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42건

반응형


지난번 누수 이후 본격적인 보수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CB 배선과 안테나를 새로 사다 달았고, 오늘은 아침 오더가 파토난 겸 해서 사업소에 가서 몇가지 부품을 사왔네요. 그 중 하나. 트렁크 고무라고들 익히 알려진 웨더스트립 고무를 구매해 왔습니다. 


트렁크 누수가 있다면 제일 먼저 갈아보는 부품 중 하나죠.



P95087790 - 웨더스트립, 리프트 게이트(트렁크)


가격은 생각보다 저렴합니다. 약 1만 1천원 정도 하네요. 한 3년 전에 등기소 직원분이 타던 EF쏘나타의 트렁크 웨더스트립을 교체한다고 구매했던 일이 있었는데, EF쏘나타용을 2만 4천원 가까운 돈을 주고 샀었던지라 뭐 이것도 대충 2만원돈 하겠지 생각하고 있었습니다만 그보다 훨씬 저렴하네요.


뭐 여튼 대우부품치고 몇 안되는 저렴한 부품입니다. 생각보다 많이들 찾으리라 생각했습니다만, 이 부품이 홍성서비스센터에 2016년 2월 26일부터 박혀있었다고 스티커가 붙어있네요. 생각 외로 웨더스트립이 헐어버려서 물이 새는 차령까진 아니다보니 찾는 이가 그리 많지는 않았나 봅니다.



부피는 조금 큽니다. 뭐 커다란 웨더스트립이 동그랗게 감겨있는 형상을 하고 있네요.


비닐을 뜯으면 모양이 잡히지 않은 그저 동글동글한 웨더스트립에 불과합니다.



기존 웨더스트립 고무.


뭐 물도 새기도 했고, 찢어지기까지 했습니다. 그냥 쭉 잡아당겨서 다 떼주면 됩니다.



웨더스트립 고무를 탈거한 모습.


뭐 그저 그렇습니다. 자세히 보지 않는 이상 찾아보기도 힘들어요 사실. 새 웨더스트립을 꾹꾹 눌러주고 또 눌러줍니다. 확실히 기존 고품보다는 쫀득쫀득한 탄력이 훨씬 더 잘 느껴집니다. 



새 고무라 날이 서 있네요. 트렁크를 닫아도 뭔가 착 감기게 잘 닫힙니다.


앞으로 타면서 누가 뒷빵을 때리지 않는 이상 딱히 교체할 일은 없겠죠. 또 물이 샌다면 모를까요. 부디 뒷빵 사고로 교체할 일이 없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11년 출시 이후 별다른 변경 없이 판매되던 3도어 형태의 준중형 해치백 벨로스터의 후속 모델을 보았습니다. 물론 지난해부터 위장막을 쓴 차들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는 사진이 올라오곤 했었는데, 직접적으로 그것도 정체구간에서 꽤나 오래 구경해보긴 처음이네요.



딱봐도 벨로스터.


비교적 낮고 뭉툭한 트렁크와 반 이상 하늘을 보고 있는 뒷유리. 그리고 1세대 모델과 더불어 배기구는 중앙으로 빠져있습니다. 현재 판매중인 1세대 모델의 경우 자연흡기 그리고 터보모델 모두 배기라인을 가운데로 몰아놓았습니다만, 2세대 고성능 모델(N)의 테스트카의 경우 각각 양쪽으로 배기구를 빼놓은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더군요.


요즘 현대/기아차의 세대가 바뀌는 모델들이 죄다 그렇듯이 전반적인 디자인은 종전 모델과 크게 달라지지 않는 듯 보입니다.



종전과 같은 2+1의 도어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도어형 쿠페 혹은 5도어형 모델로 출시될것이라는 예상을 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기존 모델처럼 우측에 문이 하나 더 달린 2+1조합의 차량이였습니다. 창문너머 보이는 센터페시아를 보니 돌출형 네비게이션이 적용되었더군요. i30(PD) 이후 출시되는 현대/기아차의 공통적인 적용사양이긴 합니다만, 1세대 모델의 날개 모양의 센터페시아에 비해선 한결 차분해 질 것 같습니다.



엄청나게 커다란 헥사고날 그릴이 들어가나 봅니다. 마치 붕어 입마냥 벌려져 있습니다.


위장막에 가려진 전반적인 인상은 마치 아반떼 AD를 연상케 합니다. 또한 한 세대 전의 미쯔비시 패밀리룩을 연상시키기도 하는군요. 뚜껑을 열어봐야 알겠습니다만 최근 산으로 가는 디자인의 신형 SUV들에 비한다면 평범하지 않을까 싶네요.




여튼 그렇습니다.


요즘 유난히 위장막에 가려진 차량들을 자주 보곤 하네요. 쫒아가면 저 멀리 사라지는 존재들이긴 합니다만, 지루하고 평범한 일상속에서 이러한 새로운 흥미거리를 보는 재미라도 가질 수 있어 기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