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보기'에 해당되는 글 4666건

반응형


지난 토요일 입니다. 


새 직장에 출근한지도 어언 보름정도 지났습니다만, 사장님께서 이번주 토요일은 저 혼자 안면도까지 제품 홍보 포스터를 뿌리고 보이는 철물점에 소개를 하고 오라 하시더군요. 아마 매주 토요일마다 여행겸 외근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행도 일도 같이 하고 개꿀이겠네 싶겠지만은 하루 겪어본 바 생각보다 쉬운 일이 아니더랍니다. 안면도 저 끝까지 들어갔다 나오는게 생각보다 거리도 멀고, 중간중간 가다가 시골길도 들어가보고 마을회관이나 동네 철물점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 나서는 일도 생각외로 시간을 많이 잡아먹습니다.

 


좁은 골목에 들어가거나 별 성과 없이 돌아서 온 길을 빼고 경유지를 잡아봤습니다.


지도상의 거리로도 200km 이상 찍히더군요. 출발 당시 주행거리를 0에 맞추고 제대로 측정하지 않아 정확한 거리 측정은 불가능하지만, 못해도 230km 이상 타고 왔습니다. 토요일인지라 관광객들도 많아서 종종 정체가 생기는 구간도 발생하고 말이죠.


사장님께서 주문하신 루트는 서산시 인지면과 부석면을 거쳐 AB방조제를 타고 안면도와 태안군 남면을 거쳐서 오라는 내용입니다만, 집에서 가는 길목부터 쉬엄쉬엄 둘러보고 갑니다.



사실상 방치중인 구형 지역번호판 스쿠프 발견.


서울4호 어쩌고 하는 스쿠프입니다. 어느 집 마당에 세워져 있다는 사실은 주인이 있다는 이야기일텐데 사실상 방치차량으로 보이더군요. 주변으로 밭에서 나온 돌도 쌓아두고 말입니다. 리스토어의 욕구가 충만해지는 차량입니다.



오며가며 사람들이 많이 볼 수 있는 자리에 이번에 나온 호스 포스터를 걸어놓고 갑니다.


일반 가정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는 경우 물호스 한번 사봐야 오래 쓰고 합니다만, 밭에 깔아두고 쓰는 농업용이라던지 공사현장에서는 고정적인 수요가 있다고 합니다. 의외로 종류도 많구요. 여튼간에 썩 내구성이 약한 물호스를 싼맛에 쓰고 버리니 그렇습니다만, 탱글이호스는 꼬이지도 물이끼가 끼지도 않으며, 특수한 소재로 제조하여 겨울에도 말랑말랑 합니다. 


시중의 기존 호스보다 가격은 조금 비쌉니다만, 비싼 값을 하는 호스입니다.



졸지에 탱글이호스 영업맨이 되어 도로를 누빕니다.


한 보름 사장님 영업차 타고다니면서 어느정도 흐름은 익혔습니다. 여기저기 철물점에 들어가 보았습니다만, 당장이라도 물건을 떼려 하는 사장님들도 계셨고, 호응도 좋긴 했습니다만 문전박대도 당해봤습니다. 그래도 시간 나면 한번 보시라고 간단한 설명과 함께 샘플이랑 포스터 하는 놓고 왔습니다만, 남의 마음을 산다는 일이 참 쉬운 건 아니죠. 



AB지구 혹은 천수만 방조제라 합니다만, 부석에서 내려왔으니 B지구 방조제만 건너갑니다.


태안땅입니다. 포스터와 호스 샘플만이 저와 함께합니다. 아침 일찍 출발했음에도 가는 길목마다 여기저기 들리고 했으니 12시가 한참 지난 시간에 태안땅에 입성하는군요.



결국 세시가 다 되어가는 시간에 안면도 최남단 영목항에 도착했습니다.


사진만 하나 찍어놓고, 다시 쉬엄쉬엄 길목따라 올라갑니다. 남면 찍고 태안 시내 거쳐서 집에 돌아오니 다섯시가 넘은 시간이더군요. 토요일 하루 금방 가네요. 그렇게 평화로운 토요일이 흘러갔습니다.


P.S 고남면 들어가는 시점부터 교통량이 상당히 줄긴 하던데.. 2018년에 대천으로 이어지는 해저터널겸 도로가 개통된다면 아무래도 안면도 남부지방까지도 교통량이 상당 할 듯.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기어를 넣고 클러치를 밟은 뒤 신호대기를 하던 중 시동이 꺼지는 일이 간혈적으로 있었습니다. 


바로 시동도 다시 걸리고 그렇다고 엔진 부조가 있는것도 아니구요. 정말 어쩌다 한번 나타나니 별반 대수롭지 않게 넘겼는데, 얼마전에도 한번 더 그런 증상이 나타나서 상당히 궁굼했답니다.


게다가 차를 사와서 단 한번도 교환하지 않았던 겉벨트도 언제 펑하고 끊어져 버릴지 모르는 일이니 교환할 겸 카센터를 가려 했습니다만 새 직장에서 하루하루를 매우 바쁘게 보내다 보니 평일 낮에는 비가 오지 않는 한 시간을 내기가 힘들답니다. 고로 백수인 친구가 카센터에 직접 끌고 가서 차를 봐주고 왔네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ISC 모터에 카본 슬러지가 많이 끼어 있었다는 점.

그래요 11만 가까이 주행하면서 단 한번도 꺼내보지 않았습니다.


불과 얼마 전 엔진오일을 교환하면서도 스로틀바디 청소를 했던지라 딱히 신경을 쓰고 있지 않았던 부분인데 그게 발목을 잡았네요. 그렇습니다. 전에도 한번 겪었으면서.. 학습효과 없이 또 당했습니다.



폐차장에서 비스토를 목격한지 딱 1주년이 되는 오늘. 비스토가 줬던 교훈을 잊고 지냈던 점이 참 송구스럽게 생각됩니다.



스캐너를 물려봅니다. 당연히 아무것도 안뜨겠죠. 

사장님은 아무런 말 없이 isc 모터를 분해하셨다고 합니다.


정답은 우리 모두가 아는 매우 간단한 그곳에 있었습니다. 여튼 점화플러그도 아직 한참 남았고, 벨트도 12만까지 타도 괜찮답니다. 이 작업을 목격했던 친구의 이야기를 들어보자면 그동안 단 한번도 풀었던 흔적도 없이 처음 볼트를 푸는 분위기였다 합니다.


암요 그럼요.. 11만 가까이 타면서 여태 스로틀바디에만 클리너를 뿌려줬으니 말입니다.



카본 슬러지로 심각하게 오염된 상태.


그렇습니다. 오픈흡기 작업을 해 둔 차량인지라 카본 슬러지가 어마어마하게 생성되는데 그동안 열심히 밟고다니면서 단 한번도 뜯어주지 않았으니 이러한 결과가 나오는게 당연하겠죠.


마치 현대기아 GDI 차량 흡기밸브에 쌓인 카본을 보는 느낌입니다.



클리너로 스윽 불어내면 이리 깨끗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마치 지금 신품을 구매해서 부품상자에서 꺼냈다고 구라를 까도 무방합니다. 그냥 그대로 장착을 해주면 작업 끝. 여러분도 직접 할 수 있는 겁나 쉬운 작업입니다. 이걸 생각 못하고 괜히 멀리까지 가서 원인을 찾았다는게 정말 한심합니다.



ISC 모터의 청소를 마치고 ECU 리셋을 진행합니다.


고가의 장비 스캐너를 통해 쌈박하게 ECU를 초기 출고상태로 돌려줍니다. 배터리 단자를 빼지 않아 시간이나 이퀄라이저 셋팅을 새로 맞출 필요도 당연히 없구요. 저건 참 좋은 물건입니다.



주행거리 109134km


11만을 앞두고 있습니다. 출퇴근거리가 상당히 짧아짐에 따라 올 연말까지 13만km 이상 주행 할 수 있을진 모르겠네요. 뭐 차 안타고 세워두면 좋은거죠. 연료비도 아끼고 환경오염 역시 덜 수 있구요.


앞으로는 잊지 말고 주기적으로 잘 닦아주면서 타야겠습니다^^ 부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