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포신도시 예산군 지역에 중흥건설이 그동안 짓는다고 얘기만 했던 아파트를 건축한다는 사실은 이전에 알게되었고 시위를 했다는 한다는 뒤늦게 아파트 카페와 밴드를 보고 알았습니다만, 주중에 아파트 정문과 후문 앞에 시위를 한다는 현수막이 걸려있어 입주민의 한 사람으로 시위에 참석하고 왔습니다.

 

조기 분양 및 하자보수 촉구 집회 참여바랍니다.

그렇습니다. 10월 6일부터 11월 말까지 집회신고를 내고 집회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평일에는 다들 생업이 바쁘니 노인회 어르신들이 자리를 지키고 계신다고 하고, 토요일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약 한시간동안 입주민이 모여 집회를 한다고 하네요. 저도 진작 알았으면 지난주부터 참석을 했을텐데 요 며칠 좀 바쁘고 카페나 밴드를 뒤늦게 확인하고 알게되었습니다.

 

토요일 아침이 찾아왔습니다. 10시 조금 넘은 시간에 중흥S클래스 모델하우스 앞으로 나가봅니다.

 

모델하우스 앞 이미 의자와 시위 팻말이 놓여진 상태.

모델하우스 앞으로 의자가 놓여있고 팻말이 놓여있습니다.

아파트 입주민 간부급 되는 분들이 나오셔서 준비를 다 해두셨더군요.

 

그렇게 자리에 앉아 조금 기다리니 하나 둘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합니다. 5년 임대 후 분양전환이라는 얘기를 듣고 들어왔던 입주민이 태반이고, 하자보수를 요구했지만 수년째 미온적인 태도로 반응하던 중흥건설이 기존 입주민들은 놔두고 또 새로운 아파트를 지어 분양한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큰 분노를 일으킵니다. 1군 건설사인 대우건설까지 인수한다고 나오며 회사는 사세를 확장하고 있지만, 그 회사에서 분양한다는 아파트를 믿고 입주한 입주민들은 회사는 뒤통수만 얻어맞고 있습니다.

 

내포신도시 중흥 S-클래스 모델하우스

내포신도시 중흥 S-클래스 더시티 모델하우스입니다.

 

예전에 전소되었던 자리에 한참을 공터로 놔뒀다가 새 모델하우스를 지었습니다. 그것도 벌써 5년이 넘은 일이네요. 이전에 분양을 알리는 휴지곽에서 봤었죠. 2차는 임대가 아닌 일반분양이라 합니다. 모델하우스를 구경하러 오는 사람들의 눈에 띄는 자리에 천막을 치고 현수막을 걸어두고 음향장비를 설치하여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있습니다.

 

2016.07.06 - [티스도리의 지역이야기] - 내포신도시 중흥S클래스 모델하우스 화재사건

 

내포신도시 중흥S클래스 모델하우스 화재사건

2일차 동미참 훈련을 마치고 어느날과 다르지 않게 집으로 향하고 있었습니다. 다만, 덕산 초입서부터 보이던 검은 연기에 큰 불이 났다는 사실을 직감했구요. 그게 설마 우리 아파트 모델하우

www.tisdory.com

 

다양한 팻말들

팻말에 적힌 문구는 다양합니다.

 

아파트 하자 제발 좀 고쳐주라. 하자보수 말했더니 알아서 고쳐라. 모델하우스서 했던말 누가지키나. 믿지마라 중흥건설 속과 겉이 다르다. 오년 후 분양가능 오년되니 나는 몰라. 분양전과 분양후가 다른 중흥건설 속지마라. 기타등등... 시세차익을 노리고 분양을 받으려는 투기꾼들이 아니고 실거주를 목적으로 견본주택을 보러 온 사람들이라면 설득력있게 들릴만한 내용들입니다.

 

도의원 이하 내빈분도 오셔서 같이 투쟁해주시고, 한시간 조금 넘는 시간동안 모델하우스에 드나드는 사람들이 보고 듣도록 외쳤습니다. 이후 우리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는다면 중흥 본사가 있는 광주로 원정시위를 갈 계획이라고 하네요.

 

시간이 지나니 많은 사람들이 모인다.

시간이 지나니 백여명 가까운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전체 입주세대에 비하면 미약한 수준이지만, 다들 토요일에 일을 하시거나 볼 일이 있으실겁니다. 그래도 이 좋은 주말에 집에서 쉬지 않고 나와서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습니다. 일요일에도 같은 자리에서 같은 방식으로 집회를 한다고 합니다. 일요일에도 참석하여 미약한 힘이라도 보태보기로 합시다.

 

 

내포신도시 중흥아파트 주택전시관에서 주민들이 목소리 높인 이유

조기분양전환·하자보수 이행 촉구 집회 및 시위 이어가 ▲ 올해로 입주한지 6년째가 되고 있지만 중흥건설에서 분양전환을 하지 않고 하자보수조차 제대로 하지 않아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

news.naver.com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 고속도로를 지나가다가 견인차와 로우베드 트레일러에 적재된 화물로 지나가는 버스 두대를 목격했습니다. 하나는 경기도 시내버스 도색. 하나는 연두색의 서울 지선버스 도색이 된 차량이였고 아마 전주공장에서 버스가 운행하게 될 지역으로 가는 모습으로 보였습니다.

 

HYUNDAI UNICITY

경기도 시내버스 신도색이 적용된 유니시티가 견인되어 가고 있습니다.

 

스포일러는 달려있지 않네요. 최근 의무화된 비상문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다른나라 버스에서는 쉽게 볼 수 있는 비상문이 국내에서는 최근에서야 의무화가 되었습니다. 중문이 있는 차량은 해당사항이 없고 중문이 없는 16인승 이상 차량에만 출입구와 비상구가 각 1개 이상 있어야 한다고 하네요.

 

비상구가 달린 유니시티는 사실 처음 봤습니다. 물론 비상구가 존재한다고 해도 수명을 다 하는 그날까지 쓸 일이 없기를 바래야죠.

 

HYUNDAI NEW SUPER AEROCITY F/L

그 뒤로 로우배드 트레일러에 뉴슈퍼에어로시티 초저상버스가 적재되어 있었습니다.

 

목적지가 어디일까요. 서울 지선버스 도색이 된 상태로 이동중이였습니다. 두 차량이 같은 목적지를 향해 달려가는지 가는 길이 같아 같이 가다가 헤어지게 될지는 모르겠네요.

 

근래들어 전기버스 보조금을 받고 중국산 전기버스를 도입하는 회사들이 많아 그래도 서울이나 수도권에서는 버스의 모양이 다양해지긴 했습니다만, 당장 60년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중견기업도 공장폐쇄니 뭐니 진통을 겪었고, 현대자동차 전주공장도 직원들을 전환배치하거나 울산에서 스타리아 생산물량을 옮겨오는 문제로 노노갈등까지 있었던 모습을 보면 중국몽도 좋지만 당장 국내 업체들의 안정적인 생존부터 생각을 해야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