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지역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50건

반응형


길기만 한 명절 연휴. 올해부턴 뭐 사실상 콩가루고 개판 직전입니다. 그래도 뭐 성묘는 다녀오긴 했지만 할아버지께 송구스럽기만 하더군요. 길고 긴 연휴, 그냥 막연히 신평 시골길로 쭉 들어가 보니 저수지가 하나 나옵니다. 당진시 신평면 초대리에 소재한 초대저수지입니다.


reservoir에 invite 해서 초대저수지가 아닙니다. 지명이 草垈라 초대저수지입니다.


당진시 홈페이지에 게시된 지명 유래에 따른다면 '새내(草川) 아래쪽에 새로 터를 잡아 이룩된 마을이라 새터 즉 초대리라 하였다고 함'이라 기재되어 있습니다. 순 우리말로 억새가 많은 개울가를 새내라 불렀고 그 의미 그대로 한자를 조합해서 초천(草川)이라는 한자어로 부르기도 했다 하더군요.


초천(草川)이라는 한자어가 우리나라에서는 지명으로도 두루 쓰이고, 중국에서도 지명으로 두루 쓰이더군요. 일본에서는 성으로도 흔히 쓰이고 있다 합니다.





날이 추운지라 저수지는 꽁꽁 얼어있습니다.


따로 관리인이 나와서 좌대를 팔거나 하는 그런류의 저수지는 아닙니다만, 당진ic에서 매우 가깝다는 이점때문에 낚시를 즐기는 아저씨들이 주로 찾는다 합니다. 그 이외에 특별한 용도는 없고 사실상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저수지로 활용중인 지극히 평범한 저수지입니다.



약간 그늘진 곳이라 근처 지면에도 얼음이 얼어 있습니다.


내려올땐 크게 미끄러지거나 이런건 없었는데, 차로 다시 올라가기 힘들었네요. 자갈이 튀는 소리를 들으며 겨우겨우 올라왔습니다.



작은 나룻배의 일부는 뭍에 나와있고, 일부는 물에 잠겨 얼어버렸습니다.


뭐 얼음이 꽁꽁 얼은 겨울철에는 모터가 달린 보트도 당연히 탈 수 없겠지만 동력장치 하나 없는 나룻배를 딱히 탈 일이 없겠죠.



며칠 날이 좀 풀리긴 했습니다만, 그래도 무서우니 뭍 근처에서만 돌아다녔습니다.


만약에 저수지 한가운데까지 갔다가 얼음이 깨지기라도 하면.. 소리도 소문도 없이 가는겁니다. 가자면 갈 수 있겠지만 무서워서 근처도 얼씬대지 않았습니다.



사실 이 함선모양처럼 생긴 구조물이 궁굼해서 저수지로 내려왔었습니다.


과연 이게 뭘 하는 물건일까 싶었습니다만, 여름철 녹조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물벼룩을 배양해서 방류하는 그런 장치라 합니다.



정확한 시설명은 천적생물 배양장치.


농림축산식품부 그리고 농어촌공사와 개발업체가 공동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랍니다. 녹조. 즉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어버리는 물벼룩을 배양해서 저수지에 방류하는 시스템인데 100만톤급 저수지인 초대저수지에서 과연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해냈을지 모르겠습니다.


효과가 있다면 가카의 4대강에도 한번...



적막한 시골 한구석에 소재한 저수지.


다만 바로 옆 서해안고속도로와 32번국도에서 들려오는 자동차 엔진소리 그리고 타이어의 노면 마찰음만이 적막함을 깨고 있습니다. 어느 누군가는 설레이는 마음으로 고속도로를 타고 목적지를 향해 가지만, 목적지 없이 떠돌던 저는 이 초대저수지에서 또 다른 무언가를 얻어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서울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 그리고 눈구경이 힘든 일부 경상도지방에는 눈이 얼마 내리지 않았다 합니다만, 수도권 이남으로는 눈잔치 그 이상의 눈잔치를 보여줬었죠. 호남권 최대 도시인 광주 역시 폭설로 도심이 마비가 되었고, 서천에는 30cm 가까운 눈이 쌓였다고 합니다. 당진은 그정도라 명함은 내밀지 못하겠습니다만, 그래도 참 많이 왔습니다.


울릉도 제주도처럼 섬 전체가 마비되는 수준은 아녔지만, 이 작은 동네 역시 폭설로 인한 어수선한 분위기가 며칠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제설작업을 할 엄두가 나지 않는 아파트 진입로..


경비아저씨 혼자 치우기엔 상당히 버거운 수준입니다. 그렇다고 막상 염화칼슘을 뿌려대고 치워봐야 금방금방 쌓이는 상황이니 손 대봐야 득될게 하나 없습니다. 화요일 오늘도 오전엔 내내 눈이 내리긴 했으니 아직도 진입로 위엔 눈이 쌓여있긴 합니다만, 그래도 꽤 녹았습니다.



골목길은 더 심각하더군요. 

나름 제설차 빙의해서 차도 사람도 지나간 흔적이 없는 골목길로 들어왔습니다만..


차가 그냥 푹푹 빠집니다. 결국은 밀고 온 눈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차가 그냥 서버리네요. 어느정도 사람이 다닐만큼 눈을 치워둔 다음에야 차가 움직입니다. 그렇게 서너번 골목길로 들어왔다 나가기를 반복했네요.



30cm까진 아니고, 약 20cm정도의 적설량을 보입니다. 발이 푹푹 들어갑니다.


보통 눈이 오면 신나서 날뛰는 동네 개들이 보일법 합니다만, 백구급 중형 대형견이 아닌 동네 발바리들이 다니기에는 눈이 꽤 많이 쌓였습니다. 발은 푹푹 들어가고 신발 안은 다 젖어버렸습니다. 그냥 장화나 부츠같은 목이 긴 신발이 아닌이상 답이 없어보이네요.



저러고 집에 돌아오니 휠도 눈으로 뒤덮였습니다. 쿡쿡 눌러서 빼자니 빠지지도 않네요.


여튼 신개념 휠튜닝은 생각보다 볼만 합니다만, 연비저하와 밸런스 불균형으로 인한 고속주행시 떨림현상을 불러옵니다. 자연적으로 놔두니 화요일 오전 출근길까지 붙어있더군요. 결국 화요일 오후에 다 녹은걸 확인하긴 했습니다.



사실상 아무도 오지 않는 화물차휴게소라 쓰고 공터라 읽는 곳에서 열심히 굴렀네요.


미끄러지기도 하고 드리프트 놀이도 해보고 급하게 풀 브레이킹을 해서 드드드드득 소리와 함께 작동하는 ABS 기능을 재미삼아 느껴보기도 합니다. 그렇게 약 30분정도 놀고 지하주차장에 박아뒀습니다.



그러곤 오후 아홉시가 다 된 시간에 잠시 시내에 나왔습니다만, 굴삭기로 눈을 퍼냅니다.


사실 시내 구석구석은 암만 상인들이 자기 가게 앞 눈을 쓸고 해도 답이 없었거든요. 결국 늦은 밤에 굴삭기가 진입해서 눈을 쓸어담고 있습니다. 다른 방향으로 돌아서 들어오긴 했습니다만, 그래도 굴삭기가 한번 쓸고 간 자리는 깔끔하더군요.


2016년 초, 다시 겨울이 찾아오기 전까지 눈이 내릴 날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찜통같은 여름엔 아마 1월 어느 주말, 굴삭기로까지 눈을 퍼내던 오늘날을 그리워 하겠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