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핸드폰 액정이 깨졌습니다. 교체를 해야겠지요.


제게는 그동안 여러번 타먹었던 파손보험이 있습니다. G5를 쓰면서 보험이 없어 생돈을 들여 액정을 무려 세번씩이나 교체한 뒤 기변을 했는데, 노트8로 기변을 진행하며 보험을 가입했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이번 일을 제외하고 세번이나 보험금 지급을 받았고 그 중 두번은 액정을 교체했으니 봉은 빼지 않았나 싶습니다.



여튼 그렇습니다. 약정이 올해 3월에 만료되니 특별한 일이 없다면 아마 이번 수리가 약정기간내 마지막 수리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동안 거의 홍성서비스센터로 다녔지만, 당진서비스센터가 새단장을 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당진서비스센터로 방문하였습니다.



기존에 푸른병원 사거리에 있는 디지털프라자 당진점 3층에 위치했던 서비스센터가 수청동에 새로 지어진 디지털프라자 2층으로 옮겨왔다고 합니다. 물론 옛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약 10여년 전 애니콜 시절 인테리어와 이미 지원을 종료한지 한참 지났지만 복원 프로그램을 돌리며 굴러가던 Windows XP가 설치된 PC까지.. 여러모로 시대에 뒤떨어진 서비스센터였는데 위치를 옮기면서 과연 얼마나 달라졌을지 내심 기대되더군요.



삼성을 상징하는 은색 바탕에 파란색 간판.


당진터미널 아래쪽. 아파트 모델하우스가 줄지어 있는 위치에 자리를 잡고 있었습니다. 3층짜리 건물이지만, 실제 고객에게 개방된 공간은 1층과 2층으로 보이네요. 여튼 비도 내리고 건물 안으로 들어갑니다.



1층은 디지털프라자. 2층은 서비스센터.


대다수의 삼성전자 디지털프라자와 서비스센터가 이런 느낌이리라 생각됩니다. 대략 2000년대 초반부터 동네 조그만한 대리점 수준에서 가전제품 판매점의 대형화가 가속되었고, 지금은 하이마트 전자랜드와 더불어 삼성전자와 LG전자도 크고 화려한 판매점을 운영하는것이 대세가 되었습니다.



서비스센터에 입장합니다.


평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토요일은 오후 1시까지 근무한다고 합니다. 점심시간이 끝날 즈음 방문했는데 대기고객이 여럿 보였습니다. 대부분 휴대폰 서비스를 위해 방문한 사람들입니다. 무인접수기로 접수를 하고, 담당 엔지니어를 배정받습니다. 소요시간에 대한 안내를 받고 잠시 센터 안에서 대기합니다.



전반적으로 애니콜의 흔적이 가득했던 종전 서비스센터와 고급스럽고 차분한 분위기의 인테리어입니다.


TALK PLAY LOVE의 흔적이 남아 조금 밝은 분위기의 종전 당진서비스센터와는 달리 차분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물론 앞으로 1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난다면 조금 다르게 느껴지겠죠.



VIEW도 나름 괜찮습니다.


도로 위를 지나는 차들을 보고, 건너편으로는 기아자동차 지점과 롯데마트가 보이네요. 이게 뭐 괜찮은거냐 묻겠지만, 너무 혼잡하지도 답답하지도 않습니다.



체험존도 운영중입니다.


현재 판매중인 갤럭시노트10 5G 혹은 S10 5G를 비롯한 플래그쉽 기기부터 보급형 기기까지 직접 만져 볼 수 있도록 구비해 두었습니다. 요즘 보급형 기기들도 노치형으로 나오고, 꽤 가볍고 괜찮다는 사실을 알았네요. 물론 해가 바뀌었고 조만간 2020년형 신제품들이 쏟아져 나올테니 기변은 좀 더 참아봅시다.



구닥다리였던 고객용 PC도 Windows10이 설치된 최신형 올인원 PC로 변경되었습니다.


아무래도 복원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겠지만은, 성능이 괜찮으니 버벅이거나 답답하지 않습니다. 윈도우7도 며칠 뒤면 지원이 종료되는 마당에 아직까지 XP를 쓰는것은 좀 아니죠..



수리가 모두 끝났습니다. 23만원 가까운 비용을 결제했고, 보험사에 제출할 서류를 받아왔습니다.


서비스센터에서 받은 봉투에는 각 통신사별 보험 청구 홈페이지와 전화번호가 적혀있네요. 친절하신 엔지니어분의 설명을 듣고 서비스센터를 나왔습니다. 뭐 항상 그렇지만, 어느 브랜드고간에 서비스센터에서 기분이 나빴거나 불친절했던 일은 없었습니다.



새 액정. 그리고 새 배터리.


사실상 액정 앗세이에 배터리도 붙어있고 겉 몰딩도 붙어나오니 새 핸드폰과 마찬가지입니다. 배터리 역시 종전보다는 오래가는 느낌이고요. 아마 이번이 약정기간과 보험 가입기간 내 마지막 교체가 아닐까 싶습니다. 부디 오랜세월 무사히 잘 사용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평화로운 월요일 오후.


퇴근하며 우편함을 들여다 봅니다.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온 편지가 하나 있네요..



나는 딱히 잘못한게 없는데.. 라고 생각하며 우편물을 확인하기로 합니다.


아무래도 지난해 업무용 알뜰폰의 약정이 끝나고 번호이동을 하며 생긴 미환급금이 연초에 확인되어 이런 우편물이 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동안 통신사 미환급금 조회 서비스가 방송을 타고 주목을 받을 때 마다 한번씩 돌려보곤 했습니다만, 환급금이라고는 단 1원도 나오지 않았었지요. 이번에는 생긴듯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CJ헬로로 납부하신 서비스 요금 중 환급금이 있어 다음과 같이 신청방법을 안내드립니다.


그렇습니다. 지난해 2월 KT망을 사용하는 CJ헬로 알뜰폰에서 LG U+망을 사용하는 (주)큰사람 이야기알뜰폰으로 번호이동을 했었습니다. 그 당시 CJ헬로에서 청구되었던 요금이 번호이동 후 사업자인 큰사람에서 함께 청구가 되었는데, 필요 이상으로 더 걷어간 금액인듯 합니다.


여튼 CJ그룹이 2000년대 초반 케이블 방송 사업의 진출을 목적으로 지역 유선방송사를 합병하며 몸집을 불려왔던 CJ헬로비전은 IPTV의 등장과 뉴미디어시대의 시작으로 한계에 봉착하였고, 몸집 불리기에 혈안인 LG그룹의 통신사에 인수되었습니다. 그렇게 2019년 12월 24일. 주주총회를 거쳐 CJ 이름을 떼어내고 LG헬로비전으로 사명이 변경되었지요.


사명이 변경된지 대략 보름가까이 지났습니다만, 아직 안내문에는 CJ 로고가 선명히 박혀있었습니다.



물론 안내된 홈페이지 주소에서 새 사명이 포함된 주소로 변경되었습니다.

http://mobile.lghellovision.net/ 홈페이지 주소가 매우 길어졌습니다.


홈페이지 주소가 매우 길어졌음에도, 헬로모바일 홈페이지는 로고가 바뀐 모습을 제외하고는 거의 그대로입니다. 말이 LG의 통신 계열사지만, KT망과 SKT망을 임차하여 알뜰폰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아마 LG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된 이상 KT와 SKT망을 이용하는 요금제보다 훨씬 더 저렴한 상품이 탄생하지 않을까 기대가 되긴 합니다.


여튼 홈페이지 우측 하단에 보이는 '미환급금 조회/신청' 카테고리를 클릭합니다.


유선상품의 경우 엘지헬로비전 홈페이지(http://www.lghellovision.net/) 최하단에 미환급금 조회 카테고리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처음에 유선상품용 홈페이지에서 조회했더니만 아무것도 나오지 않아 모바일 페이지로 이동했었습니다.




간단한 본인인증으로 미환급금의 조회 및 신청이 가능합니다.


선납 또는 과납한 금액이나 공시지원금 부가세 과다 과금액을 돌려준다고 합니다. 거기에 비록 작은 돈이겠지만 그동안의 이자까지 계산하여 지급한다고 하네요. 물론 큰 돈이 아닌지라 이자가 눈에 띌 수준은 아니겠습니다만, 1원의 이자라도 붙어있겠지요. 제게는 1원도 소중합니다.




제 몫으로 남아있는 미환급금은 1332원.


환급 은행과 계좌 연락처를 입력하고 신청버튼을 누르면 매우 간단한 신청절차가 완료됩니다. 뭐 큰 돈이 남아있으리라 기대하진 않았지만, 기대보다 훨씬 적었기에 약간 실망하기는 했었네요. 그럼에도 과자 하나 먹을 수 있는 그런 돈입니다. 그저 받아도 그만 안받아도 그만인 돈이라지만 제게는 소중합니다.




그렇게 환급 신청을 마쳤습니다. 과도하게 청구된 부가세 환급금이라고 합니다.


지난 월요일에 접수했고, 화요일 오후 2시 13분에 소정의 이자가 포함된 1485원이 입금되었습니다. 그리 큰 돈은 아니지만 그래도 과자 한봉지 값은 벌었으니 기분은 정말 좋네요. 통신3사의 유/무선 상품의 미환급금은 통신사업자연합회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https://www.smartchoice.or.kr/)에서도 일괄 확인이 가능합니다.


알뜰폰의 경우 이렇게 안내우편물이 오거나, 각 통신사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여튼 그렇습니다. CJ시절에 냈던 돈을 회사의 주인이 LG로 바뀌고 소정의 이자까지 더해져 받았습니다. 기분은 좋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