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IT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313건

반응형


엘지폰 그리고 삼성폰을 각각 하나씩 가지고 다닙니다.


사실상 메인으로 사용하는 엘지폰은 나름 플래그쉽 기종이지만 처참히 망한 G5. 그리고 세컨드로 지난 겨울에 장만했던 삼성폰은 갤럭시J7 2016 입니다. 엘지폰은 최근까지도 수도없이 서비스센터에 들락거리고 있는 현실이고, 우리의 삼성폰은 버벅임 문제 때문에 메인보드를 교체받은걸 제외하곤 그나마 속을 덜 썩이고 있었습니다만, 삼성폰도 슬슬 문제를 일으키기 시작합니다.


핸드폰이 터치는 됩니다만, 액정에 불이 들어오지 않더군요. 뭐 액정에 불이 들어오지 않는 이상 사실상 액정이 깨져서 쓰지 못하는 핸드폰이나 크게 다를게 없는 상황입니다.


그런고로 오늘의 업무는 대치동에서 끝난지라 대치동에 소재한 삼성전자 서비스센터를 찾아봅니다. 선릉역 근처. 그러니까 포스코 사거리에 휴대전화만 전문적으로 수리해주는 서비스센터가 있다고 하는군요. 오늘의 마지막 종착지였던 한티역 뒷편 먹자골목에서 그래도 갈만한 거리니 삼성전자서비스 선릉휴대폰센터에 방문합니다. 





선릉센터라고 합니다만 선릉역 옆에 붙어있는것도 아니고, 삼성역과 선릉역 사이에 있습니다.


'포스코사거리' 혹은 '포스코 정관장 옆'이라고 설명하는게 훨씬 쉽게 알아먹힐 느낌이네요. 확실히 테헤란로 한복판에 있으니 찾기는 쉽습니다. 밤이 되면 고급 승용차들로 가득 차는 정관장 뒷골목으로 들어가는 그 길목. 정관장과 마주보고 있는 대종빌딩 2층에 소재해 있습니다.



대종빌딩인데 그리 크진 않은 종이 하나 세워져 있습니다.


수협 간판 옆으로 '삼성 휴대폰서비스'간판도 걸려 있네요. 수협 지점은 1층에 있습니다만, 우리의 삼성전자 서비스센터는 2층에 있습니다. 그런고로 계단을 타거나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야만 합니다.



계단이 높지는 않은데 여러번 돌아서 올라갑니다.


삼성전자서비스 선릉센터를 알리는 표지판들이 곳곳에 보입니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오면 바로 앞에 보이고, 계단을 타고 올라오면 복도를 좀 거쳐야만 합니다.


접수는 역시 셀프로 진행됩니다만, 옆에서 여직원분들이 다 도와주시네요. 절차는 간단합니다. 접수를 마친 뒤 접수증을 들고 호명하는 창구로 가서 증상을 설명하면 됩니다. 크게 어렵지는 않습니다. 키오스크 사용에 익숙치 않은 경우라면 옆에서 다 도와줄테니 말이죠.



강남 테헤란로 한복판에 있는 센터 치고는 그리 넓진 않습니다.


그럼에도 하루에 수백명씩 찾아오는 고객들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총 26개의 핸드폰 전담 창구가 운영중입니다. 저를 부르는 엔지니어분께 찾아가 증상을 잘 이야기 하고 조금 기다리라 하시기에 여기저기 구경도 하고 전화도 하면서 기다리고 있었네요.



여타 다른 서비스센터처럼 시연용 기기들도 가져다 두었고, 삼성생명에서 운영하는 카페도 있네요.


다른 서비스센터에 갔던 경험을 되살려 보자면, 커피 그리고 율무차가 나오는 자판기가 하나씩은 있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아쉽게도 자판기는 없었습니다. 물만 두어번 떠먹고, 이것저것 구경하기 바빴네요.



갤럭시노트7의 리퍼폰. 노트 FE(Fan Edition)입니다.


나름 현존하는 최강스펙의 스마트폰이던 노트7은 구조적인 배터리 결함으로 전량 회수조치된 삼성의 흑역사와도 같은 물건입니다만, 팬 에디션으로 새롭게 탄생했습니다. 물론 노트시리즈의 차기 모델이 나오기 전 약 두어달정도 팔고 말 물건이지만 탐나더군요. 둘 다 약정이 끝나기만을 고대해봐야겠습니다.


여튼 약 20여분을 대기한 끝에 수리가 된 제 핸드폰을 다시 받을 수 있었습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인해 액정에 불이 들어오지 않는다 하더군요. 여튼 무상으로 새 액정으로 교체받았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PS4 프로의 등장 이후 졸지에 퇴물까진 아녀도 완전 최신은 아니게 된 물건입니다만, 블루레이 플레이어 겸 나름 집에서 쉴 때 가지고 놀 기기가 필요했던 제게 주변에서 솔깃한 제안을 해오기에 일단 덜컥 구매를 했습니다. 


막상 사고 보니 사실상 콘솔게임기를 집에 두었던 경험이라곤 90년대 중반. 아주 어릴적에 '삼성 겜보이'를 어디선가 얻어와 TV에 연결해서 플레이 했던 기억이 납니다. 막연하게 기억속에 남아있던 게임기의 형태와 카트리지가 위에 꼽혀있었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검색을 해 보니 제 기억속에 있던 그 물건과 같은 제품이 나오더군요. 제 기억속 가정용 콘솔게임기는 그게 처음이자 마지막이였을겁니다.


여튼 콘솔게임을 가지고 놀기엔 너무 어린 나이였고, 멀쩡한 전자제품도 그냥 그 위에 올라가서 놀면서 꽤나 많이 부셔먹었던 시기라 아마 파손되어 폐기했던가 근처에 게임기를 가지고 놀 만한 나이대의 형 누나들에게 갔으리라 생각됩니다. 그 이후로는 여닐곱살 즈음 동네 미용실에서 차례를 대기하며 '겜보이2'로 소닉게임을 했던 기억과 함께, 빨리 머리가 자라길 기다렸던 기억이 비교적 선명하게 남아있네요.


여하튼 20여년이라는 긴 세월이 지난 후 콘솔게임기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파란색 종이 쇼핑백부터 박스까지. 마치 새 제품을 산 기분입니다.


플알못이긴 합니다만, 일단 박스부터 뜯어보기로 합니다.



2016년 12월 10일 구매. 무려 개봉한지 6개월도 채 지나지 않은 그러한 물건입니다.


2016년 9월에 제조된 물건이고, 3개월만에 팔린 물건입니다만, 사용한지 6개월도 채 지나지 않아 매물로 나왔습니다. 사실상 민트급 신품이라 봐도 되겠죠.



500GB의 HDD 용량을 가진 제품입니다. 모델명은 CUH-2017A B01



구성품도 그대로 들어있습니다.


설명서도 그대로 들어있고, 컨트롤러도 봉지에 잘 들어 있었습니다. 컨트롤러와 본체를 핸드폰 충전용 케이블로 유명한 마이크로 5핀 케이블로 연결하더군요. 여튼 2m 넘는 케이블을 사다 연결하면 거실 벽 뒤에 붙어서도 게임을 즐길 수 있답니다.



PSN 계정 역시 만들고, 본격적으로 게임을 구매해서 실행해 봅니다.


일단 가장 저렴하고, 유튜브에서 익히 보던 '파라파 더 래퍼'의 PS4 리메이크버젼입니다. 키도 익힐겸 실행했는데 유튜브로 보던것과는 달리 많이 어렵네요. 오퍼레이션7 역시 설치해서 한참을 즐겼네요. 일단은 컨트롤러와 친해지는게 우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