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시화공단에서 목격했던 아시아자동차의 AM트럭입니다. 일반적인 차량과 다르게 더블캡 모델이었는데, 원부를 살펴보니 원부상 명칭은 '대형물탱크소방펌프차'입니다. 즉 관용 목적의 소방차로 사용하다 불용처리되어 민간에 매각된 뒤 버큠로리로 개조되어 지금은 버큠로리로 제2의 차생을 살고 있는 차량이라는 이야기겠지요.

 

시화공단 어딘가에서 잠시 마주쳤던 게 전부였지만, 8~90년대 판매되었던 대형상용차 중 현재까지 생존한 차량을 가장 찾아보기 어려운 게 히노 기반의 아시아(기아) 차인지라 보게 된다면 항상 사진으로 남겨둡니다. 옛 아시아자동차. 지금은 기아차의 공장이 소재한 광주나 전남지역에서는 그나마 타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가 살아있다고 하지만, 그래도 보기 어렵습니다. 그렇게 보고 싶어도 보기 어려운 아시아차를 그것도 관용차 출신의 흔치 않은 더블캡 모델과 짧지만 영광스러운 만남을 가질 수 있었네요.  

 

 

1993 아시아자동차 AM420 렉카(견인차)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신호대기중 반대편에 정차한 모습을 목격했으나 신호가 바로 바뀌어 지나칠 수 밖에 없었던 1993년 7월에 등록된 옛 아시아자동차의 8톤 렉카(구난차)입니다. 어디선가

www.tisdory.com

 

아시아자동차 AM420CS 견인차, 기아 점보타이탄 피견인차.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한 운전학원에서 사용중인 견인차와 피견인차가 그 주인공입니다. 아시아자동차의 AM420CS 8톤 렉카트럭과 피견인차로 이용중인 기아자동차의 점보타이탄. 물론 시골에

www.tisdory.com

 

아시아자동차 AM트럭 (AM639)

똥차가 귀한 올드카 대접을 받기까지.... 사람이 사양 좋은 새 제품을 좋아하는건 만국 공통이고 본능이라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난히도 남들에게 보여지는 모습을 중시하다보니 오히려

www.tisdory.com

 

이전에도 보이는 족족 사진으로 남겨뒀던지라 그럭저럭 많은 자료가 남아있네요. 92~95년까지 생산되었던 최후기형 모델 두대와 84~91년형 견인차의 사진이 남아있습니다. 2014년 목격했던 카캐리어는 현재 대차 된 듯합니다.

 

긴급 하수도 준설

 

눈에 띄는 주황색 도색의 차량에 '긴급 하수도 준설'이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방향지시등은 구할 수 없었는지 타타대우 노부스의 것을 사용하네요.

 

타원형 아시아 로고의 모습으로 보아 94년 이후 차량으로 짐작했는데 역시나 원부상 94년 12월 29일에 등록된 차량이네요. 소방차의 내구연한은 10년. 20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내구연한보다 좀 더 사용하다 대차 하는 추세였고 2011년에 큰 사고가 있었던 이후로 칼같이 내구연한을 지키는지라 대략 2000년대 중후반에 불용처분되어 민간에 매각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민간에 매각된 이후 물을 저장하고 뿜어대는 소방펌프카에서 반대로 오물을 흡입하여 저장하는 버큠로리로 개조를 거쳐 지금껏 운행되고 있으며, 방향지시등은 구할 수 없었는지 노부스용이 조금 부자연스럽게 장착되어 있네요.

 

부분변경 이후의 사각형 2등식 헤드램프가 적용된 차량은 원본 모델인 히노 슈퍼돌핀과 분위기가 달라졌고 당시 판매 중이던 다른 차량과 비슷한 인상을 주는지라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차량 중 하나입니다. 다만 판매기간이 생각보다 짧았던지라 도로 위에서 보기도 어렵고 억지로 찾아보려 해도 쉽게 찾아지지 않아 아쉬울 따름입니다.

 

더블캡

 

소방차나 관용차등 특수한 목적에 한정되어 판매되었던 더블캡 모델이 맞습니다.

 

출동하는 소방관들이 탑승하던 더블캡 트럭에서 지금은 하수구의 오물을 흡입하는 준설차로 제 2의 차생을 살고 있지만 일반캡 대비 넓은 공간으로 차량 내부 공간 활용은 훨씬 유리하리라 생각됩니다. 원부상으로는 대형으로 취급되고 물론 차급도 대형이지만, 현재 4X2 형태의 소방펌프카는 중형트럭(현대 파비스, 타타대우 구쎈)으로 제작되고 대형은 11.5t 6X2 모델로 제작되는게 추세인듯 합니다.

 

소방수를 뿜는 차량에서 오물을 빨아들이는 차량으로 30년 가까운 세월을 보내왔고, 주행거리가 그리 많지 않을거기에 규제가 심해지는 앞으로도 생존에 그렇게 큰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부디 앞으로도 오랜 세월 살아남아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드는 일에 일조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다음에 꼭 다시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사무실에서 임차하여 사용하고 있는 화물차 주차장을 근래 들어 방통차들이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점거하는 일이 잦고, 빼달라고 하면 10명 중 8명은 곱게 빼지 않아 툭하면 싸우게 되는지라 여러 방법을 강구하던 중 현수막을 제작하기로 마음먹고 즉시 실천에 옮겼습니다.

 

공장 내부는 포화상태고 대기줄을 설 자리가 없는 건 충분히 이해하지만 대낮부터 우리 주차장도 부족한데 출입구니 우리 주차장 자리니 죄다 먹어놓고 우리 화장실 다 써가면서 빼달라고 하면 순순히 빼는 사람들보다 오히려 남의 주차장을 점거하면서 적반하장의 태도를 보이는 인간들이 너무 많았고, 며칠 전부터 이 사람 저 사람이 싸우고 또 싸우다가 이날도 퇴근 직전에 빼라고 하는데 안 빼서 욕하니까 내려서 지랄하던 인간말종 쓰레기 때문에 홧김에 퇴근길에 광고사로 달려가 현수막을 만들었습니다.

 

특별한 디자인도 필요없습니다. 그냥 글자만 넣어서 뽑으면 되니 퇴근길에 바로 광고사로 달려갔습니다.

 

세 번 순화한 문구

 

방통차 출입금지 → 방통차 주차금지 → 외부차량 주차금지로 세 번 순화했습니다.

 

바로 옆에 방통차들이 고철을 내리고 남은 잔챙이들을 받아다 정리하여 다시 고철을 분류하는 분류장이 있는데, 그 분류장에서 잔챙이 고철을 내리고 나와서 우리 주차장에 쓰레기나 쇳조각을 버리고 가 툭하면 펑크가 나서 아예 방통차 출입금지로 출력하려 했다가 여러 의견에 순화하고 또 순화하니 수위가 많이 낮아졌네요.

 

바로 출력

 

현수막도 실사프린터로 같이 출력하네요. 간판 스티커를 출력한 뒤 바로 출력됩니다.

 

현수막 뽑아보는건 참 오랜만이네요. 노란 배경에 빨간 포인트를 줘서 두장 출력했고, 어두워진 저녁에 임시로 잘 보이는 자리에 걸고 가기로 합니다.

 

임시 게시

 

보기 싫어도 보일겁니다.

 

방통차들이 무단으로 점거하여 정작 주차장을 이용하는 우리 차들은 주차구역이 아닌 곳에 밀어넣거나 1열과 2열 통로 사이에 주차했습니다. 사진상 옆에 보이는 차량만 봐도 그렇고요. 이젠 하다하다 주차문제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