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지난 10월 말에 목격했었던 두 차량을 다뤄보려 합니다.

 

둘 다 이전에 한 번 이상 다뤘던 경험이 있던 차량인데, 세기말 기아의 독자개발 승합차 프레지오와 대우의 집념이 담긴 독자개발 직렬 6기통 엔진이 적용된 대우의 중형 세단 매그너스가 그 주인공입니다. 이제 세기말 차량과 21세기 초반 차량들까지 본격적으로 올드카 목격담의 소재로 다뤄지게 되는군요.

 

먼저 외곽순환고속도로 시흥TG에서 목격했던 프레지오입니다.

 

1999 KIA PREGIO 3.0

 

이전에도 초기형인 96년형 밴 모델을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었지요.

이 차량은 JT엔진이 적용된 이후의 모델입니다.

 

 

1996 기아 프레지오 밴 / 기아 점보타이탄 (KIA PREGIO VAN / JUMBO TITAN)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6년에 생산된 기아의 상용차량들입니다. 마침 두 차량의 번호판이 '서울80'으로 시작하고 비슷한 시기에 발급되었네요. 비슷한 시기에 발급되었던 번호판이지만, 아직

www.tisdory.com

 

초기형 모델들은 J2엔진이 적용되었습니다만, 97년 봉고 프런티어의 출시와 함께 하위트림인 RS를 제외한 전 사양에 3000cc JT엔진을 선택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시기 JT엔진을 선택한 프레지오는 3000cc라는 경쟁차종 대비 높은 배기량을 내세우기 위해 배기량 표시가 꼭 붙어있습니다. 이후 롱바디 15인승 모델인 프레지오 그랜드의 출시와 함께 부분변경을 거치며 어느 순간 사라지긴 했습니다만, 이 차량은 3000cc JT엔진이 적용되었음을 자랑스럽게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상태는 그럭저럭. 짐차네.

 

녹색 전국번호판에 부식도 드문드문 보이고 천장도 울퉁불퉁.

글라스런 고무도 튀어나와있고.. 상태는 그럭저럭이었습니다.

 

그럼에도 사실상 조기폐차라 쓰고 적폐청산이라 읽는 행위로 5등급 노후경유차가 대부분 자취를 감춘 수도권 땅에서 살아 돌아다닌다는 사실만으로도 경이롭게 느껴집니다. 

 

승객석에도 독립시트가 적용된 9인승이나 조수석에만 독립시트가 적용된 11인승보다는 12인승 모델이 주로 판매되었던지라 이 차량도 12인승일 확률이 높겠지요. 승합차라는 용도 대신 사실상 짐차로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라 큰 의미는 없겠습니다만, 고속도로 요금소도 문제 없이 통과하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프레지오와의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다음 차량으로 넘어갑니다.

 

2002 DAEWOO L6 MAGNUS Classic

 

다음은 2002년 6월에 등록된 대우 매그너스 클래식입니다.

 

출시 초기에는 클래식 모델만 판매되었습니다만, 2000년 하반기에 스포티함을 강조한 이글이 출시되며 기존 모델은 클래식이라는 부기명이 붙어 이글과 클래식으로 이원화되어 판매되었습니다. 애초에 준대형으로 포지셔닝되었던 차량인지라 당대 동급 중형차 대비 훨씬 고급스럽고 웅장한 분위기를 자랑하지요. 이후 2002년 직렬 6기통 XK엔진이 적용되기 시작하며 6기통 엔진이 적용된 차량에는 L6 레터링이 함께 붙기 시작했고요. GM대우 출범 이후 부분변경을 거치며 대우의 패밀리룩을 이루던 삼분할 그릴이 사라졌고, 클래식 모델만 살아남아 단종시까지 판매되었습니다.

 

 

[목격] 2000 대우자동차 매그너스 2.0 DOHC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대우자동차의 마지막 중형차 매그너스입니다. 문어발식 경영으로 사세를 확장하던 대우그룹은 매그너스의 개발과 출시 시점에 큰 위기에 봉착하게 됩니다. 매그너스는

www.tisdory.com

 

이전에 초기형 매그너스를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었지요. 엔진과 그릴정도 말곤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이 차량은 뒷유리에 붙은 스티커의 길이가 엄청 길고 금장 레터링이 붙어있는 모습으로 보아 ABS TCS에 듀얼 및 사이드에어백을 비롯한 당시 뒷유리에 자랑하던 초호화 옵션은 죄다 적용되었던 'L6 2.0 로얄 일반형'으로 보입니다.

 

15인치 휠. 휠하우스 부식

 

요즘 기준으로는 상당히 작아보이는 15인치 휠.

연비스티커도검게 변하긴 했지만 그대로 붙어있네요.

 

휠하우스 부식과 살짝 긁혀있는 범퍼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깔끔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2.0 로얄 고급형이라면 16인치 휠이 적용되었을것이고, 익스클루시브라면 분명 측면에 레터링이 붙어있었을건데 없네요. 2.0 로얄 일반형이 맞아 보입니다. 한일월드컵의 열기로 뜨거웠던 시기에 출고되어 23년 가까운 세월동안 달리고 있습니다.

 

2002 DAEWOO L6 MAGNUS Classic

 

미등은 잘 들어오는데 한 쪽 안개등은 전구의 수명이 다해버렸네요.

 

부식만 잘 잡아준다면 깔끔한 순정 상태 그대로인지라 보존가치도 충분하게 느껴지는 차량이었습니다. 서해안고속도로 발안 부근 정체구간에서 잠시 함께 달렸던 이 매그너스도 부디 오랜 세월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두 트럭을 한 번에 다뤄보려 합니다. 옛 삼성상용차에서 생산했던 6x4 형태의 카고트럭을 셀프로더로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던 차량과 기아의 초기형 라이노입니다. 물론 두 차량 모두 DPF를 장착하고 현재까지 생존해 있으며, 삼성트럭은 자가용 번호판을 달고 있었고, 라이노는 세월이 무색하게 현재까지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하고 현역으로 달리고 있었습니다.

 

그럼 보고 가시죠.

 

1996 삼성11.5톤카고트럭

 

원부상에는 삼성11.5톤카고트럭이라 표시됩니다만, 현재는 셀프로더로 사용 중인 차량입니다.

삼성상용차가 출범했던 96년 8월에 등록된 차량이네요.

 

삼성그룹의 자동차 시장 진출의 역사는 92년 삼성중공업이 닛산디젤과의 제휴로 당시 동아자동차에서 생산했던 레조나(DA30/50)의 후속모델인 빅썸(SM510)의 라이선스 생산을 시작하며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삼성자동차가 세피로를 기반으로 한 SM5를 출시하였으나, 90년대 후반 IMF 사태로 결국 막을 내리게 되었지요. 당시 삼성자동차는 르노에서 인수하여 현재 르노코리아로 이어져 내려오지만, 별개의 기업이던 삼성상용차 역시 르노 혹은 비슷한 시기 르노의 상용차 사업을 인수했던 볼보에 인수되나 싶었습니다만, 결국 청산되었고 설비만 베트남에 매각되었습니다.

 

그렇게 역사속으로 사라진 지 20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삼성트럭은 간간이 볼 수 있지요. 영업용도 가뭄에 콩 나듯 보이긴 합니다만, 대부분 이렇게 자가용으로 사용되는 차량들만 남았습니다.

 

촬영 전날 한참 떨어진 다른 곳에서 이 차량을 목격했었는데, 흔히 뿌레카라고 얘기하는 브레이커(breaker)가 상차되어있는 모습으로 보아 굴삭기를 수송하는 용도로 사용하는듯 보입니다. 적재함 끝단에 DPF 스티커도 붙어있고 상태도 준수한 것으로 보아 오랜 세월 생존 할 것 같네요.

 

다음은 91년 1월에 등록된 90년형 기아 라이노입니다.

 

1990 KIA RHINO

 

라이노는 올해 초에도 한 번 다뤘던 차량이지요.

다만 이 차량은 초기형으로 분류되는 90년형. 91년 1월 등록 차량입니다. 원부상 명칭은 5톤카고트럭이네요.

 

2024.03.0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1996 현대자동차 마이티 / 1997 기아 라이노 (1996 HYUNDAI MIGHTY 2.5t / 1997 KIA RHINO 4.5t)

 

1996 현대자동차 마이티 / 1997 기아 라이노 (1996 HYUNDAI MIGHTY 2.5t / 1997 KIA RHINO 4.5t)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6년 8월 등록된 현대 마이티 내장탑차와 97년 4월에 등록된 기아의 라이노입니다. 두 차량 모두 현역으로 업무를 수행 중이었고, 특히 라이노의 경우 노란색 영업용 번호

www.tisdory.com

 

지난번에 목격했던 차량이 97년식이었다시피 대부분 최후기형 차량들이 생존하여 있었습니다만, 이렇게 가끔 35년 넘게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 현역으로 달리는 차량들도 볼 수 있습니다. 이 차량 역시 적재함은 한 번 바꿨고 등화관제등 역시 사라졌지만 당시 비상대비자원관리법에서 규정하던 견인고리는 그대로 남아있었습니다.

 

DPF 장착

 

91년 1월에 등록된 차량이 지금까지 영업용으로 살아남기 위해선 역시 DPF가 필수죠.

 

DPF가 장착된 모습 역시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88년 복사트럭의 후속모델로 출시된 라이노는 92년 4.5톤 모델의 출시 이전까지 5톤 모델만 판매되었습니다. 개별화물 면허에서 허용되는 최대적재량 탓에 큰 의미 없는 4.5톤과 5톤 모델이 따로 판매되었는데, 이 차량은 5톤 모델만 판매되던 시절에 등록되었던 오리지널 5톤 차량입니다.

 

요즘 판매되는 5톤 트럭에 300마력대 엔진까지 올라가는 마당에 171마력의 자연흡기 엔진은 엄청 답답하게 느껴질게 분명합니다만, 그럼에도 장거리를 달리고 또 달리고 그렇게 35년의 세월을 보내왔습니다.

 

35년의 세월을 버틴 차량 치곤 준수하다

 

적재함도 교체했고, 중간에 도색도 했겠지만, 35년의 세월을 버틴 차량 치곤 준수한 상태였습니다.

 

전기형 차량인지라 후기형 차량에서 볼 수 있는 조수석의 안전창은 없습니다. 35년의 세월이 무색할만큼 깔끔한 상태를 유지중인 모습을 보니 정말 차주분이 대단하게 느껴지더군요. 2020년대도 중반을 향해 흘러가는 이 시기에 90년형 라이노가 과연 언제까지 달릴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부디 오랜 세월 지금처럼 사랑받으며 전국을 누빌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