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제 평택-제천 고속도로를 타고 가던 길에 폐차장으로 향하던 버스를 목격하여 사진으로 남겼습니다.

 

KD 운송그룹의 핵심인 경기고속에서 화성 안녕동에서 수원을 거쳐 분당까지 올라가는 720-2번 노선에서 사용하던 버스들이네요. 계열사들이 대부분 버스회사인 이 그룹에는 KD 오토리사이클링이라는 버스 전문 폐차장이 계열사로 존재합니다. 상태가 좋은 차량은 자가용으로 매각하거나 수출을 보낸다고 합니다만, 일단 폐차장에 들어간다는 얘기는 자동차로서의 생명을 다 했다는 이야기겠죠. 그렇게 마지막을 불사지르며 음성 생극면에 소재한 이 회사의 폐차장으로 가는 길로 보이네요.

 

2011 DAEWOO BUS BS106 F/L

마치 검은 사이드미러가 팬더를 연상시켜 흔히 '팬더곰'이라고 부르는 버스입니다.

 

차량의 길이에 따라 BS090 '로얄 미디'와 BS106 '로얄 시티'로 나뉘긴 합니다만, 좀 더 길은 버스와 짧은 버스의 차이는 확연하니 육안상으로도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측면 유리창의 개수로도 구분이 가능한데, 이 차량들은 다섯 칸인 BS106입니다.

 

버스의 내구연한은 9년이지만 연장 검사를 거쳐 최대 11년 6개월까지 굴릴 수 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코로나로 인해 한시적으로 차령을 1년 더 늘려줬으니 12년 이상 굴릴 수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지요. 이 차량들은 2011년식 차량이니 기본 내구연한을 모두 채웠고 이후 검사를 거쳐 노선버스로 최근까지 운용했을겁니다.

 

현행 모델인 NEW BS 시리즈가 2012년에 출시되었으니, 11년식인 이 차량들은 사실상 팬더곰 끝물 모델입니다. 이마저도 거의 다 대차되어 이전처럼 도로 위에서 쉽사리 보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리고 얼마 남지 않은 개체들도 이렇게 사라져 갑니다.

 

2011 DAEWOO BUS BS106 F/L

뒤 따라오는 버스는 좌측 헤드램프가 없네요. 그럼에도 큰 위화감이 없어 보입니다.

그렇게 두 대의 국내생산 대우버스가 사라졌습니다.

 

해당 차량들은 8월 말 중국산 전기버스로 대차 되었다고 합니다. 대우버스만 주야장천 출고하던 KD운송그룹 역시 대우버스의 공장 폐쇄로 인해 고속/시외버스는 현대차를, 시내버스는 자체적으로 판매업체를 세워 중국산 전기버스를 도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우 계열 자동차 회사들의 모태가 된 신진자동차도 드럼통 버스를 만들며 성장했던 회사였고 한 때 최고로 쳐주던 버스를 만들던 회사인데 최대 고객에게도 외면받는 이 현실이 매우 안타깝게 느껴집니다.

 

최근 새 주인을 찾은 쌍용차의 회생에는 정치권도 시민들도 많은 관심을 가졌습니다만, 내내 비슷하게 직간접적으로 수천 명의 밥줄이 달린 대우버스는 별다른 관심을 끌지 못하고 공장 문을 닫았습니다. 몇몇 진보정당이 관심을 가져줬던 게 전부네요. 비록 기술개발에서 뒤처지며 경쟁력을 상실했지만 중국산 부품을 국내에서 조립하여 국산 버스라고 판매하는 중소업체와는 달리 그나마 현대/기아의 경쟁 상대라도 될 수 있는 이런 회사 하나가 개도국 시장용 메이커로 전락하고 70년의 역사를 함께 했던 대한민국에서 사라진다는 사실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한 때 한양고속의 본사가 있었던 신례원에 잠깐 갔습니다. 

지금은 회사가 서산으로 옮겨갔고 기존 정류장이자 사옥으로 활용되던 그 건물은 철거되었습니다.


나름 장항선 역도 있고 천안 출발 노선 차량들이 예산을 거쳐 남쪽으로 내려가느냐 합덕과 당진을 거쳐 태안까지 들어가느냐에 따라 분기하는 구간이고 예산발 천안경유 노선 버스들도 모두 정차하니 신례원은 사실상 교통의 요지입니다. 그동안 신례원에 갔던 일화는 이미 많이 있으니.. 함 골라서 보시지요.


철거된 구 신례원 버스정류소,추억의 03년식 그랜버드, 봉고기관차, 유선형 새마을동차 모두 볼 수 있습니다.


여튼간에 신호가 걸려 정차를 했고, 의도치 않게 나름 의미 있는 버스를 보게 됩니다.



사실상 뭐 삼거리 신호에서 정차를 하고, 바로 앞에 버스가 서 있으니 보이는건 버스 뒷모습이죠.


별 생각 없이 정차를 했습니다만, 유로4 스티커가 붙어있는 로얄시티가 벌써 저렇게 녹이 올라오는건가 싶어 봤는데 흥미로운 무언가를 발견해냈습니다. 스티커를 붙였다가 떼어 낸 흔적이 있네요.



자세히 보면 희미하게 '일 광'이라 써 있습니다.


생각해보니 회사 이름을 저런 형태로 쓰는 지역은 부산이고.. 빨간색이면 부산 좌석버스 도색인데..



비염치료는 코스텍(정관)한의원입니다.


광고를 보고 잽싸게 코스텍 한의원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를 봤습니다. 인천에 지점이 있긴 했었지만 부산지역에 기반을 둔 한의원이더군요. 정관점은 부산 기장에 소재하고 있더랍니다.


즉, 일광교통 역시 부산 기장에 본사를 둔 회사고.. 광고의 한의원 역시 부산 기장에 소재한 곳.


그럼 결론이 났네요. 부산에서 사온 중고버스입니다.



알아보니 지금은 일반버스 노선으로 전환된 307번 노선을 다니던 디젤버스라 합니다.


해운대에서 김해국제공항까지 다니던 노선이였는데.. 일반버스 노선으로 형간변경이 된 이후에 결국 필요 없어진 307번 공항좌석버스는 다른 노선으로  매각되어 저멀리 충남 예산의 예산교통까지 팔려 오게 된 상황이더군요. 정말 기구한 버스의 운명입니다.


학교 다닐 적 기억으론 당진여객도 01년식 BM090 로얄미디를 07년에 인천에서 구입해서 도색까지 마친 뒤 노선 투입을 했었고, 그래도 별 탈 없이 차령을 다 채운 뒤 대차되었습니다. 다만 예산교통 소속의 로얄시티F/L 좌석버스들은 본래 부산도색 그대로 운행중인 상황이네요.



출신지는 저 아래 부산이고 도색도 부산 좌석버스 도색입니다만 전혀 위화감 없이 돌아다닙니다.


뭐 분명히 알고 타는 사람도 있겠지요. 저런 도색이 된 차량을 출고한 적이 없는 예산교통인데 말입니다. 실내에 아직도 부산의 흔적이 남아 있을진 모르겠네요.



다시는 버림받는 일 없이 예산에서 퇴역하길 바래봅니다.


특수한 사정에 의해 해운대 도심을 누비며 공항까지 다니던 공항버스가 저 멀리 타지로 팔려와 잘 가봐야 아산급 중소도시고 한적한 시골로 들어가는 농어촌버스가 되어버렸지만, 그래도 예산에서 버림받아 다른 동네로 가는 일 없이 퇴역하기를 바래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