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39건

반응형



하루살이들이 카미가제를 해버리는 계절이 왔습니다.


6월 이맘때 특정 시기만 넘기면 딱히 벌레들이 차에 중점적으로 사체를 남기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만, 요즘같은 시기 특히 하천이나 저수지변을 저녁시간에 운행을 한다면 차 앞에서 수백 아니 수천마리의 하루살이 시체들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잘 닦이면 좋겠지만, 암만 고압으로 뿌리고 솔로 빡빡 문질러도 닦이지 않는게 바로 하루살이의 시체라 고민이 참 많지요. 하루살이들은 저렇게 하루에도 수십만 수백만마리씩 차에 치여 목숨을 다하는데 그럼에도 개체수가 눈에 띄게 줄어들거나 하는 일이 없다는게 어찌보면 참 신기합니다.



아름답지는 않고, 혐오스러운 이 흔적.. 차가 달리면서 바람을 맞는 부분엔 죄다 흔적이 있습니다.


육안상으로도 수백마리의 하루살이가 희생당했는데 그릴 속으로 들어가 가뜩이나 고속으로 달려서 뜨거운 라지에이터 그릴이나 매니폴더에 닿아 저렇게 시신도 없이 사라진 하루살이들까지 포함하면 족히 천마리 가까이 되겠지요. 



작년 재작년엔 잘 닦이지도 않는 이 하루살이 시체들을 고압과 걸레로 열심히 지웠더라죠.


다만 힘들기만 하고 그닥 잘 지워지지도 않아 올해는 약품의 도움을 받아보기로 했습니다.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자동차 용품을 생산하는, 마치 도라에몽 주머니와도 같이 다양한 용품들이 쏟아져 나오는 "불스원"의 제품입니다



불스원 고성능 버그크리너!!

단백질 분해효소가 벌레자국, 새똥 등을 빠르게 없애줍니다.

아 그러쿤요. 새똥에도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딱히 새가 많이 앉아있는 공간 근처에 주차를 하지 않아 새똥이랑은 거리가 멀지만, 어두컴컴해진 시간대에는 차를 종종 타고다니니 사실상 벌레자국을 없애는 목적이랍니다.



용도


벌레자국, 새똥, 나무수액 등의 세정


특징


단백질 분해효소가 첨가되어 있어 잘 닦이지 않는 벌레자국, 새똥, 나무수액 등을 깨끗하게 제거해주며, 자동차 표면이나 유리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제거해줍니다.


올바른 사용방법


1) 분사노즐 위치를 ON으로 돌려 주십시오.

2) 오염부위에 적당량을 분사한 뒤 약 30초후에 깨끗한 천을 이용하여 닦아주십시오.

3) 오염물이 오래 방치되어 잘 닦이지 않을 경우 위의 작업(2번)을 반복하여 주십시오.

4) 오염부위가 뜨거우면 제품 사용시 얼룩이 발생할 수 있으니 물을 이용하여 충분히 식힌 후에 사용하십시오.

5) 재도장 차량의 경우 일부 오염부위에 사용한 뒤 이상이 없을 경우 오염 부위를 깨끗이 제거한 다음 표면 보호를 위해 왁스 사용을 권장합니다.


여튼 이러한 물건입니다. 

다만, 세차장에서는 그냥 이 용액을 뿌리고 고압수로 뿌리는걸 추천하더군요.


그리하여 본격 작업에 들어가도록 합니다. 벌레들이 사망한지는 24시간도 채 지나지 않았으니 일단 한번만 뿌려주기로 하고 여기저기 뿌리기 시작하네요. 일단 특이 케이스로 스티커가 붙은 차량이라 혹여나 스티커에 영향을 미치진 않을까 싶어 망설이긴 했지만, 큰 영향은 없었답니다. 



본넷에도 카미가제의 흔적들은 보이구요.



한 쪽 사이드미러에만 백마리의 하루살이의 사체가 보이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루프 위에 루프렉에까지도 사체들이 묻어있더군요.



유리도 역시 마찬가지.


시야에 방해가 되는 수준으로 벌레들이 유리창에도 잔뜩 묻었습니다. 오면서 와셔액을 아낌없이 뿌려가며 와이퍼질을 했지만, 뭐 효과가 있어야지요. 아무런 효과도 없었습니다.



여튼간에 혐오스러워도 사정없이 용액을 뿌려줍니다.



와이퍼 블레이드까지도 하루살이 시체들로 점령당했네요.


당연히 저런데 잘 지워질리가 없겠죠...?



그냥 아낌없이 뿌리면서 자연적으로 30초는 지났을테고.. 고압수로 처리해줬습니다.


립댐 안개등 범퍼그릴 할 것 없이 물을 뿌려줍니다. 100% 다 지워지는건 아니지만 80% 이상은 살짝 물만 뿌려줘도 쉽게 떨어져 나가더군요. 유리창에도 뿌리고, 여기 저기 다 뿌려보았습니다만.. 확실히 직접적으로 분사한 곳에서는 대부분의 벌레 사체가 나가 떨어졌습니다.


다만 떨어지지 않고 남은 벌레의 잔해물들 역시 쉽게 걸레로 닦이더군요.



여튼간의 불스원 버그크리너로 비교적 큰 힘 들이지 않고 세차를 마쳤습니다.


금요일쯤에나 비가 온다죠. 또 한주 열심히 타고 다니다 보면 벌레 사체가 좀 생길테고.. 다가오는 주말에도 벌레제거제를 가지고 비교적 편하게 세차를 해보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펠 카데트를 베이스로 86년부터 97년 2월까지 생산되었던 대우자동차의 소형차 르망. 세단 그리고 해치백에 밴모델까지 존재했었고, 2015년 현재도 우즈베키스탄의 국영 자동차 생산업체인 우즈대우(UZ-Daewoo)에서는 르망을 베이스로 했던 씨에로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폐차장에서도 보기 힘들고 공도에선 더더욱이 보기 힘든 그저 오래된 똥차라 여겨질 수 있겠지만, 라노스와 칼로스/젠트라를 거쳐 지금의 아베오까지 이어지는 쉐보레의 소형차 족보에서는 그래도 가장 존재감이 있었던 차량이 아닐까 싶습니다. 마이카 시대에 맞춰 만 10년의 세월동안 50만대 이상 판매되었던 베스트셀링카로 그냥 길거리에 치이고 치이던 차량이지만 요즘 참 보기 힘들지요.


'에어컨이 빵빵하다, 고속주행이 안정적이다' 하는 대우차에 관련된 인상을 각인시키는데 일조했던 차량이기도 하지요. (부정적인 인식 역시 마찬가지..)


여튼간에 후기형 뉴 르망을 목격했습니다.



구형 서울번호판을 달고 있는 자주색상의 르망입니다.


관리상태는 썩 좋아보이진 않지만 최후기형 단종 직전 차량도 보기가 드문지라 그냥 이 차량을 목격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사진을 찍는 시대가 왔습니다. 특유의 폰티악 엠블렘도 잘 붙어 있구요. 86년부터 91년까지 생산된 각진 르망이 아닌, 91년부터 97년까지 생산된 뉴 르망입니다.



리어램프를 보아하니 뉴 르망에서도 한번 더 변화를 주었던 후기형으로 보입니다.


파워안테나가 좌측 후면으로 옮겨왔고 직사각형의 리어램프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차주분은 어르신이신데 젊으셨던 시절에는 차량을 꾸미는데 관심이 있으셨는지 스포일러 역시 따로 달아두셨습니다. 르망의 파생모델인 씨에로가 94년 5월 출시 이후 GTi 트림이 삭제되었는데, 93년형 혹은 94년형 모델로 보입니다.



비교적 관리상태가 양호한 좌측면.


크고 웅장해진 요즘 차량들 사이에선 상대적으로 초라해 보이긴 하지만, 그래도 서울에서 고속도로를 타고 지방으로 내려 올 정도로 달리는데는 큰 지장이 없지 않나 싶습니다. 특유의 별모양 휠커버는 다 날라가고 한짝만 남아있네요. 



공인연비 스티커도 큰 훼손 없이 잘 붙어있습니다.


당시 공인연비는 15.1km/ℓ. 공인연비는 뻥연비란 소문이 만연했던 시절이지만 서류상의 수치로는 지금 나오는 차량들과 큰 차이는 없습니다. 연비 측정방식은 지금과 많이 다르지만 먼 손자뻘 되는 아베오 수동보단 서류상의 공인연비는 좋습니다. (1.6이나 요즘 나오는 1.4 터보 할 것 없이..)



변속기는 수동. 후기형 차량이니 씨에로와 에스페로에 적용되던 3스포크 핸들이 적용되었습니다.


다만 그시절 최고사양의 상징이던 전자식 계기판은 적용되지 않았더군요. 차주가 연세가 좀 있으신 분인지라 요즘은 사실상 사라졌다 볼 수 있는 카세트 테이프도 많이 가지고 다니시더랍니다. 


여튼간에 오랜만에 본 르망.. 앞으로도 오래오래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