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참 전 폐막한 모터쇼 글을 여태 쓰고 있는 티스도리..


이번엔 대한민국의 대표 브랜드 현대자동차입니다. 현대차는 항상 승용 및 상용 전시관을 따로 운영하는 방식으로 모터쇼에 참가했는데 올해도 역시나 그렇게 참가를 했습니다. 상용부분에서 신차가 두대나 나왔고 (마이티 신형, 쏠라티) 승용부분에서도 주목할만한 신형 투싼이나 LF쏘나타 하이브리드가 공개적인 모터쇼에서는 처음 시민들을 만나게 되었답니다.




현대차 부스에 왔습니다.



가장 먼저 반겨주는 차량은 i20 WRC.


오래전 베르나로 개쪽을 당했던 뒤로 국제적인 모터스포츠 대회엔 사실상 발을 뺐던 현대기아가 다시 차를 보내기 시작한게 몇년 전이죠.



이전엔 현대기아차 부스가 팔아먹은 차엔 관심이 없더니만....


2015년 모터쇼에서는 그동안 서킷에서 좋은 성적을 보였던 차량들이나 드레스업카의 전시까지 해주면서 그동안 팔아먹었던 차량에도 지대한 관심을(?) 보여줬답니다.



역시 휠보레가 장착되어 있네요.




공도를 달리던 젠쿱.. 트렁크를 열면 오디오 데모카..


자금만 있고 트렁크 공간을 포기하고 다니면 충분히 가능하지만.. 전 트렁크 포기를 못하겠네요.



다음 차량으로 넘어갑니다..



껍데기는 벨로스터, 하지만 감쳐진 괴물.. RM15 역시 모터쇼에 나왔습니다.


미드쉽 벨로스터라고들 말 많았죠. 작년 부산모터쇼에 컨셉카로 나왔던 차량이 공도의 테스트카로 목격이 되었고 올해 서울모터쇼에서도 그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답니다.




육안상으론 그냥 벌레스터.. 하지만 300마력에 39토크를 내는 괴물..




엑센트 드레스업카 역시 전시를 위한 오디오 작업이 되어있었습니다.


물론 엑센트 광고가 나오는게 아니라.. 투싼 광고가 나오더군요.



비싼 고급차 제네시스 역시 튜닝의 길을 피하긴 어려웠습니다.


나름 현대에서 고품격, 회장님들 타는 차 이미지로 홍보를 하고 있는데 드레스업카로 출품을 했네요.




넘어와서 수타페 아니 DM은 꾸밈빨 잘 받는 차종중 하나란 생각이 듭니다.



신형 투싼이 벌써..ㄷㄷㄷㄷ



공도에 돌아다니는 차 보기도 아직 힘든데.. 벌써 작업을 해놓은 차가 나왔습니다.



다른 드레스업 카들은 문이 열리지 않던데 이 차량은 시승이 가능하더군요.



휠에 브레이크까지...ㄷㄷ



신형 투싼 실내입니다. 조금 저렴해 보이는 분위기더군요.



웬지 구형 제네시스(BH)를 보는듯한 센터페시아..



정말 저렴해보이는 핸들..



에어컨 혹은 히터의 가동 여부에 따라서 냉장고나 온장고처럼 글로브박스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포터엔 있다가 빠진 기능인데.. 요즘 현기차에는 대부분 붙어서 나오더군요.



저렴해보인은 내장재 프라스틱.. 


준비엘 스티커가 붙은걸로 보아 배기는 준비엘 제품인듯...



이건 오리지날 전시차량입니다.



나름 하이브리드 스타일 휠..



뒷태는 무슨 망둥어를 보는듯한 느낌.. 



그래도 이차는 사양이 좀 높은 차량이라 브라운 가죽시트에 내장재 컬러 역시 브라운입니다.



엑센트 위트.


나름 현대의 간판차종.. 15년형부터 DCT 적용으로 경차 이상의 연비를 낸다고 합니다.



엑센트 16인치 휠은 언제 봐도 달고싶습니다.



딱히 바뀐건 없어보이는 실내.



역시 얼마전 페이스리프트로 좀 더 벌레같은 인상을 가지게 된 i30



뒷태는 큰 변화 없음.



닥터드레 헤드셋으로 유명한 비츠 사운드의 오디오시스템이 적용되었습니다.



언제 봐도 정감 안가는 핸들.


저는 운전자가 자동차에서 가장 밀접하게 접하는 핸들 디자인이 자동차의 호불호를 결정하는 요소 중 내외관과 더불어 중요하다고 여기는 사람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항상 핸들 디자인을 유심히 확인합니다. 나름 유선형의 디자인만 잘 살려놨으면 봐줄만 하겠지만 버튼이 너무 덕지덕지 붙은 느낌이 나는군요.



딱히 변한 느낌은 없는듯 합니다. 너무 저렴한 느낌도 없고, 딱 적당한 수준.



i30와 더불어 i40도 디자인의 변화가 감행되었지요.


좀 더 날렵한 벌레가 되어서 돌아왔습니다.



딱히 변한건 없어보이지만 버튼이 좀 더 늘어난 느낌은 저만 드는건가요..



내장재는 싸구려틱한 회색보단 고급스러운 검은색이 먹어줍니다.


나름 그랜져 뺨치는 가격대의 i40라 그런지 전반적인 요소가 모두 고급스럽게 느껴지더군요.



한 때 그랜져에도 들어가던 JBL 사운드 시스템.  고급스러운 도어트림



왜건만큼의 효율성은 아니지만 살룬 역시 골프백 두개 이상은 담을만한 트렁크 공간을 보여줍니다.




임무교대





뭉툭한 범퍼와 함께 더욱 각진 느낌인 LF PHEV 하이브리드..


오늘은 여기까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요즘 스파크 얘기가 뜸했지요. 


일본 여행 얘기나 모터쇼 얘기가 주를 이루다 보니 스파크 이야기가 조금 뜸했나 봅니다. 얼마전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진 비스토의 경우엔 오래된 차량이라 튜닝파츠가 썩 많지는 않지만 스파크는 그래도 다양한 상품이 나옵니다. 그중 LED 보조제동등이 마음에 들어 홧김에 장착을 하러 다녀왔습니다.


그 이외에도 지난번에 구매만 해두고 배선작업을 미뤄둔 도어언락이랑 아이라인 작업도 마쳤네요.



용인 한적한 곳에 위치한 엠삼백 아지트입니다.


동호회 명칭이 스파크 후속이 나옴에 따라 m300클럽에서 쉐보레 스파크 동호회로 변경되었습니다. 동호회의 사업장이자 카페지기님이 계신곳이지요. 약 6년의 세월동안 많은 사랑을 받았으니.. 후속 M400이 나오더라도 모닝짱처럼 오래오래 갔음 좋겠네요.


요즘엔 신차만 나오면 카페로 장사 하는 양반들이 우후죽순 차량 동호회 만들어서 서로 자기네가 공식이라며 예비 구매자들을 가입시키고 다시 그 카페를 판매하여 이득을 취하려 하는게 현실이라 안타깝기만 합니다. 



아지트는 조립식 건물이나 복층의 구조로 이루어 진 상태입니다.


위층엔 사무실과 휴게공간이, 아랫층엔 작업공간이 있습니다. 한쪽은 랩핑 작업실, 한쪽은 용품 작업실.. 그 가운데로는 리프트가 있어서 오일교환등의 작업을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앞에선 아이라인 운전석에선 도어언락 배선작업 뒤에선 보조제동등 작업이 진행중입니다. 세사람이 붙어서 작업을 진행하니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이 되더군요.



흔히 광선검이라 말하는 보조제동등은 부착형이기에 부착을 하기로 했습니다.


이 광선검을 공급하는 업체에서 장착한 차량들은 리어댐에 장착을 하기도 하던데.. 그건 힘들다 하시고 하니 뒷 유리에 붙이기로 합니다. 양면테이프 부착방식이라 유리를 잘 닦아주고 부착을 하더군요.



지긋지긋한 배선작업.


하다가 두손 두발 다 들고.. 그러다가 시동이 걸리지 않아서 렉카로 떠간 사업소에서는 죄다 개판으로 잘라놓고.. 볼때마다 짜증나고 답이 없어서 그냥 덮어놓기 바빴는데 완벽하게 작업도 해주시고 마무리 정리까지 알아서 잘 해주셨답니다.



차 한대에 사람이 세명....


아이라인은 생각 의외로 쉽더군요. 차량 본넷 안 퓨즈박스의 안개등 릴레이에 연결을 해서 추후 제거 및 재장착이 용이하게 장착을 해 주셨습니다. 안개등을 켰다 끄는 것 처럼 쉽게 온 오프가 가능하답니다.



작업 완료..


세사람이 붙으니 작업은 금방 끝납니다. 작업이 끝난 차를 끌고 지하주차장에 들어와서 얼마나 만족스럽게 작업이 끝났는지 확인을 해 보도록 하네요.



지하주차장에서 차량이 더욱 빛납니다.



본넷 밑에서 나오는 은은한 광채.


손이 끊기는 부분에서 나오니 조금 무섭긴 하지만 말이죠..



이날 작업의 핵심인 보조제동등입니다.


가운데는 들어오지 않고, 테두리만 들어오는 말 그대로 광선검이지요. LED라 전력소모량도 적고 순정 보조제동등보다 훨씬 더 눈에 잘 들어옵니다. 다만 뒤에서 보면 짜증날 정도로 지랄같이 번쩍거리는 모듈은 정체구간에서 앞차가 붙어있으면 진짜 뽑아버릴 정도로 싫기에 장착하지 않았네요.



보배드림 스티커가 광선검을 가리는게 영 좋지 못해서 결국 드림만 남기고 떼어버렸습니다.


드림도 조만간 떼어 낼 생각이네요. 뒤에서 보는 사람도 만족스럽고 장착한 사람 또한 만족스러운 보조제동등이 완성되었습니다. ㅎㅎ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