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얼마 전 고속도로에서 위장막을 쓴 엑시언트의 두 번째 부분변경 모델을 또 마주쳤습니다.

 

 

현대자동차 엑시언트 2차 페이스리프트

디젤엔진 아니 더 나아가 내연기관의 신규개발을 포기한 현대차가 DAF 엔진을 도입하여 대형상용차의 유로 7 환경기준에 대응한다는 이야기가 나돌았었고 이에 맞춰 엑시언트의 풀체인지 모델

www.tisdory.com

 

지난번에 본 차량과 달리 이번에 본 차량은 25톤 중축에 하이탑이 적용되었고 소문만 무성했던 전자식 사이드미러. 흔히 말하는 미러캠이 적용된 차량이었네요. 1축과 2축 사이에 무슨 센서가 또 하나 생기는 모양인데 가까이에서 차량을 볼 수 있어 흥미로웠습니다.

 

서해대교 오르막

 

서해대교 상행선을 올라가고 있는데 가볍게 치고 올라오는 위장막이 쓰인 차량이 보였습니다.

 

아마 곧 공개되리라 생각되는 엑시언트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인데 아직까지는 위장막을 쓰고 있었습니다. 지난번에 봤던 차량과는 달리 하이탑이 적용된 차량이더군요. 그리고 사이드미러가 없었습니다. 소문만 무성했던 미러캠이 장착된 차량의 테스트뮬이라는 것을 단번에 알 수 있었죠.

 

잘 달린다

 

24년형 차량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던 LED 테일램프나 전반적인 차량 레이아웃은 변함이 없었습니다.

 

이미 현행 모델에도 옵션으로 선택이 가능하지만 어째 옵션으로 넣어 출고하는 사람은 거의 보이지 않는 복합재 게이트(CSP)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대우차는 그래도 저 CSP 게이트가 사실상 기본 옵션이고 일반 나무 재질의 문짝이 마이너스 옵션이기에 특별히 마이너스 옵션으로 주문하지 않는 이상 저 소재의 적재함 게이트를 장착하고 출고하는 차들이 대부분인데 유독 현대차는 저 복합소재 문짝 옵션을 추가하여 출고한 차량을 보기가 어렵더군요.

 

1축과 2축 사이 무언가가 생김

 

그리고 1축과 2축 사이에도 무언가가 생겼습니다.

 

센서로 보이는데 잘 닦인 도로나 물류센터 혹은 큰 공장만 다니는 차들이면 몰라도 가뜩이나 좁은 골목길이나 너저분한 현장 같은 곳을 다니는 입장에서 타이어를 비비거나 아슬아슬하게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한마디로 거지같은 곳을 자주 다니는 사람 입장에선 부숴먹기 딱 좋게 생겼습니다.

 

더군다나 차고지를 같이 쓰는 엑시언트들 모두 코너범퍼가 온전치가 않은데 저 센서 깨먹어서 큰돈 들어가는 일이 자주 벌어질 것이라 예상됩니다. 거기에 사각지대에 끼어버린 승용차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차선을 변경하다 사고가 발생할 경우 무조건 망가져서 견적만 더 늘어나겠지요.

 

전면부 제외 딱히 큰 변화는 없음

 

위장막이 덮인 전면부를 제외하곤 딱히 큰 변화는 없어보입니다.

 

적재함 우측 하단에는 엑시언트의 코드명인 'QZ'와 두 번째 부분변경 모델을 의미하는 'PE2'가 적혀있었습니다. 또 차값이 얼마나 올라갈지 모르겠네요. 유로 7 규제에 따라 엔진 자체 개발을 포기하고 DAF 엔진을 채택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한국 시장에서 아직 확실하게 검증되지 않은 이 엔진으로 엑시언트가 가진 강력한 장점 중 하나인 '저렴한 엔진계통 수리비' 역시 사라지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잘 달린다.

 

자동축이 내려올 수준의 하중인지 모르겠으나 가변축도 내려와 있습니다.

 

리밋이 걸린 89km/h까지 잘 달리네요. 역시 현행 모델처럼 90까지 다 나가진 않나 봅니다.

 

전자식 사이드미러 모니터

 

밖에서도 내부에 설치된 사이드미러용 모니터가 보이는군요.

 

ccnc 내비게이션이 적용된다는 이야기도 있던데 대시보드 레이아웃은 역시 크게 변경된 것 같지 않고요. 역시 특이사항으로 양쪽 필러 자리에 전자식 사이드미러용 모니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테스트용 차량이라 그런지 기존 사이드미러가 체결되는 자리의 볼트자국은 그대로 남아있지만 양산형 차량은 아마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문짝으로 출고되겠지요.

 

과연 언제 공개되고 가격은 또 얼마나 오를지 모르겠습니다만, 많은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차량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자극적인 제목으로 기사를 생성하는 몇몇 황색지나 사이버렉카 유튜버나 광고쟁이들이 이 블로그의 사진을 가져다 출처를 세탁하여 온갖 방법으로 수익을 창출해 내는 건 익히 봐서 잘 알고 있고 연락이 닿는 경우에는 항의하여 내리게 만드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만, 오토포스트나 뉴오토포스트를 비롯한 패스트뷰 계열 매체들의 경우 블로그나 카페 및 커뮤니티 사이트에 업로드된 사진을 별다른 동의 없이 무단전재. 흔히 말하는 불펌을 기본으로 콘텐츠를 생성하여 여러 포털사이트에 공급하는 방법으로 수익을 창출해 내는 과정에서 티스도리닷컴을 마치 사진 DB처럼 사용함에도 연락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참고 참았었습니다.

 

근데 계열 매체중 하나인 '뉴오토포스트'가 여러 사람들에게 연락이 올 정도의 일을 기어코 내 버렸습니다.

 

물론 커뮤니티나 다른 블로거가 출처를 제대로 남긴 경우라던지 몇몇 공신력 있는 매체에서 사진을 사용하겠다는 연락이 오는 경우 대가 없이 사용을 승낙하는 경우는 있었습니다만, 지금껏 단 한 번도 광고쟁이나 자극적인 타이틀로 낚아대는 매체에게 사진 사용을 허락한 일이 없었으며 앞으로도 없을 것입니다. 

 

자. 여러분은 아래 기사의 썸네일을 보시면 어떤 생각이 드시는지요.

문제의 기사

 

1,000만 원 '벌금 폭탄'.. 양심 버린 화물차 차주들, 참교육 시작됐다

3월 13일에 이런 기사 제목에 제가 현물출자하여 보유하고 있는 화물차의 사진이 올라왔습니다.

 

무려 이 사진이 기사에 첨부된 이미지도 아니고 기사를 대표하는 썸네일 이미지로 활용되어 뉴오토포스트가 계열 매체 이름으로 기사를 송고하는 여러 포털사이트에 공급되었고, 디시인사이드에서는 메인페이지 우측과 댓글돌이를 통해 댓글창에 수시로 노출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제게 단속에 걸렸었냐는 연락이 수없이 왔었고 며칠 잠도 제대로 못 자며 스트레스를 받아야만 했습니다.

 

당시 포스팅 역시 자의식 과잉에 의해 천천히 지나갔으면 문제 없었을 상황에서 과적벨이 울려 강제로 짐을 앞으로 밀어버렸던 에피소드를 담은 내용의 포스팅이었고 정상적으로 구조변경이 된 차량에 불법 개조도 없고 과적 단속에 적발된 이력도 없습니다. 지금 데칼 이전의 차량 상태입니다만, 저를 알고 제 차를 아는 분들이라면 다 저 차의 차주가 누구인지 알고 있으며, 차량 번호나 스티커의 상태로 보더라도 차량을 특정할만한 요소가 상당히 많기에 누가 봐도 저 사진속 화물차의 차주로 제가 특정됩니다.

 

 

1,000만 원 '벌금 폭탄'.. 양심 버린 화물차 차주들, 참교육 시작됐다

도로에서 우리는 대형 화물차를 흔히 볼 수 있다. 그리고 과적하거나, 불법 개조한 경우도 종종 보곤 한다. 실제로 화물차 교통사고를 살펴보면, 운전자의 부주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졸음운

newautopost.co.kr

 

그렇게 저는 벌금 폭탄을 맞고 참교육을 당한 화물차 차주가 되었습니다.

그러니 이 자극적인 제목과 함께 걸린 사진을 보고 여기저기서 제게 연락이 왔겠죠.

 

오토포스트 갤러리지만 실제 기사는 뉴오토포스트발.

 

디시인사이드에 '오토포스트'로 송고된 해당 기사입니다. 

 

뉴오토포스트는 '(주)피클컴퍼니'에서 운영하는 매체입니다만, '(주)카붐'에서 운영하는 오토포스트로 개설된 페이지에 기사가 올라갔네요. 이런 방식으로 다음(DAUM)에는 대전에 소재지를 둔 '레인포크 리버'에서 운영하는 오토포크 채널에 기사가 송고되었습니다. 

 

기사 제목과 달리 내용은 평범합니다. 법규를 위반한 대형 화물차를 비판하고 처벌 수위에 대한 설명이 해당 기사의 주된 내용인데 남의 사진을 아무런 사용 동의 없이 출처까지 떡하니 크게 박아놓고 기사 내용과 관련 없다는 문구 없이 저를 참교육 당하는 악덕 차주라 몰아가며 명예까지 실추시키고 있으니 도저히 가만히 있을 수 있나요.

 

불과 10일 전인 3월 3일에 뉴오토포스트에서 송고된 기사에서도 제가 촬영한 사진을 무단으로 전재했습니다.

 

뉴오토포스트

 

저상버스 의무도입과 관련된 기사 하단에 중국산 전기버스 사진도 긁어갔네요.

 

요즘은 이렇게 출처라도 쓰고 가져가는데 예전엔 출처를 아예 표기하지 않거나 세탁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나마 출처라도 쓰고 가져가는 모습을 고맙다고 여겨야 할까요? 이번에는 스트레스도 스트레스대로 받고 도저히 못 참겠더군요. 

 

그래서 빠른 해결을 위해 언론중재위원회를 찾아갔습니다.

 

언론중재위원회 홈페이지

 

언론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을 때, 가장 빨리 처리할 수 있는 준사법기관이 언론중재위원회입니다.

현직 부장판사인 중재부장과 언론인 출신의 조정위원 5인이 하나의 중재부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아 그러고 보니 현역 대학생 시절에 학보사 기자로 활동하기도 했었고, 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하며 언론학 학사학위까지 받으면서 이런 일이 벌어질까 싶었는데 학교 다니며 열심히 배웠던 저널리즘의 기본 윤리조차 지키지 않는 황색언론 때문에 언론중재위원회까지 찾는 일이 벌어지게 되는군요.

 

요즘은 전자신청도 가능하여 따로 팩스나 등기우편으로 조정신청서를 보내지 않고도 조정신청을 접수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접수 과정에서 전화로 상담을 받은 뒤 접수를 할 수도 있고, 홈페이지의 조정신청방법 페이지만 봐도 설명이 쉽고 상세하게 나와있어 일반인들도 쉽게 조정신청을 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언론중재위원회

언론중재위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ww.pac.or.kr

 

그 외에도 언론중재위원회에서는 매년 사례집을 발간하는데 그 해에 있었던 주요 사례를 주제별로 모아놓았고 PDF 파일로 다운로드하여 볼 수 있습니다. 보다 보니 상당히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더군요 심심하시다면 한 번쯤 들어가셔서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렇게 언론중재위원회 홈페이지의 자세하고 친절한 신청예시를 보고 해당 매체를 상대로 하는 언론조정신청서라는 이름의 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습니다.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을 청구하였고 월요일에 접수 담당 직원이 전화가 와서 몇몇 사안에 대해 보정명령을 내려 그 부분을 수정하고 다시 접수되었고 중재부에 배당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조정기일 출석요구서가 등기우편으로 도착하였습니다.

 

조정기일 출석요구서

 

조정신청서와 함께 그간의 과적단속이력과 해당 매체의 확인된 무단전재 사례를 첨부하였습니다.

 

그리고 4월 4일로 조정기일이 잡혔는데, 마침 탄핵사건 선고기일이 4월 4일로 잡혀버리며 서울시청에서 광화문 방향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프레스센터빌딩 역시 안전지대가 아닌지라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하여 조정기일 이틀 전에 기일이 변경되어 4월 11일로 밀리게 되었습니다.

 

조정기일에 출석하기 전 합의를 위한 시도가 있긴 했습니다만, 서로간의 의견차이만 확인하고 합의는 불발. 서로 얼굴 보고 얘기하기로 하고 기일만을 기다리는데 중재가 진행되는 시기에도 무단전재했던 흔적을 발견하여 준비서면까지 작성해서 제출했습니다.

 

준비서면

 

준비서면은 선택사항입니다만, 자진해서 작성하여 제출했습니다.

 

중재 도중 발생했던 추가 무단 전재 사례와 신청서에 담지 못했던 무단전재에 심지어 이 블로그의 포스팅 두 건을 아예 주제로 기사를 만들고 사진까지 무단으로 전재했던 사례까지 다 담았습니다. 그러니 첨부파일까지 55페이지가 넘어가더군요. 그렇게 조정기일이 다가와 조정기일에 출석하게 되었습니다.

 

언론중재위원회(Press Arbitration Commission)

 

서울시청 뒷편 프레스센터 15층의 언론중재위원회로 갑니다.

언론중재위원회(Press Arbitration Commission) 간판이 건물 앞에서 맞아줍니다.

 

내가 피해를 입고도 생업까지 쉬어가며 KTX를 타고 서울역까지 올라와서 전철로 갈아타고 시청역까지 가서 언론중재위원회에 출석해야 하나 회의감도 듭니다만, 사건 조정에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조정절차와 내용은 비공개라 여기서 말씀드리긴 어렵고, 생각보단 간단하게 끝났습니다. 조금 아쉬운 부분도 있었지만 정정보도와 손해배상과 관련된 내용이 모두 담긴 조정합의서를 작성하고 무난하게 끝났습니다. 추후 정정보도 기사가 올라오면 후속 포스팅으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