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격]1999 기아 프레지오 3.0(KIA PREGIO 3.0) / 2002 대우 매그너스 클래식(DAEWOO MAGNUS CLASSIC)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2025. 1. 21. 22:51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지난 10월 말에 목격했었던 두 차량을 다뤄보려 합니다.
둘 다 이전에 한 번 이상 다뤘던 경험이 있던 차량인데, 세기말 기아의 독자개발 승합차 프레지오와 대우의 집념이 담긴 독자개발 직렬 6기통 엔진이 적용된 대우의 중형 세단 매그너스가 그 주인공입니다. 이제 세기말 차량과 21세기 초반 차량들까지 본격적으로 올드카 목격담의 소재로 다뤄지게 되는군요.
먼저 외곽순환고속도로 시흥TG에서 목격했던 프레지오입니다.
이전에도 초기형인 96년형 밴 모델을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었지요.
이 차량은 JT엔진이 적용된 이후의 모델입니다.
1996 기아 프레지오 밴 / 기아 점보타이탄 (KIA PREGIO VAN / JUMBO TITAN)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6년에 생산된 기아의 상용차량들입니다. 마침 두 차량의 번호판이 '서울80'으로 시작하고 비슷한 시기에 발급되었네요. 비슷한 시기에 발급되었던 번호판이지만, 아직
www.tisdory.com
초기형 모델들은 J2엔진이 적용되었습니다만, 97년 봉고 프런티어의 출시와 함께 하위트림인 RS를 제외한 전 사양에 3000cc JT엔진을 선택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시기 JT엔진을 선택한 프레지오는 3000cc라는 경쟁차종 대비 높은 배기량을 내세우기 위해 배기량 표시가 꼭 붙어있습니다. 이후 롱바디 15인승 모델인 프레지오 그랜드의 출시와 함께 부분변경을 거치며 어느 순간 사라지긴 했습니다만, 이 차량은 3000cc JT엔진이 적용되었음을 자랑스럽게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녹색 전국번호판에 부식도 드문드문 보이고 천장도 울퉁불퉁.
글라스런 고무도 튀어나와있고.. 상태는 그럭저럭이었습니다.
그럼에도 사실상 조기폐차라 쓰고 적폐청산이라 읽는 행위로 5등급 노후경유차가 대부분 자취를 감춘 수도권 땅에서 살아 돌아다닌다는 사실만으로도 경이롭게 느껴집니다.
승객석에도 독립시트가 적용된 9인승이나 조수석에만 독립시트가 적용된 11인승보다는 12인승 모델이 주로 판매되었던지라 이 차량도 12인승일 확률이 높겠지요. 승합차라는 용도 대신 사실상 짐차로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라 큰 의미는 없겠습니다만, 고속도로 요금소도 문제 없이 통과하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프레지오와의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다음 차량으로 넘어갑니다.
다음은 2002년 6월에 등록된 대우 매그너스 클래식입니다.
출시 초기에는 클래식 모델만 판매되었습니다만, 2000년 하반기에 스포티함을 강조한 이글이 출시되며 기존 모델은 클래식이라는 부기명이 붙어 이글과 클래식으로 이원화되어 판매되었습니다. 애초에 준대형으로 포지셔닝되었던 차량인지라 당대 동급 중형차 대비 훨씬 고급스럽고 웅장한 분위기를 자랑하지요. 이후 2002년 직렬 6기통 XK엔진이 적용되기 시작하며 6기통 엔진이 적용된 차량에는 L6 레터링이 함께 붙기 시작했고요. GM대우 출범 이후 부분변경을 거치며 대우의 패밀리룩을 이루던 삼분할 그릴이 사라졌고, 클래식 모델만 살아남아 단종시까지 판매되었습니다.
[목격] 2000 대우자동차 매그너스 2.0 DOHC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대우자동차의 마지막 중형차 매그너스입니다. 문어발식 경영으로 사세를 확장하던 대우그룹은 매그너스의 개발과 출시 시점에 큰 위기에 봉착하게 됩니다. 매그너스는
www.tisdory.com
이전에 초기형 매그너스를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었지요. 엔진과 그릴정도 말곤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이 차량은 뒷유리에 붙은 스티커의 길이가 엄청 길고 금장 레터링이 붙어있는 모습으로 보아 ABS TCS에 듀얼 및 사이드에어백을 비롯한 당시 뒷유리에 자랑하던 초호화 옵션은 죄다 적용되었던 'L6 2.0 로얄 일반형'으로 보입니다.
요즘 기준으로는 상당히 작아보이는 15인치 휠.
연비스티커도검게 변하긴 했지만 그대로 붙어있네요.
휠하우스 부식과 살짝 긁혀있는 범퍼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깔끔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2.0 로얄 고급형이라면 16인치 휠이 적용되었을것이고, 익스클루시브라면 분명 측면에 레터링이 붙어있었을건데 없네요. 2.0 로얄 일반형이 맞아 보입니다. 한일월드컵의 열기로 뜨거웠던 시기에 출고되어 23년 가까운 세월동안 달리고 있습니다.
미등은 잘 들어오는데 한 쪽 안개등은 전구의 수명이 다해버렸네요.
부식만 잘 잡아준다면 깔끔한 순정 상태 그대로인지라 보존가치도 충분하게 느껴지는 차량이었습니다. 서해안고속도로 발안 부근 정체구간에서 잠시 함께 달렸던 이 매그너스도 부디 오랜 세월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올드카 목격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93 기아자동차 세피아 GLXi M/T (1993 KIA SEPHIA GLXi M/T) (2) | 2025.04.11 |
---|---|
1997 현대자동차 마르샤 2.0(1997 HYUNDAI MARCIA 2.0) (0) | 2025.04.01 |
1996 삼성상용차 SM510 11.5톤 셀프로더 / 1990 기아 라이노 (1) | 2024.12.19 |
[목격] 1994 현대15톤카고트럭(91A) (0) | 2024.11.20 |
2001 현대자동차 티뷰론 터뷸런스 (2001 Hyundai Tiburon Turbulence 2.0 A/T) (0) | 202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