 형광등을 찾는 사람이 많지 않다는 얘기겠지요. U자 모양의 삼파장 형광등도 요즘 보기 힘들어졌고, 사실상 반영구 사용이 가능한 LED가 대세로 자리잡은 만큼 근시일 내에 형광등 교체도 그저 추억으로 남겠죠.

 

이상 무

셔터스피드가 빠른지라 조금 이상하게 나왔지만,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밤에 와서 켜보더라도 문제 없겠죠. 앞으로 한 5년? 그 이상 더 쓸 수 있을겁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