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70건

반응형


이제 진짜 일반보증으로 처리되는 마지막 수리입니다.

핸들(스티어링휠)과 닳은 핸들리모콘. 그리고 헐렁거리는 파워윈도우 스위치를 교체했습니다. 


여러모로 보증기간을 2년 8만km로 바꿔놓고, 8만km에 임박한 시점에서 마지막으로 받아먹을걸 다 받아 먹었으니 여한이 없네요. 그동안은 보증이 있어 큰 걱정 없이 다녔지만 앞으로 주요 동력계통과 배기가스 관련 부품들을 제외한 자잘한 수리는 내 돈을 내야만 합니다.



지난주 금요일. 79,901km를 주행한 상태로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에 도착했습니다.

보증수리를 받을 수 있는 주행거리가 99km도 남았습니다. 받을 수 있는 수리는 다 받아 먹어야죠. 


스티어링휠(핸들)과 버튼 칠이 까진 좌측 핸들리모콘을 교체하고 운전석 파워윈도우 스위치에 유격이 생겨 그것까지 교체판정을 받아 교체하기로 합니다. 금요일 오후에 방문했으니 월요일이 임시공휴일이였고, 대략 수요일쯤 부품이 오겠거니 생각하고 수요일에 블루핸즈에 방문했습니다.



수요일 5시 즈음 입고했습니다만, 밀려있는 차들도 많고 차를 놓고 가던지 다음날 오라 하더군요.


부품은 수요일 오전에 왔다고 합니다. 그냥 사무실에 접수하러 들어가니 바로 차트를 찾아서 꺼내줍니다. 차량이 많아 조금 기다리니 저를 부르더군요. 소요시간이 좀 걸리는 작업인지라 수요일에는 힘들다고 하시네요. 결국 목요일 오전에 잡힌 일정이 없는지라 아침 일찍 내포현대서비스를 찾기로 하고 집에 돌아갔습니다.



총 세가지 부품이 교체됩니다.

부품값만 20만원에 육박하는 195,470원입니다.


56111 F2EA0TRY 

바디-스티어링 휠


93570 F20004X

스위치 어셈블리-파워 윈도우 메인


96710 F2030

스위치 어셈블리-스티어링 리모트


고급 수입차를 타고 경제적으로 여유로우신 분들이야 매우 저렴하게 생각하시겠지만, 일개 도태한남충 서민 거지새끼인 제 입장에서는 요즘처럼 힘든 시기에 큰 돈이 아닐 수 없습니다. 공임까지 고려한다면 자비로 수리하는 경우 30만원 가까운 비용이 들어가겠지만, 보증수리입니다. 제 돈 들어갈건 단 하나도 없습니다.


핸들은 스티어링 휠 바디만 왔고,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운전석 도어트림에 들어가는 스위치가 앗세이로 붙어서 왔습니다. 핸들리모콘은 뭐 보이는 그대로가 하나의 부속품으로 나오고 있으니 그대로 왔더군요.



목요일 아침. 내포현대서비스.


연휴기간동안 여기저기 때려박아 들어온 차들로 붐비고 있네요. 접수를 하고 기다리니 차가 곧 사라집니다. 정비부가 아닌 판금부로 넘어갔네요. 그렇습니다. 핸들은 정비부에서 뜯는데 도어트림은 판금부에서 뜯어서 파워윈도우 스위치를 교체하더군요. 도어트림에 있는 물건들을 다 빼고 작업장에 가지고 가 파워윈도우 스위치를 교체한 다음 다시 일반정비부 정비고로로 차량이 옮겨졌습니다.



조금 지난 다음 차에 다가가니 핸들이 적출된 상태네요.


에어백 모듈은 조수석에 있습니다. 핸들을 통째로 교체하는게 아닌지라 에어백 모듈은 그대로 놔두고 작업실로 들어가 핸들의 이식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더군요. 뭐 열선까지 들어간 핸들이 13만원대라면 매우 착한 가격이 아닐까 싶습니다.


또 판금부에서 도어트림 가져다가 파워윈도우 스위치 교체작업을 진행하면서 구리스로 보이는 무언가를 묻혀놨네요. 물티슈로 지워보려 문질러도 잘 지워지지 않았습니다.



스티어링휠이 빠진 운전석은 휑하기만 합니다.


사실 처음 적출하는게 아닙니다. 약 3만km정도 주행하고 핸들 소음으로 MDPS 커플링을 교체했는데 그 당시 핸들을 적출했었을겁니다. 그렇게 두번째 적출입니다. 앞으로는 더이상 핸들을 떼어낼 일이 없었으면 좋겠네요.


한참을 문이 열려있고 핸들이 적출된 상태로 세워져 있었더니만, 곧 작업이 다 끝났다고 저를 부르네요.



새 핸들로 교체되었습니다.

아 비닐 그냥 놔둬달라고 얘기를 못했더니 비닐이 다 뜯겨나갔네요.


가죽에 문제가 있는건지 모르겠지만 일부 고급차종을 제외한 현대기아차 가죽핸들의 경우 10만km 즈음에서 손에 무언가가 묻어나오고 끈적끈적해지며 가죽이 벗겨지는 경우가 왕왕 보입니다. 그래서 핸들커버를 씌우지 않고 오래 타기 위해서는 신차 출고 당시 붙어나오는 핸들비닐을 최대한 오래 유지하는것이 핵심이라 생각합니다.


다들 저를 개또라이라 생각할지 몰라도 제가 핸들 비닐을 3만km에서 제거했는데 그러고 5만km를 더 타면서 핸들이 많이 닳았음을 확인했습니다. 아예 출고 당시에 핸들 비닐을 제거했더라면 8만km를 탄 상황에서 거의 걸레짝 직전의 상태를 자랑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어디서 비닐을 구해다가 감싸고 타던지 해야겠습니다. 참고로 핸들커버는 매우 싫어합니다.



새로 교체된 좌측 핸들리모콘입니다.


오디오 조작을 위한 버튼들과 음성인식 버튼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트립컴퓨터를 조작하는 우측 버튼보다 사용빈도가 훨씬 높습니다. 그리고 우측과 비교해서 새거라 그런지 플라스틱이 약간 거칠게 느껴지네요. 아마 좀 타다보면 버튼 위로 손을 올리는 경우가 많아 금방 맨들맨들하게 변할겁니다.



새로 교체된 파워윈도우 스위치 역시 약간의 유격은 있으나 그래도 훨씬 더 짱짱합니다.


아마 좀 더 쓰다보면 종전과 비슷한 상태로 돌아오겠지만, 대략 그 시기를 15만km 이후로 늦췄습니다. 여튼 마지막 보증수리는 그렇게 끝났습니다. 다시 신차를 출고하지 않는 이상 이런 기회는 돌아오지 않겠죠. 


돈이 많으시고 능력이 좋으신 분들이야 차에 조금 문제가 있어도 그냥 감내하고 타시거나 얼마 타지 않고 팔아 크게 상관하시지 않으시겠지만 저같은 돈없고 능력없어 국산 준중형차도 60개월 할부로 구입하고 못해도 20만km 이상 타야 하는 거지에겐 보증기간이 정말 소중합니다.



따로 정비내역서는 없고 문자로 간다고 하네요. 근데 문자는 안왔습니다.


여튼 주행거리를 기록합니다. 강원도에 다녀와서 일주일만에 약 1000km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이 추세대로면 금방 10만km를 넘어서지 않을까 싶네요. 언제 다시 새차를 구입할지 모르겠지만, 보증수리는 나중에 또 신차를 출고하면 기약하기로 합시다. 그렇게 1년 7개월만에 더뉴아반떼의 일반보증기간은 만료되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울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던 기아자동차의 소형차 아벨라입니다.


미국의 포드(Ford)가 판매를, 일본의 마쯔다(MAZDA)가 설계를, 그리고 한국의 기아(KIA)가 생산을 맏았던 합작차량인 1세대 프라이드가 나름 대 성공을 거둔 뒤 3사는 프라이드의 후속을 준비하게 됩니다. 그렇게 탄생한 차량이 아벨라인데, 국내에서는 94년 출시 당시에 프라이드도 잘 팔리고 있는 상황인지라 프라이드와 병행하여 99년까지 생산하고 2000년까지 판매했습니다.


여튼 프라이드는 각진 디자인으로 아직까지도 보존된 개체가 많고 자칭 올드카를 복원한다면서 리스토어라 쓰고 빈티지 튜닝에 환장하는 사람들이 뭔 인스타 허세용 빈티지 튜닝카를 만들며 차값을 천정부지로 올려놓으며 여러모로 관심을 받고 있는 올드카 중 하나이지만, 후속 모델인 아벨라는 중고차 수출을 통해 아프리카로 나갔다는 사실을 감안하고도 프라이드만큼 팔리지도 않았고 곡선이 대거 채택된 디자인으로 빈티지 튜닝카를 만들며 리스토어를 한다는 사람들에게도 외면받아 사실상 보존된 개체나 보존이라 쓰고 튜닝 된 개체 역시 전무하다보니 차량 자체가 보기 힘든 축에 속합니다.


지난 2017년에 서울 용두동 골목길에서 나름 괜찮은 상태의 아벨라를 본 적이 있었군요. 



여튼 이번에 목격한 아벨라 역시 서울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고 상태는 당시 목격했던 차량만큼 좋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오랜만에 보아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뤄보기로 합니다.



지하차도를 나오니 아벨라 5도어가 보입니다.


서울47이면 금천구에서 등록한 번호판이네요. 거기에 식별부호가 '가'라는 사실은 96년 이러한 형태의 지역번호판이 등장했던 첫 해에 등록된 차량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증거입니다. 서해안고속도로를 타다가 국도를 타고 남쪽 방향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여러모로 곡선이 대거 채택된 아벨라 역시 전기형보다 후기형이 좀더 둥글둥글합니다. 이 차량은 96년 3월에 등록된 전기형 끝물 모델이네요. 조금 더 둥글둥글해진 아벨라 후기형은 96년 6월에 등장했습니다.


리어와이퍼는 사라진지 오래고. 후미등의 탈색이 흔하게 보였던 차량이지만 상대적으로 온전한 상태입니다.



신호에 걸리네요. 아벨라를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시간입니다.


나름 당대 최상위트림인 GLXi입니다. 3도어 모델에서는 리어스포일러가 옵션이였지만, 기본 GXi부터 판매되었던 5도어 모델에는 리어스포일러가 기본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최상위트림이여도 에어컨과 파워스티어링은 옵션으로 추가해야만 했고, 알루미늄휠 역시 옵션이였습니다. 그런 옵션을 다 박아 넣어도 600만원~700만원 수준에 구입 할 수 있었지요.



뒤에서 바라보던 모습과는 달리 상태가 매우 험했습니다.


어르신이 뒷좌석이 짐을 가득 싣고 어디론가 가시던데, 25년 가까운 차생을 험난하게 살아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사이드스텝부터 휠하우스 쪽으로 부식이 올라오기도 하고, 여기저기 박았던 흔적들로 측면은 그냥 걸레짝같은 상태입니다. 좌측 뒷바퀴에는 휠커버가 부착되어 있었지만, 우측은 다 날라가고 없네요.



그렇습니다. 어디론가 달려가던 아벨라를 추월하여 먼저 갈 길을 갔습니다.


앞범퍼 역시 여기저기 긁히고 본넷 도장의 광은 사라졌지만, 그래도 살아있는게 어디입니까. 경유차는 아닌지라 적폐로 몰려 당장 생사의 기로에 놓인 상황은 아니지만 차량 상태가 상태인지라 앞으로 5년 이내에 사라질 확률이 매우 높을겁니다. 남은 세월 주인아저씨와 함께 전국 방방곳곳을 원없이 돌아다니며 미련없는 차생을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