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42건

반응형

 

천안 모처에 딱 하루 세워두웠던 젠트라.. 다음날 타러 가보니 새똥 테러를 맞았습니다.

 

하 씨발....

풀코스 세차를 마치고 보름 이상 지하주차장에 모셔두었는데, 타고 나오니 이지랄입니다 ㅠㅠ

 

이 자리에 주차를 하기 전 바닥에 새똥자국도 일절 없었고.. 별 생각도 없었는데... 하필이면 커다란 새똥을 여러개 맞았습니다. 다행히 세차용품을 이 차에 넣어두고 옮기지 않았던지라 근처 세차장으로 향했습니다. 천안에서 잠시 살았던게 얼추 10년 전 일이기는 한데, 역말오거리에 세차장이 있었던 사실이 기억이 나 그쪽으로 향했습니다.

 

역말오거리의 셀프세차장은 리모델링만 했지 그대로 영업하고 있더군요. 여튼 세차를 마치고 또 옛 추억에 젖어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를 한바퀴 둘러보고 오기로 합니다.

 

역말오거리에서 북일고등학교를 거쳐 단국대학교 가는 길로 나가다가 단국대학교 진입 전 우회전 해서 큰길로 큰길로 나왔습니다. 지금은 새로 아파트가 생겨서 온전한 이전 기억과 같은 길은 아니지만, 그냥 하나하나가 추억이더군요.

 

상명대학교 정문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로 들어갑니다.

 

내년이면 만으로 10년이네요. 학교로 들어가는 길목도 많이 변했습니다. 캠퍼스를 한바퀴 돌아 내려오는데, 독도 근처에 좐선배라 부르던 사람 모양의 조형물은 사라졌더군요. 그거 말곤 건물도 그대로 딱히 바뀐건 없었습니다.

 

한누리관 너머 본관 뒷편에 파란 젠트라가 보인다.

에이 별거 없네 하고 한누리관을 거쳐 내려가던 길에 파란색 젠트라를 목격했습니다.

 

14인치 알루미늄휠이 적용된 1.2 SX 오토입니다. 젠트라X 중 가장 흔히 보이는 모델입니다. 이 근처에 세워두는 교직원의 지역번호판 비스토가 있었는데, 대략 2~3년 전부터 보이지 않더군요. 뭐 비스토가 사라져서 아쉬웠지만, 비스토 말고 가끔 찾아와서 함께 사진을 찍을만한 차가 있다는 생각에 기쁨을 감출 수 없었습니다.

 

GENTRA X

앞뒤로 젠트라X의 모습이 보입니다.

 

광각렌즈라 왜곡이 있습니다만, 파란색 젠트라가 보이면 나란히 세워두고 사진을 촬영합니다. 역시 교직원의 차량으로 보이는데, 뒷유리에 중고차 딜러의 광고용 스티커를 붙였던 흔적이 남아있더군요.

 

뒷모습만 보면 그냥 같은차.

뒷모습만 보면 그냥 같은 차량입니다.

 

저 차도 레터링만 CDX 16을 붙여두었지 1.6 모델에는 기본으로 15인치 알루미늄휠이 적용되었습니다. 고로 1.2 SX의 레터링 갈이라 보면 됩니다. 그렇게 인기가 있던 차도 아니고 꽤 많은 차량이 수출길에 올라 씨가 마르고 있음에도 찾아보면 꽤 많이 보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같은 색상의 차량과 나란히 세워두고 사진도 찍을 수 있지요.

 

옆에서 보면 조금 다르다.

뒤에서 보면 큰 차이를 느끼긴 어렵지만, 옆에서 보면 조금 다르게 생겼습니다.

 

측면 디자인 차이가 보여지는 이런 사진을 개인적으로 좋아합니다. 문짝이나 유리의 형태도 다르지만 라인도 조금 다릅니다. 칼로스처럼 전면과 후면의 미묘한 차이가 있는것도 아니고 전면과 후면 디자인은 동일하지만, 미묘하게 차이를 뒀다면 조금 더 팔리지 않았을까 싶네요.

 

우측 헤드램프만 누렇다.

이 차도 우측 헤드램프만 백화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제 차도 마찬가지로 좌측만 교환되어 우측 헤드램프는 출고 당시 물건인지라 백화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이 차량 역시 범퍼의 도장 흔적이 보이는 바 좌측으로 파손이 있었던 차량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특유의 병신같은 범퍼 디자인 탓에 앞에 긴 번호판을 달아놓으니 양 옆으로 뜨는 공간이 보이네요. DIY를 거친 제 차는 멀리서 보면 그런 공간이 보이지 않습니다.

 

내년에 와야지

여튼 젠트라로 시작해서 짧은 상명대 구경을 거쳐 젠트라로 끝납니다.

 

작년에는 8월에 다녀갔었네요. 매년 한 번 찾아오는 성지(?)같은 느낌입니다. 내년에 다시 찾아오기로 합시다. 내년에는 많은 변화가 있기를 소망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차고에만 박혀있는 차량. 따로 언급은 안했지만 애칭은 고수레.

 

귀한 손님이 오셔서 꺼내서 한바퀴 타고 들어왔는데 주차하려고 보니 이상한 소리가 납니다. 시동을 꺼도 뭔가 닿는듯한 이상한 소리가 계속 이어지더군요. 이게 도무지 무슨 소리인지 본넷을 열어 엔진룸을 확인합니다. 흔히 라디에이터팬 냉각팬 엔진팬이라 부르는 그쪽에서 소리가 나더군요.

 

영상

영상에서 보다시피 팬 날개가 제대로 돌지 않고 흔들거립니다.

 

이상한 소리는 혼자 겉도는 모터 소리였고, 일단 배터리 (-)단자를 분리하여 상황을 종료시킵니다. 아무래도 냉각수를 식혀주는 팬에 문제가 생긴 느낌입니다. 헐렁거리는 모습을 보아하니 아마 고정 너트가 빠진 느낌인데, 이걸 뭐 당장 냅두기도 뭐하고 팬을 탈거하여 상황을 파악해보기로 합니다.

 

도크가 있어 편리하다.

일단 차를 정방향으로 세워 도크에 들어갈 공간을 확보합니다.

 

티코의 라디에이터팬은 위에서 볼트 두개를, 아래에서 볼트 하나를 풀어서 분리해줍니다. 말로만 하자면 매우 쉽습니다만, 아래에 보이는 볼트를 풀기 위해 차를 띄우고 커버를 탈거하는 생각보다 번거로운 작업이 존재하는지라 차를 띄우기 어려운 환경이라면 괜히 고생하느니 그냥 카센터에 가는게 낫습니다.

 

이럴때 사용하려고 열심히 치워뒀던 도크가 있으니 직접 뜯어 상태를 확인해보기로 합니다.

 

다시 확인

다시 확인합니다. 누가 봐도 팬의 상태가 정상적이지는 않습니다.

 

약 두시간정도 차량을 냉각시키고 본격적으로 탈거작업에 나섭니다. 

 

빨간 사각형이 탈거해야할 위치

빨간 사각형으로 보이는 부분이 탈거하거나 풀어줘야하는 자리입니다.

 

먼저 양쪽 끝의 10미리 볼트를 풀어줍니다. 물론 이 두 볼트만 풀어준다고 빠지지는 않습니다. 라디에이터 호스를 고정하는 호스반도의 십자볼트가 엔진팬을 함께 고정하고 있습니다. 살짝 풀어서 돌려주고 호스를 빼주면 됩니다. 냉각수가 흘러나오니 주의합니다. 이후 보조통으로 가는 호스는 팬치나 니퍼를 이용하여 호스반도를 풀어준 뒤 탈거하면 됩니다.

 

도크 밑으로 내려온다.

도크 아래가 지랄맞습니다. 철제 언더커버를 탈거해야 손이 들어갈 공간이 나옵니다.

사진상에 보이는 냉각팬 고정 볼트와 호스밴드 십자볼트를 풀어줍니다.

 

배터리가 없어 충전기에 물려놓고 볼트의 탈거를 진행했습니다. 볼트를 탈거한 뒤 커넥터를 탈거하고 위에서 잡아당겨주면 냉각팬만 탈거됩니다.

 

낡은 차고에서 정비중

낡은 차고에서 정비를 이어갑니다.

 

중간에 미친듯이 비가 내리긴 했습니다만, 작업에 문제는 없습니다. 빨리 콤프레샤 하나 가져다 놓고 에어공구 써야지 손으로 돌리고 풀고 올라갔다 내려갔다 참 귀찮네요. 여튼 낡은 차고에서 고쳐지는 낡은 티코의 모습입니다.

 

탈거된 냉각팬

탈거된 냉각팬입니다. 멀쩡하게 보입니다만, 너트가 없네요.

 

고로 너트가 빠져 도망갔고, 그로 인해 유격이 생긴데다가 모터가 돌아가며 약간의 손상이 생겼습니다. 손으로 돌려보면 뭔가 닿는 느낌이고 제대로 돌아가지 않네요. 당장 원인만 확인했지 교체할 부품이 없으니 일단은 임시방편으로 너트를 물려 다시 끼우기로 합니다.

 

너트를 끼워준다.

너트를 끼워주고 조립합니다.

유격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만, 팬이 휘어서 뭔가 사각사각 소리가 계속 나네요.

 

티코용 팬은 두종류가 나오는지라 잘못사면 꽝이니 비품 앗세이를 구입하기로 합니다. 비품 앗세이가 4만원대. 정품은 커버 날개 모터 따로 나오는데 다 합하면 8만원 수준이네요. 창렬한 대우차 부품인지라 도태거지는 비품을 쓰기로 합니다. 지금것도 모터랑 커버는 멀쩡하니 놔두면 될테고요.

 

여튼 비품 냉각팬을 구입하여 다시 작업하기로 합니다. 나중에 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