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해안고속도로 비슷한 구간에서 며칠 차이로 목격했던 두 차량을 다루려고 합니다. 와이드봉고의 부분변경 모델이자 기아가 개발한 J2엔진이 적용되어 흔히 봉고 J2라 부르는 차량과, 초기형 EF 쏘나타입니다.

 

먼저 봉고 J2입니다.

 

 

1995 기아자동차 봉고J2 워크스루밴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5년 6월에 등록된 봉고J2 워크스루밴의 목격담입니다. 흔히 시티밴(City van) 혹은 워크스루밴(Work through van)이라 하는 명칭은 생소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탑차라고들 부

www.tisdory.com

 

1997 기아 봉고 J2 더블캡 (KIA BONGO J2 DOUBLE CAB)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 주인공은 2세대 기아 봉고의 후기형인 J2 더블캡입니다. 그간 지난 2월 올드카 목격담에서 2세대 봉고인 와이드봉고 더블캡 차량을 다루기도 했었죠. 와이드봉고가 95년 마

www.tisdory.com

 

차령 30년이 넘어가는데다 진작 수출이나 조기폐차라 쓰고 적폐청산이라 읽는 행위로 사라졌습니다만, 아직 드문드문 도로 위에서 보이는 차량 중 하나입니다. 이번에 본 차량은 95년 10월에 최초로 등록되었고 두 자리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는데, 상태는 별로였지만 도로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1995 KIA BONGO J2

 

딱 봐도 세월의 풍파가 느껴지는 그런 차량이었네요.

 

운전석이 있는 캐빈은 상대적으로 깔끔했습니다만, 적재함 문짝은 부식으로 구멍이 다 뚫렸고 후미등은 하나는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스페어 타이어가 고정된 브라켓 역시 삭았는지 달리면서 스페어 타이어가 흔들흔들 하더군요. 그럼에도 1995년으로부터 30년이 지난 2025년의 도로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1995 KIA BONGO J2

 

아무리 봐도 DPF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입니다.

 

그럼에도 경기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경기도 땅을 달리고 있었습니다. 건설사 스티커가 붙어있었고 적재함에도 현장에서 사용하는 타일본드 통이나 공구들이 적재되어 있는 모습으로 보아 작은 건설사에서 작업용으로 사용하는 차량으로 보였습니다. 딱히 매연이 과하게 나온다거나 그런 느낌은 없었습니다만, 상태로 보아하니 그리 오래 버티진 못할 것 같았습니다.

 

팔탄분기점으로

 

짧은 만남 조금이라도 가까이에서 보고 싶었습니다만, 저 DN8이 방해하여 보지 못 했습니다.

 

차선을 바꿔도 앞에서 기어가고, 막상 분기점으로 따라 들어가니 자기도 앞으로 쏙 따라 들어가서 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벌리더군요. 이렇게 좀 더 가까이에서 보고 싶은 차가 있어도 의도치 않게 방해하는 차량들이 있는 경우 이렇게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헤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 아쉽기만 합니다.

 

다음은 며칠 뒤 비슷한 구간에서 목격했던 1999년 8월에 최초등록된 현대의 중형 세단 EF쏘나타입니다.

 

 

[목격]1997 쌍용 SY트럭(SY25t) / 2000 현대 EF 쏘나타

오늘은 간단히 목격했던 차량 두대를 다뤄볼까 합니다. 먼저 97년 5월 등록된 쌍용의 SY트럭입니다. 다른 메이커에서 일본 메이커들과 기술제휴를 이루며 일본제 트럭을 생산하던 시절에 쌍용은

www.tisdory.com

 

1999 HYUNDAI EF SONATA 2.0 M/T

 

충남45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고속도로 정체구간을 지나고 있었습니다.

 

2004년 전국번호판의 도입 이후 지역번호판 발급이 중단된지 20년이 넘은지라 충남45의 지역에서 나고 자랐어도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이네요. 당진에서 최초 발급된 번호판입니다. 충남45 '라'의 경우 2001년까지 발급되었는데 보통 2000년 2001년식 차량들에서 많이 보곤 했었습니다만, '라' 1천번대라 그런지 99년 8월에 등록된 차량이었습니다. 

 

1999 HYUNDAI EF SONATA 2.0 M/T

 

드림 테크놀로지라는 슬로건이 인상적이었던 현대가 자체 개발한 플랫폼이 적용된 차량이었습니다.

 

특유의 엔진음이 인상적인 시리우스 엔진이나 미쓰비시제 변속기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적용하긴 했지만 자체 개발한 플랫폼을 적용하며 기술독립을 위해 차근차근 실현해 나가던 과정에 있었던 차량입니다. 이후 NF에서 엔진, YF에서 변속기까지 모두 미쓰비시의 흔적을 지우게 되었죠.

 

그 시절 현대차가 다 그랬듯 부식에 취약했던 것도 있고, 상대적으로 구형보다 부분변경 모델인 뉴 EF의 판매기간이 더 길었던지라 신형 대비 도로 위에서 더 보기 어려운 느낌이 없지 않은 차량 중 하나입니다.

 

무난히 달린다

 

드문드문 덧칠의 흔적이 보이지만 무난하게 잘 달리고 있었습니다. 거기에 수동이네요.

 

최신형 쏘나타 택시와 나란히 달리는 모습을 보니 25년 전에는 그리 작다고 느껴지지 않았던 EF 쏘나타가 조금 왜소하게 보여지더군요. 등록제원상 1997cc 휘발유 차량으로 나옵니다만, 1.8 혹은 택시에 적용되던 14인치 방패휠이 장착되어 있었고,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던 차량이네요. GVS 이상으로 올라가야 15인치 알루미늄 휠이 적용되었는데, 이후 뉴 EF로 부분변경을 거친 뒤에야 깡통휠도 15인치로 시작하게 됩니다.

 

1999 HYUNDAI EF SONATA 2.0 M/T

 

최초등록 시기상으론 2000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던 시기인데....

 

저 그릴과 호박색 헤드램프가 적용되기 시작한게 2000년형인데 그릴은 2000년형임에도 헤드램프는 그 이전 년식용이네요. 중간에 사고가 있어 그릴을 교체했던것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이리저리 짬뽕된 상태임에도 건재하게 도로를 잘 달리던 EF 쏘나타였습니다. 비록 정체구간에서 짧게 만났습니다만, 앞으로도 주인 어르신과 함께 오랜 세월 도로를 누비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며칠전에 4축 타이어에 반생이가 박혀 펑크가 났기에 거의 다 닳은 5축 타이어를 교체해줬습니다.

 

지난해 5월에 중국산 타이어 네 짝을 끼웠었는데..

 

 

프리마 카고 5축 타이어 교체 - 중국산 12R 22.5 청산(CHENGSHAN) CFH136

지난해 7월에 5축 타이어를 중국산이자 금호타이어의 모기업인 더블스타 아오센으로 교체했었는데 10개월 조금 넘기고 거의 다 닳아 또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솔직히 조금 더 타도 될 수준으

www.tisdory.com

 

하나는 옆구리가 찍혀서 교체, 하나는 트래드가 뜯겨나가서 교체했었죠..

 

 

프리마 카고 타이어 찢어짐 + BF Goodrich 타이어로 교체

이날 웬일로 아침부터 딱딱 맞아떨어지나 싶었더니.. 오후에 억까를 당하고 돌아와서 상차를 하고 나오는데 5축에서 에어 새는 소리가 꽤 크게 나더군요. 또 어디서 에어가 새는 건가 하고 봤더

www.tisdory.com

 

프리마 25톤 카고 중국산 타이어 트래드 뜯김+ 교체

최근에 교체했던 신품 중국산타이어 말고, 지난 5월에 교체했던 중국산 타이어가 자꾸 말성이네요. 지난 9월에 억까 아닌 억까를 당했던 자리 바로 옆에 있던 타이어도 결국 문제가 생겨 내리게

www.tisdory.com

 

9월과 12월에 교체했던 타이어 두 짝 모두 거의 다 닳아서 4축 타이어의 펑크를 때우며 둘 다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9월에 끼웠던 타이어

 

지난해 9월에 대타로 끼웠던 BF 굿리치 타이어입니다.

 

사실상 다 닳아서 트레드가 민자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좀 더 버티다 5월에 끼울까 하다 어차피 다 닳은 마당에 다른 타이어가 펑크가 났긴 하지만 들어간 김에 교체를 결심했습니다. 9월부터 약 7개월을 달렸으니 반쯤 남았던 타이어가 이정도 닳아있는건 당연하지요. 

 

12월에 끼웠던 타이어

 

그래도 12월에 끼웠던 미쉐린 타이어는.. 이제 마모한계선을 잡아먹기 시작했습니다.

 

아직 지난해 5월에 신품을 가져다 끼운 반대편 두 짝은 50%정도 남아있기에 새 타이어를 끼우고 두 짝을 스페어로 놔둘까 하다가 스페어 한 짝하고 중고 한 짝을 맞춰 끼우다가 어느 하나가 거의 다 닳아버리면 1,2축을 뒤로 보내고 나머지 타이어를 스페어로 놔두려고 합니다.

 

작업중

 

작업이 진행됩니다.

 

작업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펑크를 때우는 타이어와 교체 예정인 5축 타이어 두 본을 탈착합니다. 그리고 어떤 타어를 끼우는게 나을지 타이어 야적장을 살펴봅니다.

 

끼워질 타이어

 

비바람을 맞고 있었던 타이어들이라 내부에 물이 꽤 많이 고여있었습니다.

 

안쪽의 한 짝은 이전에 끼웠던 스페어와 동일한 BF굿리치, 바깥쪽의 한 짝은 세 줄 짜리 한국타이어 AH40입니다. 애매하게 남긴 했는데 둘 중 하나가 먼저 다 닳아버리면 나머지 타이어들도 싹 다 내려서 스페어로 돌릴 예정인지라 여름만 버티면 되겠습니다.

 

펑크 때우기

 

펑크가 나며 옆 타이어와 비볐던 흔적도 보이는군요.

 

승용차처럼 지렁이로 간단히 때워지지는 않습니다만, 펑크 수리는 간단합니다. 타이어를 탈착하여 내부에 패치를 대고 때워주면 됩니다. 그렇게 펑크가 났던 타이어를 수리한 뒤 끼워주고 5축 타이어의 교체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교체된 타이어

 

교체된 타이어들입니다. 아마 여름정도는 무난히 보내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여름을 무사히 버틴 뒤 내리도록 합시다. 여름이 지난 다음에 1,2축 타이어를 뒤로 보내면 분명 겨울까지는 문제 없이 버틸테니깐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