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에 해당되는 글 204건

반응형

광주에서 목격했던 에어로 버스와 함께 세워져 있던 쌍용자동차의 마지막 버스 트랜스타입니다.

 

2021.05.07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1995 현대자동차 에어로 하이데커(HYUNDAI AERO HI DEKER)

 

1995 현대자동차 에어로 하이데커(HYUNDAI AERO HI DEKER)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광주에서 우연히 목격하게 된 두 버스가 그 주인공입니다. 그동안 다뤘던 차량 중 잔존 개체가 가장 적은 차량인지라 두 번에 걸쳐 따로 포스팅하겠습니다. 보통 같이

www.tisdory.com

 

지금의 쌍용자동차의 모태가 되었던 하동환제작소는 전후시대 미군이 버리고 간 지프차의 부품을 두들겨 펴 버스를 만들기 시작하며 발전한 회사입니다. 즉 쌍용자동차는 사실상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버스를 만들어 판매했던 회사입니다.

 

당장 회사가 망하네 살아나네 뉴스에 오르내리는 회사입니다만, 반세기 가까운 세월동안 간판이 바뀌고 기술제휴처가 계속 바뀌었음에도 꾸준히 버스와 트럭을 생산했습니다. 동아자동차 시절에는 닛산 디젤과 기술제휴를 통해 HA/HR/SB 시리즈를 생산했고 90년대 초반 벤츠와의 기술제휴를 성사시키며 O404를 기반으로 한 트랜스타를 출시했습니다.

 

하지만 겨우 4년간 판매되었고 98년에 단종되었습니다.

 

이후 트럭과 버스 이스타나의 생산라인은 쌍용자동차를 인수한 중국 상하이자동차로 매각되어 후이쭝 브랜드를 달고 2000년대 중후반까지 생산되었습니다. 당시 럭셔리 세단인 체어맨의 개발비를 충당하기 위해 트럭과 버스를 포기했다는 이야기도 있고, 대우그룹에 인수된 뒤 정리되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만 자세한 내막은 당시 쌍용그룹 관계자들만 알고 있겠죠.

 

그렇게 짧은 기간 판매되었던 쌍용자동차의 초호화 버스 트랜스타가 오늘의 주인공입니다.

 

1997 SSANGYONG TRANSSTAR

땅 위의 호화유람선을 표방하던 90년대 고급버스입니다.

Transportation과 Star의 합성어인데 말 그대로 운송수단 중 최고라는 이야기겠죠.

 

이전에 다뤘던 에어로버스와 마찬가지로 영업용으로 사용되다가 개조를 거쳐 이동검진 차량으로 용도가 변경되었습니다. 단종 23년이 지난 현시점에서는 승객 수송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활용되는 차량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저도 4년 전 포항에 가던 길에 목격했던 일 이후 정말 오랜만에 트랜스타의 모습을 목격한 상황입니다.

 

당시 하위모델이던 '트랜스타 S'의 시작 가격이 7천만원대. 이거 저거 추가하다 보면 1억원에 육박하는 지금 기준으로 생각해도 꽤 비싼 가격에 판매되었습니다. 초기에는 6기통 OM401LA 엔진과 8기통 OM442LA까지 두 가지 엔진이 적용되었으나, 이후 6기통 엔진은 단종되었습니다.

 

당시 기준으로도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엔진입니다만 국내생산 상용차 중 최고의 출력과 내구성을 자랑했습니다. 같은 엔진을 사용하던 SY트럭이 20년 넘도록 건재하게 돌아다니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니 그 내구성은 확실히 입증되었지요. 물론 지금은 정권에 의해 적폐로 낙인찍혀 수도권 출입조차 자유롭지 못한 노후 경유차인지라 이전만큼 쉽게 찾아보긴 어려워졌지만 말입니다.

 

호화스러운 옵션과 넘사벽 수준의 압도적인 성능으로 인해 차값이 동급 경쟁차종 대비 월등히 비쌌고, 그마저도 겨우 4년 판매하고 단종되었기에 현역이던 시절에도 그리 쉽게 볼 수 있는 버스는 아녔습니다. 그리고 내구연한이 딱히 정해져 있지 않아 근래까지 영업용으로 간간히 보이던 SY트럭과는 달리 트랜스타는 2000년대 후반 수출길에 오르며 급속도로 그 개체수가 감소하였습니다.

 

충남고속에서 운용했던 '트랜스타 P'를 탔던 기억과, 자세한 사양은 기억나지 않지만 초등학교 3학년 소풍 당시와, 5학년 수련회 당시 근거리를 이동한다고 옆반 버스인 트랜스타를 탔던 기억은 생생합니다. 트랜스타보다는 서해안 완행 노선에 투입되던 SB33을 오래된 버스라고 싫어했음에도 지겹게 탔던 기억이 더 많습니다.

 

1997 SSANGYONG TRANSSTAR

에어로버스와 마찬가지로 특수목적으로 개조된 상태입니다.

최초등록은 97년 4월. 녹색 번호판으로 보아 06년 즈음 자가용으로 전환되었으리라 예상해봅니다.

 

의료장비를 버스 안에 탑재하기 위해 천장을 더 높였고, 마치 요즘 판매되는 버스의 비상탈출구처럼 문도 내놨습니다. 유리창은 모두 시트지와 도색으로 가려져 있는 상태이고, 리어 가니쉬도 떨어져 있습니다만 그래도 스포일러는 순정 상태 그대로 남아있네요.

 

경이롭습니다. 트랜스타를 이렇게 가까이에서 구경하는 일 자체가 최소 10년이 넘었으니 말입니다. 

 

옆에 세워진 에어로버스와 함께 이동검진용 차량으로의 임무를 모두 마치고 말년을 보내고 있는듯 보였습니다. 이전부터 트랜스타나 BF105는 보존가치가 충분하다고 느껴 나름의 드림카라 생각하고 살았습니다만, 버스를 살 돈은 당연히 없고요. 산다 하더라도 오래된 경유차를 그저 미세먼지의 원흉으로 몰아 보유 자체를 힘들게 만들어 버리는데 정부에 뻐큐 날리면서 유지할만한 여력도 없습니다.

 

그저 깨작깨작 5등급이 아니면서도 가치가 있는 소형차라면 충분히 유지를 합니다만, 버스는 정말 가지고싶지만 여력이 안됩니다.

 

후진등은 깨졌다.

좌측 후진등은 깨져버렸네요. 그리고 세월이 세월인지라 곳곳에 녹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그래도 당시 차체 전체에 아연도금강판이 적용되어 경쟁차종 대비 부식에 강한 편에 속했습니다. 퇴역을 앞둔 2000년대 중후반만 해도 트랜스타에 부식이 올라오는 모습은 거의 보지 못했으니 말입니다. 이후 2004년 출시되었던 대우 BX212가 크고 웅장하고 호화로운 관광버스라는 포지션을 그대로 이어받았습니다만, 내구성이라던지 부식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사실을 보면 여러모로 시대를 앞서 나갔던 버스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문이 살짝 열려있다.

문이 살짝 열려있어 그 틈으로 차량 내부의 모습을 살짝 들여다 봅니다.

 

그 시절 특유의 바닥재 패턴과 '쌍용자동차주식회사'가 적혀있는 패찰의 모습이 보입니다. 미쓰비시와의 기술 제휴 이후에도 자체 연구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를 감행했던 현대자동차는 나름 일류 자동차 브랜드로 도약했습니다만, 벤츠와의 기술제휴라는 사기급 능력에 안주했던 쌍용자동차는 회사의 존립 위기마저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습니다.

 

모기업의 부도와 상하이자동차의 먹튀. 마힌드라의 경영 포기를 비롯하여 악재가 이어졌던 영향도 있긴 했습니다만, 쌍용자동차가 특출 난 기술력을 가진 회사라 보는 사람들은 거의 없습니다. 그럼에도 쌍용자동차 임직원과 가족 그리고 협력업체 임직원과 가족을 비롯하여 이 회사로 먹고사는 사람들만 수천수만 명이기에 다시금 회생시켜야만 합니다.

 

TRAN SS TAR

중간에 쌍용 로고를 집어넣어 정식 명칭은 TRAN'SS'TAR입니다.

멋진 이름을 놔두고 원부에는 쌍용고속버스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흔히 'S' 하나를 생략하고 'TRANSTAR'라고 부릅니다만, 정식 명칭은 S가 두 개 들어갑니다. 당시 대우 로얄크루저도 그랬고 스윙도어에 차량의 명칭을 붙여놓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차체에 붙은 트랜스타 레터링은 이미 다 사라졌지만, 출입문에 붙은 스티커는 조금 떨어지는 했어도 원형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트렁크 문이 열려있다.

반대편으로 돌아봅니다. 트렁크 문이 열려있네요.

 

지금 판매되는 버스와 트렁크의 구조는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이전보다 열기 쉽게 손잡이가 바뀐 것을 제외하면 버스가 다 그렇고 그렇게 생겼다 보니 바뀐 게 없지요. 트렁크 안에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까이 다가가 보기로 합니다.

 

에어컨 실외기가 있던 장소로 보인다.

에어컨 실외기가 설치되었던 자리로 보입니다.

 

천장을 높이며 에어컨을 탈거했을 테니 따로 가정용 에어컨을 설치하여 운용했으리라 추정됩니다. 동파이프는 그대로 남아있고 실외기만 사라진 모습이네요. 그 외에도 트렁크 안에는 폐기된 잡동사니들이 나뒹굴고 있었습니다. 에어컨까지 떼어냈다는 얘기는 이동식 검진차로도 사용하지 않겠다는 이야기겠죠.

 

투박하지만 그래도 꽤나 버튼이 많았던 대시보드

키가 170 초반대라 좀 자세히 보고 싶어도 볼 수 없어 아쉽습니다.

 

투박하지만 그래도 꽤나 버튼이 많았던 대시보드의 모습도 정말 오랜만에 봅니다. 오디오 자리는 나무판자로 막혀있네요. 그 외에는 버튼도 속도계도 손실된 부분 없이 잘 살아있습니다. 핸들에는 혼캡이 떨어졌는지 테이프가 붙어있네요. 핸들은 이전 세대 모델에서 사용했던 닛산 디젤 핸들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정말 손에 꼽는 개체만이 남아있고 따로 보존을 한다는 얘기조차 들려오지도 않아 안타깝습니다만, 한 시대를 풍미했던 호화 버스는 우리 마음속에 영원히 남아 있을 겁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광주에서 우연히 목격하게 된 두 버스가 그 주인공입니다.

그동안 다뤘던 차량 중 잔존 개체가 가장 적은 차량인지라 두 번에 걸쳐 따로 포스팅하겠습니다.

 

보통 같이 목격하면 같이 포스팅을 하곤 합니다만, 현재는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갈 수준의 개체만 남아있는 매우 귀한 차량이기에 따로 나눠 포스팅을 하려 합니다. 먼저 에어로버스를 다루고, 다음으로 트랜스타를 다뤄보려 합니다.

 

1995 HYUNDAI AERO HI-DEKER / 1997 SSANGYONG TRANSTAR

거짓말처럼 눈에 띈 두대의 버스.

 

저 옆을 별생각 없이 지나던 와중 전화벨이 울리는 느낌이라 잠시 서서 핸드폰을 확인했으나, 문자메시지가 왔더군요. 메시지를 보고 다시 가던 길을 가려던 찰나 우측을 돌아보니 오래된 버스 두대가 보였습니다. 흔히 각에어로 각퀸이라 말하는 구형 에어로 버스와, 쌍용 트랜스타가 보이네요. 감탄사를 연발하고 두 버스가 세워진 자리 앞으로 달려갔습니다.

 

1995 HYUNDAI AERO HI-DEKER

승용차와의 추돌이 있었는지 처참한 몰골이긴 합니다만, 국내에 두대 살아있다고 합니다.

 

80년대 중반 현대자동차는 미쓰비시와의 기술제휴를 통해 다양한 차량을 생산하였습니다. 자칭 깨시민들은 자신이 타는 현대차의 기술이 전범기업 미쓰비시의 기술을 바탕으로 성장했다는 사실을 부정하려 하겠지만 승용부터 대형 상용차까지 사실상 미쓰비시 차량을 라이선스 생산하며 기술을 키웠다고 보는 게 맞겠지요.

 

에어로 버스 역시 미쓰비시 후소의 에어로버스(MS7)를 기반으로 1985년부터 생산되었던 차량입니다. 현대자동차는 벤츠 O303을 라이선스 생산했던 이후 7년간 RB635를 판매하며 경쟁 차량 대비 열세에 놓이자 당시 일본 시장에서도 큰 돌풍을 일으키던 에어로 버스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8기통  85년 출시 이후 크고 작은 부분변경을 거쳤고 이 차량은 후기형에 속합니다.

 

최초 등록은 95년 4월. 원부상 차량명은 '현대에어로고속버스'입니다. 이 하이데커급 차체를 기반으로 92년 우등고속버스가 출범하여 최고 사양인 퀸(Queen)이 등장했지만, 사실상 이 차량에 몇몇 고급 옵션만 추가된 수준인지라 거의 동일합니다.

 

승용차가 와서 박았을까?

상황상 승용차가 와서 박았으리라 예상됩니다.

 

망가진 상태 그대로 세워져 있습니다. 당연히 부품도 없겠죠. 일반적인 승용차 부품 구해서 고치기보다도 어려우리라 생각됩니다. 그렇게 폐차될 날만 기다리고 있는 것인지.. 수리 예정이라는 A4용지 한 장 붙은 거 말곤 별다른 차량 상태에 대한 안내는 없었습니다.

 

한국버스연구회에서 올해 1월 동일 모델을 인수했다고 합니다. 울산에도 한대 더 존재한다는 얘기가 있던데 최근 촬영된 사진이 2013년인지라 현재까지 존재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정확한 잔존 대수는 잘 모르겠지만 이 차량을 포함해도 손에 꼽는 수준으로 남아있다는 사실은 분명하리라 여겨집니다. 이런 몰골인 이상 이 한대도 머지않아 사라지겠죠.

 

www.bobaedream.co.kr/view?code=truck&No=94583

 

2021.01.24 기록 : 현대 에어로 하이데커 | 보배드림 트럭/버스/중기

에어로 시티의 매입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서 한국버스연구회는 두번째 버스 매입에 박차를 가하게 됩니다. 저도 그 현장을 찾아 광주로 가는 프리미엄

www.bobaedream.co.kr

 

열린 출입문 사이로 보이는 모습

차량 내부를 들여다봅니다.

 

운전석 근처로 잡동사니가 놓여 있고, 깨진 유리조각 파편들은 계단 위까지 올라가 있습니다. 특유의 핸들도 그렇고, 전형적인 버블시대 일본차에서 느껴지던 분위기도 느껴집니다. 초등학교 1학년 봄소풍으로 대전엑스포공원에 갔었는데, 그 당시 이 버스를 탔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그 이후에 탔던 일이 분명 있긴 했겠지만, 따로 기억에 남아있지는 않네요. 수많은 사람들의 발이자 건강검진을 위한 장소로 25년이라는 세월을 버텼습니다.

 

처음에는 영업용으로 이용되었겠지만 어느 순간 개조를 통해 이동검진 차량으로 이용되었고 지금은 이동검진이라는 업무에서도 퇴역하여 처참한 몰골로 마지막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다른 개체들은 저 멀리 타국에서 생을 마감하지만, 그래도 이 버스는 태어나고 평생을 달렸던 이 나라에서 생을 마감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HYUNDAI MOTOR COMPANY

이 당시만 하더라도 타원형 현대 로고를 쓰던 시기인데.. 옛 HD 로고가 패찰에 담겨있네요.

 

잘 보이지 않습니다만, 대략적인 정보 파악에는 별 문제없습니다. 엔진은 D8AY 형식승인은 90년이지만, 95년까지 판매했고 2세대 에어로버스(MS8)를 기반으로 생산된 뉴 에어로 버스에 자리를 내주며 단종되었습니다.

 

그렇게 2006년까지 미쓰비시의 기술이 바탕이 된 에어로 버스를 생산 및 판매하던 현대자동차는 2006년 독자개발모델인 유니버스를 출시한 이후 2010년. 일본 수출에 성공했습니다. 당시 승용차는 팔리지 않아 철수했음에도, 가성비를 바탕으로 일본 버스업계에서 돌풍을 일으키는 데 성공했지요.

 

한참 일제 불매운동이 극에 달하던 시기 내로남불 깨시민들이 한국에서 일본차는 많이 판매되었지만 일본에서 한국차는 겨우 수십대 판매되었다며 선동합니다만, 현대가 삽질해서 버스 하나 달랑 팔고 있던 시기에 뭐 어쩌자는 건지 싶습니다. 현재는 수소전지차 넥쏘를 바탕으로 일본 시장 재진출을 노리고 있다고 하네요. 이번에는 부디 잘 풀렸으면 좋겠습니다.

 

건강할때 미리미리 건강검진 암검진

이동검진 차량으로 개조된 모습입니다.

 

이동검진 차량은 X-RAY나 초음파 장비를 설치해두고 건강검진을 위해 병원을 찾기 어려운 근로자들을 찾아가 검진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합니다. 그런 고로 필요 없어진 창문을 가리고 의료기기의 설치를 위해 천장을 높이고 버스 내부의 구조를 변경하는 등 대대적인 공사가 이루어집니다. 그 과정에서 천장이 높아지고 마치 비상탈출구 느낌의 문이 하나 더 생겨났습니다.

 

안전거리유지 의료장비탑재

예전에는 꽤 웅장하게 느껴졌는데 지금 보니 초라한 느낌입니다.

 

후진등은 범퍼에 붙어있고, 91A 트럭을 비롯하여 현재도 비상발전기용 엔진으로 다수 활용 중인 D8AY 엔진 적용 차량 특유의 듀얼 머플러가 인상적입니다. 요즘 버스에 비하면 게임도 안 되겠지만, 80년대 중후반 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꽤나 먹어주던 차량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화려했던 세월을 뒤로하고 마지막을 기다리는 오래된 버스는 사라지지만, 사진으로는 영원히 존재하겠죠.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며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몰려 하나 둘 사라져 가는 오래된 트럭과 버스도 언젠가는 그 가치를 인정받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