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에 해당되는 글 204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용인시 외곽의 읍지역에서 목격한 93년 2월 등록된 마이티입니다.

 

다음 세대 모델(마이티2)용 청색으로 겉 칠이 되어 있고 적재함 문짝도 신형이지만, 옛 지역번호판을 그대로 부착하고 있으며 DPF 장착으로 운행규제와 맹목적인 적폐청산을 면한 데다가 관리상태도 우수하여 사진으로 담아봤습니다.

 

 

1994 현대자동차 마이티 저상 카고 (1994 HYUNDAI MIGHTY LOW DECK CARGO)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현대자동차의 준중형트럭인 마이티입니다. 2019/04/2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목격] 1995 현대자동차 마이티 2.5t 카고 (HYUNDAI MIGHTY 2.5TON CARGO) 지난해 4

www.tisdory.com

 

1992 현대자동차 마이티 저상 (1992 HYUNDAI MIGHTY LOW DECK)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천안의 한 골목에서 본 92년 3월 등록 마이티 저상차량입니다. 구형 마이티는 그럭저럭 많이 다뤘었죠. DPF를 장착하고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 고속도로를 활보하던 후기

www.tisdory.com

 

1993 현대자동차 마이티 저상 (1993 HYUNDAI MIGHTY LOW DECK)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합덕의 한 도로변 주차장에서 발견한 93년 4월 등록된 마이티입니다. 1세대 마이티는 미쓰비시후소의 5세대 캔터를 기반으로 라이센스 생산했던 차량입니다. 그 당시 현

www.tisdory.com

 

[목격] 1995 현대자동차 마이티 2.5t 카고 (HYUNDAI MIGHTY 2.5TON CARGO)

평일에 쉬는 일이 생겨 탁송이나 탈 겸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유유히 올라가던 길에 목격했던 차량입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20여년 전. 3세대 뉴포터 출시 이전 각포터와 구형 포터 그리고 마이

www.tisdory.com

 

92~94년형 모델까지 이전에도 1세대 전기형 마이티를 자주 목격했습니다만, DPF가 장착된 전기형 차량은 처음입니다. 물론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한 95년식 후기형 모델은 한 번 다뤘었지요. 앞으로도 큰 고장이나 사고가 아니라면 오랜 세월 생존해있을 가능성이 높은 차량입니다.

 

1993 HYUNDAI MIGHTY

'경기 7 후'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청색 마이티.

다만 당시 적용되었던 하늘색 비슷한 청색이 아닌, 신형 청색입니다.

 

2세대 마이티의 청색입니다. 문짝 레터링까지 도색이 된 모습을 보니 신형 청색으로 겉칠만 된 상황으로 보입니다. 본래는 이전에 천안에서 목격했던 92년식 마이티와 같은 특유의 문짝 도색이 되어있었을겁니다. 80년대 미쓰비시 트럭들의 상징과도 같은 도색이었는데, 당시 미쓰비시 차량들을 대거 도입했던 현대차 역시 90년대 초반까지 그 전통을 따랐습니다.

 

1993 HYUNDAI MIGHTY

전면 등화관제등까지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우수한 상태를 자랑합니다. 심지어 전면 범퍼 안개등 옆 작은 등화관제등도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휠도 마이티2 스틸휠. 데칼도 마이티2 초기형 GOLD용 데칼이네요. 문짝의 형상은 달라도 붙여놓고 보니 생각보다 잘 어울립니다.

 

1993 HYUNDAI MIGHTY

적재함 문짝 역시 신형으로 개조되어 있습니다.

 

적재함 문짝 교체와 함께 도색을 진행한듯 보입니다. 녹이 조금씩 올라오고 칠이 벗겨진 부분들도 보이지만, 30년 넘은 차량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상당히 준수합니다. 후방 등화관제등과 번호판 그리고 발판처럼 쓰이는 후부안전판까지 제치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1993 HYUNDAI MIGHTY

적재함 문짝에도 마이티2 레터링 스티커를 붙여놓았네요.

 

우측 후미등은 비교적 근래 신품으로 교체했던것으로 추정하지만, 좌측 후미등은 누렇게 변한 플라스틱의 상태로 보아 아마 출고 당시 제품으로 보입니다.

 

봉인

봉인에도 '경기'라는 문구가 선명합니다.

 

전국번호판 도입 이후 어느 순간 이후 봉인의 지역표시가 사라지고 '정부'라고 표기되어 나옵니다. 재발급을 받았을 확률도 있겠지만, 봉인 역시 30년의 세월을 번호판과 함께 보냈습니다.

 

DPF

DPF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수도권 어느곳이라도 마음껏 활보가 가능하며, 높은 산봉우리 같은 나라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기간에 적폐로 규정한 5등급 노후경유차의 운행을 막는 계절관리제 기간에도 탈 수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반 강제 폐차의 희생양이 될 일도 없습니다.

 

실내 상태

실내 상태도 전반적으로 준수합니다.

 

대시보드에 생긴 상처들이 있지만 플라스틱이 삭아버렸다던지 사용상에 심각한 문제가 있어보이지는 않습니다. 도어트림 역시 깨지거나 떨어지지 않고 잘 붙어있습니다.

 

주행거리 약 17만km

주행거리는 약 17만km. DPF 단말기가 대시보드 위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계기판은 내내 미쓰비시 차량을 도입했던 대형버스 대형트럭과 비슷한 레이아웃을 지니고 있습니다.

 

차대번호 패찰

옛 HD 로고와 함께 차량 정보와 차대번호가 작성된 패찰도 보입니다.

 

탑 안쪽 조수석 뒷편에 자리잡고 있네요. 겉칠만 한 차량이라 내부는 그 시절 하늘색 느낌의 청색 도색이 그대로 유지되어 있습니다. 여러모로 상태도 준수하고, 무엇보다도 DPF까지 장착되어 있는지라 앞으로 오랜 세월 살아남을 확률이 높은 차량이라 안심입니다. 앞으로도 그 자리를 오랜 세월 지켜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오산시 외곽에서 목격한 구형 대우버스입니다.

 

90년대와 2000년대 초중반까지 도로 위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형태의 차량이지만, 지금은 자취를 감춰버린 그런 존재입니다. 85년 BH120H를 시작으로, 86년 부분변경을 거쳤던 BH115가 이 디자인을 채택하였고 당시 대우버스는 업계에서 독보적인 존재였기에 세기말까지 불티나게 팔려나갔습니다.

 

플랫폼은 일본 이스즈의 것을 유용했지만, 8~90년대 미국 버스로 자주 보이던 GMC RTS와 유사한 디자인을 채택하였습니다. 국내에서 유사한 버스를 흔히 보았기에 미국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RTS 버스가 더욱 익숙하게 느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여튼 BH115는 다양한 파생 차종들이 존재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이, 오랜 기간 판매되었던 차량이 오늘의 주인공인 BH115H. 98년 유선형 디자인의 BH116이 등장하며 자리를 내줬으나 워낙 판매량이 많아 2000년대 중후반까지는 그럭저럭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저 역시 최근 목격이 언제인가 살펴봤더니 2009년 4월. 한 기업체에서 통근버스로 활용하고 있던 차량을 목격했던 게 마지막이었습니다.

 

여튼 그런 버스를 2022년. 오산시 외곽에서 목격했습니다.

 

1996 DAEWOO BH115H

이 익숙하지만 정말 오랜만에 보는 디자인. 경이롭습니다.

경기대학교 분자생물학연구실 부설 한국꿀벌질병연구소에서 사용중이거나 사용했던 차량으로 보입니다.

 

96년 8월 출고. BH115H 치곤 끝물 후기형에 속하는 모델입니다. 특유의 스틸바디가 인상적이던 버스였지만 전체 도장이 된 상태라 그런 모습은 볼 수 없어 아쉽기만 하네요. 수원에 소재한 경기대학교에서 사용하던 버스를 구입하여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지, 아직도 이동식 연구소로 사용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유리창과 버스 천장에 보이는 구조물(태양열 집열판 추정)을 보면 일반적인 승객 수송용 버스가 아닌 다른 특수한 목적으로 개조되었을 확률이 높아보이네요. 화물차를 주차 할 공간이 없어 자세히 볼 순 없었지만, BH115H가 맞습니다.

 

1996 DAEWOO BH115H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갈 길을 갑니다.

 

같은 장소에서 해당 차량을 목격했다는 게시글이 보배드림에 있었습니다만, 화성시 정남면으로 표기해뒀더군요. 화성과 오산의 경계이긴 하지만, 오산땅이 맞습니다. 여튼 위치도 알고 있고 하니 나중에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다시 찾아가서 자세히 보고 오기로 합시다. 25년의 세월을 버텨 온 낡은 버스가 과연 얼마나 오랜 세월 살아남을지는 모르겠다만, 부디 오랜 세월 그 자리를 지켰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