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IT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313건

반응형


며칠 전... 블루스크린이 뜨던 컴퓨터를 대체할 중고 컴퓨터를 구입했습니다.



대략 예산은 30만원 선.


그렇다고 게임을 하는것도 아니고, 고사양을 요구하는 작업을 하지도 않습니다. 해봐야 블로그 포스팅 그리고 개꿀탁송 배차관리나 문서작성이 전부인 수준입니다. 그러니 굳이 좋은 컴퓨터는 필요가 없겠죠.


처음에는 새 제품으로 맞추려 했지만, 제 환경을 아는 주변에서는 죄다 비추천. 그래서 중고로 눈을 돌리다가 지인분이 25만원에 매물을 올린것을 보고 이 컴퓨터를 가져왔습니다. 대략 사양만 놓고 본다면 5년 전 게이밍용으로 맞춰진 사양이지만, 갑자기 게임을 해야겠다 결심하지 않는 이상 제게는 앞으로 한 5년은 무리 없이 굴릴 수 있으리라 봅니다.


막상 구입하고 보니 기존 컴퓨터에서 블루스크린이 더이상 뜨지 않았지만, 그래도 다가오는 Windows7 지원 중단 대비와 백업을 위해 미리 준비했다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존 컴퓨터는 여러모로 활용 방도가 있으리라 생각되니 그냥 놔두기로 합니다.



대략적인 사양은 이렇습니다.


CPU : i7-3770K (노뚜따)

MB : GIGABITE GA-Z77X-UD3H

RAM : 삼성 DDR3 PC-12800 4G X 2개 (8G)

그래픽카드 : 지포스 GTS450 1G

SSD : GoldFlash 256GB

ODD : 없음

파워 : sunroot 600W 80PLUS

케이스 : COX A3 NOBILE

WINDOWS10 PRO 메인보드 정품인증


뭐 게임이나 영상편집을 하는 분들은 가져다 버리라고 할 사양이지만, 제게는 과분합니다. 그래픽카드만 바꿔주면 배틀그라운드도 돌아간다고 합니다. 자동차로 따지자면 20년 넘은 베르나를 타다가 이제 10년 채운 그랜져 TG로 기변을 한 사람이라 생각해야 할까요. 여튼 그렇습니다.


같은 가격 비교대상에 올려놓았던 업자컴의 주요사양이 5세대 i5, DDR4 8GB, GTX960 4GB, 신품 128GB SSD로 기억하는데 사양을 보곤 PC방 출신이라며 구매를 말리더군요. 여튼 게임을 목적으로 중고컴퓨터를 구매하는 사람이라면 자동차로 치자면 5년 채우고 방출된 택시부활 쏘나타인 이 제품을 구매했겠지만, 게임이 목적이 아닌 제게는 용량 큰게 장땡이라 지금 이 물건을 구해왔습니다.



미들타워급 케이스. 그리고 투명한 아크릴윈도우를 통해 내부를 훤히 볼 수 있습니다.



전원버튼과 USB 3.0을 포함한 3구의 USB 단자. 

그리고 스피커와 마이크 입출력 단자가 상단에 있습니다.

좌측의 스위치는 가운데에 놓으면 OFF, 위 아래로 조작하면 쿨러와 조명의 세기 조절이 가능합니다.


이런 미들타워 이상급 커다란 케이스에 조립된 컴퓨터를 사실상 처음 접해봅니다. 초등학생 시절에 80만원을 주고 사촌형이 조립해줬던 컴퓨터를 업그레이드를 거쳐 7년을 사용했고, 고등학생 시절 회생불능 상태까지 간 컴퓨터를 대신하여 학교에서 불용으로 빼놓은 비슷한 사양의 컴퓨터를 RAM만 더 끼우고 할 수 있는 여러 개조를 거쳐가며 약 2년을 사용했습니다.


컴퓨터를 안사주니 똥컴 가져다 개조해서 썼죠.. 그냥 제가 컴퓨터로 뭘 하던 싫어했습니다.

여러모로 중요한 시기에 당근과 채찍이 병행되는 생활이 아닌 채찍만 가득한 학창시절을 보냈습니다. 

그래서 점점 심하게 삐뚤어지고 이모양 이꼴이 된 게 아닌가;;


그 이후 대학 입학과 동시에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데스크탑이나 컴퓨터에 관심을 두지 않았으니 말이죠..


자동차로 따지자면 구닥다리 소형차와 경차만 골라타던 인생에서 처음으로 10년이 넘었지만 준대형차를 타 본 사람입니다. 그러니 모든것이 새롭게 느껴집니다.



 USB3.0을 지원하는 메인보드인지라 후면의 USB 포트는 모두 3.0을 지원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슬림케이스 데스크탑과 비교하니 거의 두배 수준의 크기입니다.


쓰레기장에서 주워왔습니다. 그럼에도 제 임무를 성실히 수행했습니다. 앞으로도 블루스크린만 보여주지 않는다면 충분히 써먹으리라 생각됩니다. 어릴적 경제교육이 잘 된건지 학창시절 개인적으로 물건을 사는 부분에 대해 사실상 허용이란 없었던 삶을 살아서 그랬던건지 몰라도 지금도 쓰레기장에 쓸만한 물건이 있다면 주워오거나 공병을 줍는 거지근성이 가득한 사람입니다.



전원을 연결하니 불이 들어오고 쿨러가 작동합니다. 꽤나 멋진 모습을 보여줍니다.



여튼 잘 돌아갑니다.


운영체제도 잘 깔려있고, 주요 유틸리티만 설치해주면 됩니다. 현재 이 컴퓨터로 포스팅을 하고 있지만, 확실히 빠릿빠릿하게 움직이는 느낌이네요. 25만원 봉을 빼고도 남을 수준으로 부디 오래 버텨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또 액정이 나갔습니다...



지난해 10월 액정 교체 후 한번 더 떨어뜨려 모서리 유리가 깨져있었는데, 일요일 오전에 씻고 나갈 준비를 하다가 체중계에 핸드폰을 떨어뜨리고 말았습니다. 엣지패널의 특성상 케이스를 끼우고 다니지 않으면 살짝만 떨어뜨려도 액정이 깨지는듯 합니다. 


터치패널은 다행히 파손되지 않아 터치는 잘 되는데 액정 백라이트가 들어오질 않더군요. 그러니까 전화가 오면 감으로 터치하여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수준으로 눌리긴 눌리는데 화면이 보이지 않아 오는 전화를 받는 일 말고는 할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는 상황이라는 말입니다.



그나마 핸드폰이 하나 더 있고 어지간한 연락처도 동기화되어있어 망정이지..


그게 아녔더라면 일요일 그리고 월요일까지 누가 전화를 해줘야만 받을 수 있지 문자나 카톡은 볼 수 없는 그런 답답한 상태로 버텼어야 할 겁니다. 이럴때는 전화기를 두개 가지고 다니는게 확실한 장점이네요.



분명 최근에도 왔었죠. 지난 4월 초. 일본 여행을 가기 전 들렸습니다.


갤럭시J7(2016)의 충전단자 교체를 위해 찾은 뒤 약 3개월만에 다시 찾은 삼성전자서비스 홍성센터. 따로 바뀐건 없습니다. 월요일 점심시간대에 방문했는데 대기고객이 아무도 없었습니다. 제가 들어가서 담당 엔지니어를 배정받으니 하나 둘 들어오기 시작하더군요.





담당 엔지니어에게 갤럭시노트8을 건네드리고 잠시 휴식을 취합니다.


4월에는 에어컨과 에어드레서의 전시코너가 없었는데 그 새 생긴듯 합니다. 요즘 무풍에어컨은 에어컨처럼 생기지 않았네요. 가성비를 중시하는 저는 위니아 에어컨을 3년 전 12개월 할부로 구매하여 설치한 뒤 에어컨에는 별 관심이 없습니다.



수리는 일사천리로 진행됩니다.


약정은 대략 8개월정도 남아있습니다. 그동안 보험으로 타먹은 수리건수만 이번을 포함한다면 총 세건이 되겠네요. 카메라 모듈과 백판넬을 교체했고 액정도 이번을 포함하여 두번 교체했으니 핸드폰의 겉 케이스는 사실상 처음 구매했을 당시 달려나왔던 물건들이 아닙니다.


그나마 이번에는 보험을 들어놨으니 망정이죠. 보험이 없었더라면 하루종일 쌍욕을 달고 살았을겁니다.



보험 청구를 위한 서류까지 발급받은 뒤 서비스센터를 빠져나옵니다.


디지털프라자를 거쳐 주차장으로 나가네요. 새 액정에는 비닐이 씌워져 있었고, 그 비닐을 벗겨내면 보호필름이 붙여져 있다고 합니다. 남들은 사자마자 벗겨낸다는 자동차 비닐 역시 6개월 2만3천km를 타면서 하나 안떼고 다니는 사람인데 핸드폰 역시 제 손으로 비닐을 떼어 낼 일은 없을겁니다. 어짜피 비닐을 떼어내도 액정보호필름이 붙어있다 하지만 말이죠.



수리비 명세서와 카드 결제 영수증. 그리고 담당 엔지니어의 명함을 받아왔습니다.



이미 여러번 진행하여 익숙해진 폰안심케어 보상금 청구 절차대로 서류를 촬영하여 접수하면 됩니다. 초창기만 하더라도 분손 자기부담금 5만원 선에서 어지간한 전손급 수리까지 처리가 되었지만, 구성 부품과 출고가는 점점 올라가고 온갖 뽐거지들이 악용하면서 손해율이 높아진지라 현재는 자기부담금 비율이 점점 높아져 수리비의 25%를 공제한다고 합니다.


다음에는 또 액정을 교체하러 서비스센터에 간다는 포스팅을 하지 않기를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