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온지 벌써 10년이 훌쩍 지나버렸지만, 대한민국 최고의 육상교통시뮬레이터 게임으로 변해버린

미드타운 매드니스2.. 또 새로운 차량이 추가되었나 하고 확인해보았는데..

새로운 차량은 아니고, 기존 차량에 새로운 대시보드만 추가되어 배포 된 차량이라 보면 되겠다..
(크게 그랜버드 블루스카이,파크웨이,그린필드의 경우 곤충룩 적용 이전의 밋밋한 외관에 내부와 엔진성능만 바뀌었을 뿐이다.)

기존의 기아의 대형버스 뉴그랜버드에 승용차 돌풍을 만들었던 부사장 피터 슈라이어의 디자인이 적용 된, 부분개선모델이 작년에 탄생했던걸로 기억한다. 피터 슈라이어가 디자인을 했다고 수식어까지 붙여가며, 이제는 "미래가 디자인한 대한민국 대표버스"라는 슬로건 아래에서 판매를 하고 있다.
로채 이노베이션에서 써먹던 이노베이션 문구를 그대로 그랜버드 뒤에 갖다붙이기만 했었고.. 무언가 아직까지도 현대의 아류로 남든다는 분위기가 굉장히 많이 났지만.. 나름 대시보드는 K5,K7을 비롯한 획기적인 디자인을 적용했고 외관만 뺀다면 새로 개선된 성능부분도 그렇고 모두 만족한다.

공개되기 이전 후속예기가 나올때 차량의 옆라인이 달라졌으며 차체까지 아예 바뀌는 모델체인지인줄 알고.. 완전한 후속모델이 슈라이어 지시하에 나오는구나 하고 기대를 가졌지만.. 뒤는 그대로요.. 현실은 옆에 그냥 라인 스티커 하나 더 붙였을 뿐이고.. 기아차의 벌레룩 시초를 알릴 뿐이였다.

 
↑ 아... 도무지 이게 뭔가.. 곤충이다.. 그냥 호랑이그릴 딱 집어넣고 전반적으로 밋밋하던 부분을 날렵하게만 바꾸고 끝났으면 만족할것을...... 슈라이어가 버스디자인은 처음 해보는건가..?

2007년 말과 2008년 초, 당시 아시아자동차시절부터 기아 그리고 현대기아차까지 열심히 우려먹었던 그랜버드의 후속이 생산되고 포르테와 로채 이노베이션의 판매호조로 기아는 새로운 전성기를 누리게 되었다. 그동안 현대의 아류라는 칭호에서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그들만의 개성을 널리 뽐내게 되었는데.. 그리고 2~3년이 지난 요즈음.. 기아와 현대의 디자인코드가 약간 서로 바뀌어버린 것 같지만.. 나름 디자인=기아 라는 공식을 통하게 만들었다.


↑ 넌 작은 풀벌레냐..? 암만봐도 너도 벌레닮았다..  

현대보다는 독창적이고 진보적인 디자인이 맘에 드는 기아.. 요즘 디자인이 점점 미래지향적으로 가는듯한 느낌을 주는데.. 너무 미래지향적으로 가는 것은 원치않는 한 사람이지만, 앞으로도 대한민국 최고의 디자인을 자랑하는 차를 많이 만들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단지, 그랜버드 대시보드에 대해서 짧게 서술하려던 글이.. 무슨 내용도 없고, 주제도 없이 이렇게 길어지기만 했다....

벌레닮은 기아 그랜버드 그리고 기아차.. 앞으로도 어쨋거나 좋은 발전이 있기를 기원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03년 이차가 중국시장에서 시판되고부터 논쟁은 시작되었으니.. 한 7~8년에서 5~6년전쯤까지..(벌써 이렇게 되었나..?) 어느정도 뜨거운 감자로 사람들의 입에 올랐던 차량이다.. 지금은 이미 식어버린 감자가 되어버린지 오래인데다가 이제 웬만한 사람들은 볼 만큼 다 봤고 존재감도 알고 있으니 크게 관심조차 주는 사람이 없지만, 한때 이 차는 GM코리아컴퍼니의 마티즈2를 표절했다면서 표절논란의 중심에 서있던 차량이다. 

10년이 다 되어가는 당시로서 국내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대놓고 배낀 짝퉁차라며 뜨겁게 달궜으니 인터넷을 좀 했다면 대부분이 한번쯤은 이 차에 대한 이야기나 사진을 봤을테고, 법정분쟁까지도 갔었던 대표주자였는데.. 현재는 원만히 잘 해결되었다고는 하지만, 2005년 11월에 대우와 GM측에서 중국에 중화사상에 밀려서인지 혹은 정말로 잘 해결되어서 그런건지 강경 대응을 하겠다던 그들이 소송을 취하했고, 2006년부터는 짝퉁분쟁으로 유명했던 이 모델의 신형 QQ6이 나오게 되어, 이 사태는 수많은 미스테리를 남겨놓고서 결국 일단락되었다.(그래놓고 몇년을 더 커뮤니티에 논쟁거리로 돌아다녔지만..;;)

그런 말로만 들었던 체리차의 QQ를 실제로 보게 되었는데.. 그 넓은 대륙에 몇대 없을거라고 생각했던 개체수보다 굉장히 많았다. 3박 4일 북경시를 돌아다니면서, 어디를 가도 꼭 한대씩은 있는 체리 QQ.. 굳이 체리 QQ 뿐만 아니라, 본 모델인 시보레 스파크(마티즈) 역시도 존재하긴 하나.. 스파크는 딱 한번뿐 보지 못했다..
PS. 짝퉁모델인 체리 QQ는 400만원에서 700만원정도 하는 가격대에 판매했었지만, 합법적으로 판매되는 스파크는 600만원에서 800만원정도의 가격대였으니.. 비슷하게 생긴 두 차가 가격차이가 나버리니 당연히 QQ가 스파크보다 판매량에서 앞섰다..

출시 당시로서는 합법적으로 기술제휴를 통해서 들어왔던 차량도 아닌데, 어디로 기술이 새어나간건지 혹은 체리사의 주장대로 우연의 일치였는지 차량의 전체적인 제원과 구조 그리고 내부 인테리어등 거의 모든 측면에서 그냥 마티즈를 빼다박았다.. 마티즈는 GM으로 넘어가기 전 김우중의 대우그룹 시절 옛 대우자동차가 티코의 후속모델을 찾고있던 중, 피아트사에 제안을 했던 디자인이였으나 채택되지 못했고 대우에게 제안을 해서 대우가 디자인을 구입한거였으니 당연히 그에 대한 권리는 당시 GM대우에 있는것인데 말이다.(뭐 당장 지금으로 말하자면, GM코리아지만...;;) 


일단 한때 논쟁이 되었던 두 회사간의 합의가 원만히 해결되었으니, 딱히 측면의 디자인은 뭐.. 그냥 마티즈를 빼다막았다.. 그냥 앞을 본다면, 동글동글한 헤드라이트가 마티즈를 연상시킨다는 느낌이 나고 냄새가 났지만, 뭐 옆으로 가면 그냥 약간은 다른 방법으로 생산된 마티즈라고 보면 되겠다.(뭐 실제 제조사만 다르고 디자인만 약간 다른차이긴 하지만, 한국의 부품들도 다 맞는단다.)

그래서 난 예전부터 종종 이러한 생각들을 해왔었다..

"마티즈를 한대 중고로 뽑아서 앞은QQ 뒤는 마티즈인척 하고다니면 어떨까.."

뭐 이건 내가생각해도 잉여스럽고 다른사람이 생각해도 그저 뻘스러운 생각인데 말이다.
(그래서 지금은 그런 잉여스러운 상상은 역시나 상상으로 끝냈다. 어찌본다면 실현할 수도 있는걸텐데 말이다.)


뭐 뒤로가도 마티즈랑 별반 다를게 없다...

한때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전 세계의 지적재산권을 위협했었던 중국의 토종 브랜드들은 날이 가면 갈수록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요즘에는 이전처럼 짝퉁차 전문 생산국이라는 오명을 벗고 자체개발한 전기차모델을 비롯해서 탈 짝퉁화에 가속도를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약간은 옆으로 세어버린 글이지만 조만간 마티즈의 신화를 일궈냈던 대우라는 브랜드로 나오는 승용차는 더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찬반논쟁에 서있던 쉐보레(시보레가 더 편하긴 하지만..)브랜드가 스즈끼 차체로 20년을 한결같이 우려먹는[각주:1] 국내 유일의 경상용차 다마스와 라보 그리고 뷰익의 라크로스를 직접 들여온 알페온을 제외하고는 결국 다른 차종들에 모두 달리게 되었다. 역시나 옛 대우의 자회사 우즈벡 대우도 우즈벡 시보레로 명칭을 변경했고, 아직까지 대우 모델로 수출되고있는 차량들에 대해서는 단종될때까지 대우 브랜드를 유지한다고 하지만.. 또 인도의 삼성격인 타타그룹에서 인수한 타타대우상용차와 우리나라의 영안모자가 인수한 대우버스가 이땅에서 대우의 브랜드를 어느정도 이어가기는 할테지만 그들의 뿌리가 되었던 옛 대우그룹의 대우자동차는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사명도 GM대우 오토 앤 테크놀리지에서 GM코리아컴퍼니로 바뀌면서 토종 브랜드인 대우를 GM의 하청업체로 만드는듯한 느낌이 어느정도 들지만 말이다.. 대우라는 브랜드를 대우의 인지도가 높은 러시아 주변 독립국가연합이나 동유럽쪽에서 계속 브랜드파워를 키워나갔더라면 오펠과 홀덴 그리고 시보레와같은 GM의 대표브랜드로 자리잡을수도 있었는데... 매우 아쉽게 여겨지는 바이다.
  1. 참고로 시보레 엠블럼을 달고 중남미쪽에 다마스와 라보가 가 있기는 하단다. 그래도 안전을 위해서라도 다마스와 라보는 완전한 풀체인지모델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본문으로]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