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94건

반응형

 

다시금 날이 쌀쌀해지고 있습니다. 비록 주말에나 들어가서 자는 별장처럼 이용하고 있는 할머니댁이지만, 지난 겨울에 연료탱크에 대략 70%정도 채워진 기름을 다 써서 바닥을 드러낸 보일러 연료탱크를 채워야만 올 겨울도 날 수 있겠다 싶어 연료탱크에 등유를 채워놓기로 합니다.

 

근데 생각해보니 어느 주유소에 주문을 하라는 얘기도 없었고, 어릴적부터 가스보일러를 쓰던 집에 살았던데다가 지금 사는 집 역시 지역난방으로 열을 공급받는 지역이다보니 흔히 석유보일러라 하는 기름보일러에 기름을 채우는 모습을 직접 보진 못했습니다.

 

여튼 1톤 혹은 2.5톤급의 홈로리 트럭이 와서 보일러 연료탱크에 기름을 넣어준다고만 알고 있지 막상 주유소에 기름 배달을 주문했던 적은 없었네요. 일단 저렴한 주유소를 찾기 위해 한국석유공사에서 운영하는 오피넷(www.opinet.co.kr/)에 접속하여 각 주유소의 실내등유 가격을 확인합니다.

 

오피넷(http://www.opinet.co.kr/) 싼 주유소 찾기 페이지.

차량연료로 사용하는 휘발유,경유의 가격 비교를 위해 이용하지만, 실내등유의 가격비교도 가능합니다.

 

다만 일반적인 주유소가 아닌 경유와 등유만 취급하는 석유취급소의 경우 가격비교가 불가합니다. 여튼 오피넷으로 당진시의 실내등유 가격을 비교해본 바 650원이 가장 저렴하네요. 이 중 가장 가까이에 있는 주유소인 합덕농협 주유소에 전화를 걸어 주소를 불러주고 등유를 주문합니다.

 

한 드럼에 200리터. 보통 드럼 단위로 주문을 합니다만, 그냥 가득 넣어달라고 주문했네요.

 

보일러실. 고양이가 갈기갈기 찢어놓은 보온재와 거미줄을 치운다.

보일러실 문을 열어봅니다. 오래된 옛 가옥의 보일러실인지라 뭔가 허술합니다.

 

고양이가 와서 보온재를 갈기갈기 찢어놓고 가기도 했고, 빗자루로 거미줄도 치웁니다. 보일러 자체는 별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조금 남은 기름으로 정상작동여부를 확인했습니다.

 

수평호스에 얼마나 기름이 들어가 있는지로 대략적인 연료탱크 내 기름의 양을 알 수 있다.

수평호스에 얼마나 기름이 올라와 있는지로 대략적인 연료탱크 내 기름의 양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지난 겨울에 대략 70%정도 차있던 기름을 저정도 남기고 다 썼습니다. 그런고로 이번에 등유를 채워넣는다면 겨울을 나고 또 내년까지 쓸 수 있겠죠. 매일같이 보일러를 가동하지는 않을테니 말입니다.

 

불과 얼마 전까지 마이티QT 홈로리 트럭을 사용하더니 신형 마이티 2.5톤 홈로리로 차가 바뀐듯 하다.

3.5톤 마이티 홈로리(이동식주유차)가 골목길을 들어옵니다.

 

사진상 보이는 2층집은 도색 작업을 위해 페인트를 까고 있고, 맞은편 농약상 창고에서는 물건을 빼고 있었던지라 좁은 골목이 매우 복잡하게 느껴집니다. 물론 차량 출입이 힘든 골목에 있다면 멀리 차를 세우고 주유호스를 길게 늘어뜨려 보일러 탱크에 등유를 주입했겠죠. 차량 출입이 가능하니 그런 수고로운 일은 없었습니다.

 

주유 시작

일반적인 탱크로리와 달리 주유기가 자리하고 있어 그 자리에서 주유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주유건을 보일러 연료탱크에 꼽고 주유를 시작합니다. 얼마나 들어갈지는 봐야 알겠죠. 이동식주유차라는 이름에 걸맞게 주유기에서 주유량과 금액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일반적인 주유소의 주유기처럼 정기적으로 검사도 받습니다. 그냥 움직이는 주유소입니다.

 

보일러 연료탱크에 등유가 가득 찬 모습

그렇게 한참 주유건을 꼽아놓으니 연료탱크가 가득찼습니다.

 

내년 겨울에나 다시 등유를 채워넣겠죠. 잘하면 내년 겨울까지 보낸 다음 내후년 겨울을 준비하면서 주유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겨우내 잘 버텨주었으면 합니다.

 

등유 353리터. 약 23만원.

총 353리터의 등유가 주유되었습니다.

 

리터당 650원 * 353리터 = 229,450원입니다. 물론 리터당 680원인 주유소에서 등유를 주문했다면 대략 만원. 리터당 700원인 주유소에서 등유를 주문했다면 대략 만 칠천원을 더 내야 같은 양의 등유를 구입 할 수 있었겠지요. 승용차에 많이 넣어봐야 4~50리터를 넣는 수준으로는 기름값이 몇십원 더 싸고 비싸고가 큰 체감이 가지 않는데, 300리터가 넘는 기름을 넣으니 만원이 넘게 차이가 납니다.

 

가정용 보일러 연료탱크보다 기름통이 더 큰 대형 화물차의 경우 주유소 기름값에 따라 금액차이가 2만원 이상도 날 수 있겠지요. 그냥 단순히 리터당 얼마라는 기름값만 본다면 별 차이가 없어보이지만 그 차이가 꽤나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결제는 현장에서 휴대용 카드리더기에 IC카드를 삽입하여 진행합니다.

 

내내 주유소에 가서 결제를 하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결제를 마친 뒤 트럭은 떠났습니다. 보일러와 함께 전기장판과 전기난로를 사용합니다만, 그래도 방 바닥이 데워져야 전반적으로 방이 훈훈하게 느껴지는지라 보일러는 꼭 필요합니다.

 

다가오는 겨울. 떨지 말고 누구보다도 따뜻하게 보내봅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노브랜드 마트에 가서 두부된장찌개라는 이름으로 된 플라스틱 용기가 눈에 띄기에 하나 구입해 왔습니다.


두부와 채소 그리고 된장찌개 액기스까지 담아 판매하고 있었고, 직접 된장찌개를 끓여 먹을 수 있는 형태의 제품이였습니다. 나름대로 입이 고급이라 한번 냉동에 들어갔거나, 레토르트 식품 특유의 맛을 싫어하여 조리가 된 상품을 구입해서 끓여먹다 보면 그냥 입에 물려버리곤 하는데 이건 과연 어떤 맛을 낼지 궁굼해서 구입했네요.


아 물론 깐깐한 주부 아주머니들께는 비싼 가격이지만, 저처럼 혼자 살아 굳이 채소를 하나씩 살 필요가 없는 사람에게는 괜찮은 구성이 아닐까 싶습니다.



노브랜드 푸드뉴스 두부된장찌개입니다.


두부가 푸짐하게 들어가 있는 구수한 두부 된장찌개라는 설명과 함께 두부를 비롯하여 감자와 양파 애호박 팽이버섯 마늘 대파 고추가 다 적당한 크기로 잘린 상태로 들어있습니다. 물만 넣고 끓이면 된다네요.



요리 초보를 위한 조리법도 매우 친절하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뭐 채소는 다 국산. 두부도 국산콩을 사용했습니다. 된장찌개소스의 성분만 수입산이네요.



뚜껑을 열어봅니다. 변색의 우려가 있는 감자만 진공포장이 된 상태입니다.


두부는 팩에 담겨져 있었고, 된장찌개소스 역시 밀봉되어 있었습니다. 뜯어서 물에 풀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설명서대로 이미 한번 세척해서 나왔을법한 채소를 다시 닦아주고 두부를 잘라줍니다.


두부가 생각보다 작았는데 너무 크게 썰어놓은 느낌이더군요. 먹을때 너무 크고 두꺼웠던지라 다음부터는 조금 더 조각을 내 볼 생각입니다.



냄비에 물과 함께 된장찌개 소스 액기스를 넣은 뒤 팔팔 끓여줍니다.



채소를 다 투하하고 한번 더 다시 끓여줍니다.


어느정도 끓은 다음 두부를 넣고 또 끓여주네요. 냄새는 그럭저럭 된장찌개 냄새가 납니다.



물을 좀 많이 잡았던지라 국물이 좀 많아보이긴 하지만 완성입니다.


맛은 뭐 그냥 평범한 된장찌개 맛이 납니다. 다만 된장소스에 다시다를 비롯한 합성조미료가 꽤 많이 함유되어 특유의 뒤끝이 남네요. 합성조미료의 양만 조금 줄이면 완벽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반적인 느낌은 나쁘지 않았습니다. 나중에 노브랜드에 가면 하나 더 사다가 냉장고에 넣어놓고 먹어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