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그간 목격했던 지역번호판 부착 차량들의 사진을 모아 올려보려 합니다.

 

아직도 영업용은 지역번호판의 형태로 발급됩니다만, 최근 건설기계 번호판이 영업용과 관용을 포함하여 모두 전국번호판으로 바뀌며 영업구역 때문에 불가능하리라 여겨졌던 영업용 자동차 번호판도 언젠가는 전국번호판으로 바뀌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004년 1월부터 전국번호판이 발급됨에 따라 지역번호판을 그대로 유지 중인 차량들은 대부분 차령 20년을 넘겼고 그간 주인이 바뀌거나 타 지역으로 전입하며 전국번호판으로 교체된 차량들이 다수기에 지금은 하루에 한 대 볼까 말까 한 수준까지 왔습니다.

 

그래서 올드카 목격담 카테고리에서 간간히 이런 지역번호판 차량들을 기록으로 남겨볼까 합니다. 지역번호판 부착 차량이라 하더라도 현재 생존한 차량들은 대부분 2000년대에 출고한 영타이머 차량들입니다.

 

1997 HYUNDAI AVANTE

먼저 97년 12월 등록 '구형 아반떼' 흔히 말하는 구아방입니다.

 

린번엔진이 적용된 올 뉴 아반떼가 98년 2월에 출시되었으니 구아방치곤 끝물인 차량이네요. 당시 기준으로는 고려청자에서 영감을 얻은 곡선을 디자인에 대거 차용하여 상당히 세련된 느낌으로 불티나게 팔려나갔고, 그런 만큼 한때 도로 위에 정말 흔히 보이던 차량이었습니다.

 

지금은 부분변경 모델인 올 뉴 아반떼의 단종도 20년이 넘어가는지라 이렇게 어쩌다 하나 보이는 수준이네요. 범퍼의 상태라던지 사이드스텝의 부식이 보이지만 연비스티커와 바코드가 그대로 붙은 상태의 구아방을 보게 되는군요. 서울 영등포구에서 등록된 '서울 48' 지역번호판과 함께 고속도로를 달려가고 있었습니다.

 

1992 HYUNDAI GRANDEUR 2.4 AUTOMATIC

92년 6월 등록. 서해안고속도로에서 목격했던 '각 그랜저 2.4 오토매틱'입니다.

 

2세대 모델인 뉴그랜저가 92년 9월 출시되었으니 사실상 끝물 모델이라 봐야 맞겠죠. 잘 보이지는 않지만 '서울 3'으로 시작하는 한 자릿수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습니다. 상당히 준수한 상태로 30년의 세월을 보내왔고 서울에서 좀 멀리 떨어진 지역까지 잘 달려왔습니다.

 

정체구간에서 이 차량과 거리가 멀어져서 자세히 보지는 못했습니다만, 여튼 2023년의 고속도로를 달리던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각 그랜저였습니다.

 

2003 SSANGYONG CHAIRMAN 500S

2003년 3월 등록. 쌍용 체어맨입니다.

검은색 고급 세단에 지역번호판은 언제 봐도 위엄이 느껴집니다.

 

뉴체어맨이 2003년 9월에 출시되었으니 구형 체어맨치곤 끝물에 속하는 모델입니다. 트렁크의 외장안테나의 유무와 쌍용 엠블럼의 형태에 따라 대략적인 연식 구분이 가능한데 이 차량은 리어 글라스 안테나가 적용되고 원형 배지 속 쌍용 엠블럼이 적용된 모습만 봐도 후기형임을 단번에 알아차릴 수 있죠.

 

일개 달구지나 만들던 쌍용이라는 아시아 변방의 3류 자동차 메이커가 벤츠와의 기술제휴로 후륜구동 기반의 럭셔리카를 만들어냈고, 독일차보다는 한수 아래의 일본차 기술을 받아오던 시절에 다른 국산 대형차를 모든 면에서 능가하던 차량이었습니다. 물론 체어맨의 개발비를 충당하기 위해 상용차를 포기했고 결국 회사를 대우그룹에 넘겼지만, 아시아 변방의 브랜드가 구닥다리 벤츠 기술로 당대 최신형 벤츠에 준하는 럭셔리카를 만들어냈다는 사실만으로 박수받기 충분합니다. 체어맨 역시 비싼 수리비로 동네 양아치들도 안타는 차가 되었다가 지금은 다시 가치를 인정받아 가격이 오르는 추세에 있더군요.

 

경기 33은 성남시에서 발급된 번호판입니다. 1기 신도시이자 강남 이남 최고의 부촌인 분당구가 소재해 있습니다. 물론 다른 지역에 살고 계신 차주분일지도 모르겠지만, 경기 33으로 시작하는 고급차가 많은 이유도 분당구의 영향이 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003 HYUNDAI EQUUS JS350

2003년 1월 등록. 현대 에쿠스 3.5입니다.

역시 체어맨과 같은 경기 33. 성남 번호판입니다.

 

체어맨보다 약 2개월 먼저 등록된 차량입니다. 당시 자가용 번호판의 용도기호는 ㅏ-ㅓ-ㅗ-ㅜ 순서로 가~마, 거~머, 고~모, 구~무까지 사용되었기에 2003년 초에 '모'에서 '구'로 넘어가지 않았나 싶습니다. 에쿠스도 체어맨의 부분변경에 맞춰 2003년 12월에 부분변경 모델을 내놓았기에 이 차량도 전기형 끝물에 가까운 모델입니다.

 

이전 세대의 그랜저처럼 미쓰비시와의 공동개발로 탄생했던 차량입니다. 물론 이전 세대들과 마찬가지로 현대의 에쿠스는 출시 이후 10년간 불티나게 팔려나갔고, 대형차 수요도 적은데다가 브랜드 가치도 빈약했던 미쓰비시의 프라우디아는 소수 판매되고 단종되었습니다. 이후 현대는 기술 독립을 이루었고, 지금은 제네시스라는 럭셔리 브랜드를 론칭했습니다.

 

요 근래 보이는 각쿠스들은 대부분 후기형 모델에 엔진까지 변경된 최후기형들인데, 초기형 모델은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입니다. 역시 부자 어르신께서 20년 넘게 몰고 계시겠지요.

 

간단히 요 근래 목격했던 지역번호판 차량들의 사진을 기록으로 남겨보았습니다. 차령 20년이 넘어가는 현 시점에서 앞으로 얼마나 더 생존해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모든 차량들이 부디 오랜 세월 무탈히 달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 10월부터 갑자기 도어캐치의 스마트키 버튼이 눌려도 반응하지 않아 결국 운전석 도어캐치를 구매하여 교체했습니다. 교체했음에도 교체 이전과 같은 상황이네요. 결국 도어트림까지 뜯어 확인했지만, 하네스를 싹 교체하지 않는 이상 답이 없음을 느끼고 다시 도어트림을 덮어버린 이야기입니다.

 

저렴한 현대차 부품값

역시 현대차 부품값은 저렴합니다.

 

무려 도어캐치가 도장까지 되어있고, LED 램프도 달려있는데 2만 원이 넘지 않습니다. 대우차라면 기본 5만 원에서 시작할만한 부품도 2만 원 안쪽으로 구할 수 있어 확실히 좋습니다.

 

82651 F2200YT3

82651 F2200YT3 핸들 어셈블리 - 도어 아웃사이드, 좌측

 

한국에서만 판매할 수 있다는 문구가 작게 들어가 있네요. 품번의 끝 세 자리는 차량의 색상 코드를 의미합니다. 자신이 타는 차량의 컬러코드를 알고 있다면 쉽게 구할 수 있지요. 여튼 이 물건은 삼보에이앤티라는 회사에서 제조한 물건입니다.

 

포장

박스 속에 비닐로 또 포장이 되어 있었습니다.

 

여튼 포장을 뜯고, 간단히 도어캐치를 교체하기로 합니다.

 

커버 탈거

문짝 옆 작은 캡이 하나 있습니다. 잘 뜯어줍니다.

 

십자 드라이버 필요

십자드라이버로 이 볼트를 풀어줍니다.

 

쭉 풀어주면 됩니다. 어지간해서는 빠지지 않습니다. 그냥 풀어주다 보면 어디선가 막혀서 더 풀어지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 겁니다. 그때까지 풀어주면 됩니다.

 

커버 탈거

도어캐치 키박스를 감싸고 있는 커버를 먼저 탈거합니다.

 

그냥 당겨서 젖혀주면 알아서 빠집니다.

 

키박스 방향으로 당겨서 탈거

키박스 방향으로 도어캐치 손잡이를 당겨 탈거합니다.

 

커넥터 탈거

도어캐치를 탈거했다면, 연결된 커넥터 역시 탈착 해줍니다.

 

잘 빠지지 않는다면 일자드라이버로 눌러서 빼면 됩니다.

 

새 도어캐치 장착

새 도어캐치를 탈거와 반대로 끼워 넣는다 생각하고 장착합니다.

키박스도 빠집니다. 키박스를 빼면 좀 더 수월하게 작업이 가능합니다.

 

여튼 새 도어캐치를 장착하고 스마트키 버튼을 아무리 눌러도 문이 잠기거나 열리지 않습니다. 참 난감해졌습니다. 지난해 1월 사고로 문짝을 교체하며 도어캐치도 함께 교체되었을 텐데 당연히 멀쩡 했겠죠. 그래서 이왕 뜯는 김에 도어트림까지 뜯어보기로 합니다.

 

도어트림 탈거

요즘차 문짝은 딱히 방음이 필요 없을 수준입니다.

 

일개 준중형인데도 완전한 속살이 드러나지 않네요. 속살을 보기 위해서는 커버를 하나 더 뜯어내야 합니다. 뜯어내도 배선은 알 수 없이 뭉쳐있어 건들 엄두도 나지 않았습니다.

 

도어 하네스 운전석 스마트 키 아웃사이드 핸들

커넥터에서 나가는 배선들을 확인합니다.

 

그래도 이 배선이 메인 하네스에서 어떻게 분기해서 나오는지 봐도 모르겠습니다. 포기합니다.

 

다시 원상복귀

결국 뜯어놓았던 도어트림을 다시 끼우기로 합니다.

그래도 새 문짝 방청은 하긴 했던데 이래서 통공장 가면 답이 없습니다.

 

어디선가 전원이 들어오지 않아 이런 문제가 생겼을텐데 그 원인을 찾기 매우 어렵습니다. 조수석 문짝의 도어캐치는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뭐 어쩌겠어요. 귀찮아도 그냥 리모컨으로 열고 타고 다녀야죠. 운전석 문짝으로 들어가는 하네스를 통째로 교체하는 방법 말곤 없어보입니다. 

 

결론은 헛짓거리만 하고 차만 뜯었다가 다시 복구하고 끝났습니다..;;

슬슬 포기하며 타는 부분들이 많아지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