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보기'에 해당되는 글 4669건

반응형


한 때 한양고속의 본사가 있었던 신례원에 잠깐 갔습니다. 

지금은 회사가 서산으로 옮겨갔고 기존 정류장이자 사옥으로 활용되던 그 건물은 철거되었습니다.


나름 장항선 역도 있고 천안 출발 노선 차량들이 예산을 거쳐 남쪽으로 내려가느냐 합덕과 당진을 거쳐 태안까지 들어가느냐에 따라 분기하는 구간이고 예산발 천안경유 노선 버스들도 모두 정차하니 신례원은 사실상 교통의 요지입니다. 그동안 신례원에 갔던 일화는 이미 많이 있으니.. 함 골라서 보시지요.


철거된 구 신례원 버스정류소,추억의 03년식 그랜버드, 봉고기관차, 유선형 새마을동차 모두 볼 수 있습니다.


여튼간에 신호가 걸려 정차를 했고, 의도치 않게 나름 의미 있는 버스를 보게 됩니다.



사실상 뭐 삼거리 신호에서 정차를 하고, 바로 앞에 버스가 서 있으니 보이는건 버스 뒷모습이죠.


별 생각 없이 정차를 했습니다만, 유로4 스티커가 붙어있는 로얄시티가 벌써 저렇게 녹이 올라오는건가 싶어 봤는데 흥미로운 무언가를 발견해냈습니다. 스티커를 붙였다가 떼어 낸 흔적이 있네요.



자세히 보면 희미하게 '일 광'이라 써 있습니다.


생각해보니 회사 이름을 저런 형태로 쓰는 지역은 부산이고.. 빨간색이면 부산 좌석버스 도색인데..



비염치료는 코스텍(정관)한의원입니다.


광고를 보고 잽싸게 코스텍 한의원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를 봤습니다. 인천에 지점이 있긴 했었지만 부산지역에 기반을 둔 한의원이더군요. 정관점은 부산 기장에 소재하고 있더랍니다.


즉, 일광교통 역시 부산 기장에 본사를 둔 회사고.. 광고의 한의원 역시 부산 기장에 소재한 곳.


그럼 결론이 났네요. 부산에서 사온 중고버스입니다.



알아보니 지금은 일반버스 노선으로 전환된 307번 노선을 다니던 디젤버스라 합니다.


해운대에서 김해국제공항까지 다니던 노선이였는데.. 일반버스 노선으로 형간변경이 된 이후에 결국 필요 없어진 307번 공항좌석버스는 다른 노선으로  매각되어 저멀리 충남 예산의 예산교통까지 팔려 오게 된 상황이더군요. 정말 기구한 버스의 운명입니다.


학교 다닐 적 기억으론 당진여객도 01년식 BM090 로얄미디를 07년에 인천에서 구입해서 도색까지 마친 뒤 노선 투입을 했었고, 그래도 별 탈 없이 차령을 다 채운 뒤 대차되었습니다. 다만 예산교통 소속의 로얄시티F/L 좌석버스들은 본래 부산도색 그대로 운행중인 상황이네요.



출신지는 저 아래 부산이고 도색도 부산 좌석버스 도색입니다만 전혀 위화감 없이 돌아다닙니다.


뭐 분명히 알고 타는 사람도 있겠지요. 저런 도색이 된 차량을 출고한 적이 없는 예산교통인데 말입니다. 실내에 아직도 부산의 흔적이 남아 있을진 모르겠네요.



다시는 버림받는 일 없이 예산에서 퇴역하길 바래봅니다.


특수한 사정에 의해 해운대 도심을 누비며 공항까지 다니던 공항버스가 저 멀리 타지로 팔려와 잘 가봐야 아산급 중소도시고 한적한 시골로 들어가는 농어촌버스가 되어버렸지만, 그래도 예산에서 버림받아 다른 동네로 가는 일 없이 퇴역하기를 바래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올해도 어김없이 벌초를 하고 왔습니다.


보통 명절 당일 성묘를 위해 2~3주 전에 지난 여름 동안 쑥 자라버린 풀들을 정리하고 오는 일을 벌초라 하지요. 이번엔 둘만 다녀왔습니다. 해가 지나면 지날수록 잡초들로 인해 점점 더 관리하기 힘들어지는 상황이 오는듯합니다.


뭐 여튼 작년도 벌초 사진이 남아있군요. 한번 비교 해 보시는 것도 나쁘진 않아보입니다.



약 보름의 시간이 흐르고 찾아온지라 시간이 더 흘렀긴 합니다만, 올해는 정말 수준 이상으로 풀이 자랐습니다. 정말 이걸 어떻게 헤치고 들어왔는지 이해가 가지 않을 수준으로 말이죠.


작년 글에 사정설명은 대강 적어두었으니 올해는 좀 간단하게 적어볼까 합니다.



등산이야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만, 사람 키 그 이상으로 자라버린 풀들로 무성합니다.


하다하다 산짐승들도 지나다니지 않는건지 모르겠습니다. 고라니처럼 비교적 몸집이 큼직한 동물이 지나다닌다면 분명히 지나다니던 흔적은 보일텐데 말이죠.



봉분처럼 보입니다만 봉분이 아니고 봉분 밑으로 보이는 언덕입니다.


처음 묘를 쓸 적 사진을 봐서는 그 당시엔 산에 심어진 소나무 말곤 아무것도 없었는데 말입니다... 바로 앞에 과수원을 한다며 매실나무를 식재해놓고 10년 넘도록 방치를 하고 있으니 이 위로도 잡풀들이 계속 올라오는 상황입니다.



봉분 위에도 풀이 무성하게 자라있습니다. 항아버지 죄송합니다.


일단 손으로 큰 잡초들을 뽑아내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곧 예초기를 이용해 베어내기 시작했죠. 그래도 올해는 추석이 좀 늦어서 그런건지 벌집과 위협스러운 말벌들, 그리고 모기가 없어서 순탄하게 작업을 진행했었습니다. 날씨가 그렇게 더운편도 아니고 모기도 없으니 수월하게 진행했네요.


예초기와 갈퀴질만으로도 두어번정도 잠깐 쉬고 두시간만에 마무리를 했습니다.



계양-미쯔비시 T200


약 20년 된 예초기입니다만, 한 해에 한번 쓰는게 사실상 전부이니 사실상 새거나 다름없지요. 그동안 큰 고장 없이 사용중인 물건입니다. 지금은 미쯔비시는 미쯔비시 브랜드 대로 도매업자들이 대량 수입해서 판매중이긴 합니다만, 한때 계양전기에서 공식적으로 수입 후 판매를 했던 시절이 있었지요.


계양전기는 요 모델로 미쯔비시의 소형엔진 제작기술을 전수받아서 현재도 독자적인 소형엔진과 예초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크게 20년 전 물건이나 지금 물건이나 예초기의 디자인이나 성능면에선 달라진게 없습니다만, 요즘엔 가스를 연료로 하는 예초기도 판매를 한다고 하는군요. 



내려가는 길목에 주변에 사는 누군가가 칡즙을 이렇게 버려두었습니다.


박스도 한두박스가 아니고 양도 엄청 많습니다. 다 뜯어서 버리고 분리수거를 해야지 저렇게 버리면 썩지도 않을텐데 말이죠. 뭐 딱히 버릴 집이라곤 초입에 있는 집 말곤 없어보입니다만, 버려진지 어느정도 시간이 흐르지 않았나 싶습니다.



역시나 요 앞 농가주택은 더 무섭게 변해버렸습니다.


폐가탐방 오실 분은 한번 와 보시죠. 도저히 저 근처로 갈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주인이 있는 집인데도 말이죠. 수년 전에 한번 가까이 가서 봤던 기억으론 장독도 그대로 있고 신발장에 슬리퍼도 있었습니다. 그 뒤론 근처도 가지 않아 모르겠군요.


뭐 자세한 내용은 작년도 벌초 이야기에서 보셨을테고.. 일단 들어가는 길목과 봉분은 신경써서 정말 깔끔하게 만들어 두었습니다. 내년엔 정말 와서 농약이라도 뿌려야 하지 않나 싶네요. 넝쿨식물들이 너무 많고 잡초 역시 해를 거듭할수록 점점 더 심각한 상황을 보여줍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