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IT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316건

반응형

 

아이폰을 구입하여 사용한지도 벌써 2년이 넘었습니다.

 

 

아이폰11 PRO 256GB 구입 (iPhone11 Pro 256GB)

아이폰을 샀습니다. 갑자기 웬 아이폰이냐고요? 업무용으로 사용하던 갤럭시J7 2016이 맛이 갔습니다. 서비스센터에 가니 뜯지도 않고 견적을 얘기하며 그냥 바꾸라고 얘기합니다. 그래서 그냥

www.tisdory.com

 

다행히 2년간 분실이나 파손 없이 잘 버텨왔네요.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느낌이라 확인하니 배터리 수명이 79%까지 떨어졌습니다. 80% 이하로 떨어지면 교체 대상인데, 이전에 개통하며 들어뒀던 KT 보험이 13개월차부터 자부담금 4만원만 부담하면 보험으로 배터리 교체를 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리고 사진을 촬영하면 좌측 하단에 반점같은것이 같이 찍혀나옵니다.

 

전국에 대우전자(위니아SLS) 서비스센터를 비롯하여 애플 제품의 A/S를 진행하는 서비스센터 아무곳에나 찾아가서 수리를 받거나 리퍼를 받으면 됩니다만, KT에서 직영으로 운영하는 서비스센터가 있다고 합니다. KT를 사용하는 고객만 이용이 가능한데 수리비가 조금 저렴하기도 하고 다른 서비스센터가 먼저 전액을 결제한 뒤 보험금을 청구하여 수리비 차액을 받지만 KT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센터는 수리와 함께 보험금 청구가 진행되며 자부담금만 납부하면 됩니다. 물론 그 자부담금도 10만원까지는 KT 포인트로 낼 수 있다고 하네요.

 

성능 최대치 79%, KT AS센터 예약

일도 없고... 점심이나 먹고 KT A/S센터를 예약하고 산본으로 갑니다.

 

KT PLAZA(전화국)에 딸려있는 아이폰과 아이패드 전문 수리점이라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전국에 약 20곳이 성업중인데,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위치를 확인하고 방문하면 됩니다. 예약기능이 있어 예약을 하고 갔는데 대기인원이 없으면 바로 수리를 진행해주더군요.

 

https://ktac.modoo.at/

 

[KT 애플 공인 AS센터 - 홈]

애플공인서비스(수리센터)

ktac.modoo.at

 

KT 서비스센터의 위치는 해당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대전으로 갈까 하다가 결국 산본으로 갔네요. 수원쯤에 하나 있었으면 더 가깝고 좋았을텐데... 가장 가까운 서비스센터가 산본역 앞 로데오거리에 있어 그곳으로 향했습니다. 참고로 주차는 어렵습니다. 산본역 공영주차장이나 인근 유료주차장에 차를 세워야 합니다.

 

KT Plaza 산본점

KT플라자 산본점 안에 있습니다.

 

플라자는 물리적인 전화국의 업무를 제외하고 예전 전화국에서 하던 서비스 업무를 대부분 처리한다 보면 될 것 같습니다. KT의 자회사 KT M&S에서 운영하며 일반적인 휴대전화 판매와 개통부터 서비스 변경 해지와 같은 서비스를 진행하지요. 주요 번화가나 도심에 KT 플라자는 대부분 전화국이던 자리에서 영업합니다만, 산본의 KT플라자는 산본역 앞 로데오거리 광장 앞 커다란 건물 1층에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iPhone 서비스센터 입성

문을 열고 쭉 들어가면 아이폰 서비스센터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창구는 두개. 직원도 둘. 다행히 대기하는 사람이 없어 들어가서 바로 서비스를 진행합니다. 이런저런 문제로 수리를 받으러 왔다고 하니 보험 가입 여부를 물어보고 바로 진단에 들어갑니다. 배터리 양은 바로 보이는 문제고 카메라의 경우 유리만 따로 나오는게 아니라 모듈을 교체해야 하는데 둘 다 따로 수리하느니 그냥 리퍼를 받으라고 그러네요.

 

결국 리퍼를 결정하고 바로 보험금 청구서류를 작성합니다.

 

휴대폰 보험 보험금 청구서

KT A/S센터 전용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합니다.

 

형광펜으로 찍어준 부분만 잘 작성해서 제출하고, 보험사에 확인전화를 걸어주면 그 전화를 받고 상담원이 물어보는 질문에 답변만 해주면 됩니다. 보험금 지급 승인이 떨어진 이후 바로 작업이 진행됩니다. 작업이래봐야 기존 기기를 초기화하고 리퍼폰을 등록해서 받아오면 되는지라 크게 거창하지도 않습니다.

 

KT멤버십 수리 비용 혜택 변경 안내

작년 12월 1일부터 포인트 사용한도가 생겨났습니다.

 

이전에는 KT 포인트가 있다면 자기부담금이 10만원을 넘어간다 쳐도 전액 사용이 가능했는데, 지금은 최대 10만원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아이폰 11 Pro의 리퍼 자기부담금은 12만원. 즉 2만원만 결제하면 됩니다. 배터리만 교체하는 경우 자부담이 4만원이니 포인트만 사용해도 되겠죠.

 

리퍼폰 수령

리퍼폰을 수령합니다.

 

국내에 아이폰을 처음 들여온 통신사가 KT고, 아이폰 3GS의 등장은 대한민국 통신업계의 판도를 확 바꿔놓았습니다. 물론 지금은 SK도 LG도 아이폰을 판매하고 자급제로 사는 비중도 많이 높아졌지만, KT를 사용한다면 2년짜리 애플 케어플러스 대신 비슷한 가격에 3년까지 보장되는 통신사 보험이 이득이라기에 가입했는데 거의 사용하지 않는 멤버십 포인트로 자부담금을 낼 수 있다는게 큰 장점이 아닐까 싶네요.

 

리퍼 직전 기존 아이폰의 상태를 진단하는데도 엄청 느리더군요. 초기불량이 있던 기기임이 확실했고 구입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홍성 대우전자 서비스센터에 가니 자신들은 진단 할 수 있는 장비가 없어 다른곳으로 가라고 했던지라 2년을 참고 썼습니다. 

 

결론은 진작 초기불량으로 교환을 받았어야 하는 기기였는데.. 이제야 다른 이유로 교체하네요.

 

결제완료

수리비 2만원을 결제합니다. 3만 9천원은 강화유리값이네요.

 

액정보호필름을 판매하냐고 물어보니 자기네는 고가의 벨킨 제품만 판매한다고 합니다. 근데 뭐 이게 기계로 붙이는거라 그러네요. 기본이 2만원 급에 따라 좀 더 비싸지기도 하는데, 페이스북에서 광고로 봤던 프라이버시 강화유리가 있어 그걸로 붙여보았습니다.

 

그간 저렴한 강화유리 정말 많이 사다 붙였습니다만, 대부분 1개월 이내에 깨져버렸고 최근 2~3개월은 그냥 포기하고 다 떼어버리고 사용했습니다. 생각보다 액정 기스가 많이 생기더군요. 그래서 수리비보다 더 비싼 돈을 주고 강화유리를 붙였습니다. 아마 이전보다는 핸드폰을 들고 다니는 시간이 적어 좀 더 오래 가겠죠.

 

아이폰을 처음 구입해서 사용한지 2년이 지났습니다. 2년만에 사실상 새 핸드폰을 구입한거나 마찬가지인 리퍼폰을 받았으니 앞으로 더 잘 버텨봐야죠. 디자인도 신형이나 아주 큰 차이도 없고 크게 느리거나 답답하지도 않습니다. 아이폰만 쓰는 사람들은 항상 아이폰만 찾는다는 사실을 다시금 느끼고 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10년 1월 19일에 지금 사용하는 도메인(tisdory.com)을 처음 등록했으니, 벌써 만 12년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그 당시 태어난 아이가 초등학교 6학년에 올라가는 시기네요.

 

사실 요즘 티스토리 블로그들의 네이버 검색 유입도 뚝 떨어지고, 티스토리에 있을 이유가 상당수 사라져 마음같아서는 짐을 싸서 네이버를 비롯한 다른 서비스로 이사를 가고 싶습니다만, 2차 도메인을 지원하는 서비스도 얼마 없고 그렇다고 포기하고 넘어가자니 티스도리라는 이름부터 잃을것도 많아 그래도 정을 붙이고 꾸준히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8년에 2년 연장을 하고, 2020년에 또 2년 연장을 했는데 그 기록은 없네요.

 

 

티스도리닷컴 도메인 기간 연장.(호스팅케이알)

도메인 기간 만료일을 이맘때 즈음으로 기억만 하고 있었지 정확히 기억하지 못했습니다만, 이메일을 확인하던 중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서둘러 방문하여 기간을 연장시키기로

www.tisdory.com

 

싼도메인으로 도메인 기관 이전하기

해당 포스팅은 코리아센터(주)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도메인을 본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한지도 얼추 11년이 지났습니다. 그간 잠시 보유했다 소멸시켰던 도메인도 있고 블로그 초창

www.tisdory.com

 

이타샤 마이너 갤러리로 포워딩한 도메인 itasha.net는 싼도메인으로 기관을 이전해두었습니다.

 

tisdory.com 역시 다른 기관으로 옮겨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블로그 포워딩 셋팅을 하는 시간동안 접속이 불가하기에 굳이 기관이전으로 모험을 하고 싶은 생각도 없고 계속 연장만 하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도메인이 13일 후 만료 됩니다.

오랜만에 접속하는 호스팅케이알 홈페이지는 참 알아보기 복잡하게 변경되었습니다.

 

도메인이 13일 후 만료 된다는 안내 문구를 확인하고 연장만 하면 됩니다. 2010년 1월 19일에 등록한 도메인의 만료일이 2022년 1월 19일이네요. 이번에도 2년 더 연장하기로 합시다.

 

가격이 올랐다.

도메인 가격이 조금 인하되었지만 부가세가 붙습니다.

 

2020년 결제 당시 1년에 10,780원. 2년에 21,560원을 냈습니다. 올해는 1년에 10,500원. 2년에 21,000원으로 560원 저렴했지만, 부가세 2,100원이 추가되어 결국은 더 비싸졌습니다. 내내 사업자용 카드로 결제하여 결국 나중에 환급을 받던지 납부를 해야하는 조삼모사 수준의 부가세입니다만, 뭔가 금액이 커지니 아깝게만 느껴집니다.

 

다른 업체들도 부가세를 받는지 모르겠지만, 이럴 줄 알았으면 부가세가 붙기 전에 1년이라도 더 연장을 했을텐데 아쉽습니다. 그렇게 결제를 마치고, 도메인 등록 정보를 확인해봅니다.

 

Expiry Date : 2024-01-19

만료일(Expiry Date)은 2024년 1월 19일. 정상적으로 연장되었습니다.

 

2년 뒤 다시 연장하던지, 1년 뒤 중간에라도 생각이 나면 방문하여 연장해놓던지 해야겠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 드립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