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평택 송탄출장소 근처에서 의류 창고로 활용되고 있던 92년 11월 등록 하이베스타 밴입니다. 늦은 밤 지인과 약속이 있어 족발을 먹으러 갔다가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로드뷰를 보니 같은 자리에 2010년 이전부터 세워져 있었더군요. 그간 몇 번 올 일이 있었는데 왜 보지 못했는지 알 순 없지만 이 베스타는 의류를 판매하는 노점상의 창고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었습니다.

 

 

1993 기아자동차 하이베스타 (1993 KIA Hi BESTA)

서산의 한 골목길. 예사롭지 않은 차량이 있어 가던 길을 잠시 멈추고 자세히 보니 기아의 승합차 베스타가 있네요. 올드카 목격담에서 비교적 꾸준히 다뤄지는 차량입니다만 이 차량은 전반적

www.tisdory.com

 

1991 기아자동차 뉴 베스타 (KIA NEW BESTA)

지난주 강남구 역삼동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문경 점촌까지 탁송을 갔던 차량입니다. 소문난 올드카 애호가로 이름나신 형님께서 베스타를 사셨다고 제 편으로 탁송을 부탁하셨기에 수

www.tisdory.com

 

방치된 기아자동차 초기형 베스타

똥차, 방치차, 폐교, 쓰레기더미 탐방 전문 블로거. 정확한 위치는 어디라 얘기 할 수 없는 곳에 버려진 베스타를 보았습니다. 외부인의 손길이 잘 닿지 않는 공간이고 도저히 차를 버릴 수 없는

www.tisdory.com

 

그간 올드카 목격담에서 종종 다뤘던 베스타입니다. 봉고 코치가 2세대 마쯔다 봉고를 라이센스 생산했었고, 봉고 코치의 후속으로 등장했던 베스타는 3세대의 라이센스 생산 모델로 1986년 출시되어 후속이자 기아의 독자개발 모델인 프레지오의 출시 이후 1999년까지 병행생산되었던 차량입니다.

 

봉고가 승합차의 대명사로 불리는 등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둔지라 흥행에 힘입어 야심차게 출시했던 베스타는 부분변경을 거치며 90년 뉴베스타, 92년 하이베스타로 미묘한 변화를 거듭하게 됩니다. 이 차량은 92년 11월에 등록된 하이베스타네요.

 

1992 KIA BESTA VAN

 

구 송탄시의 중심지. 지금의 평택시 송탄출장소 아래 번화가 한켠에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경기 94 '가'네요. 이천시에서 발급되었던 번호판이고, 1천번대 번호판인 걸로 보아 아마 96년 초반에 발급되었던 번호판으로 보입니다. 번호판은 다 부착되어 있고 외관상 굴러다녀도 큰 문제는 없어 보이는 상태입니다만, 사실상 창고로 사용되는 부동차입니다. 운행할 일이 없으니 앞유리에도 짙은 필름을 붙여놓은 흔적이 보이네요.

 

이런저런 물건들로 가득차있다.

 

6인승 밴으로 보이네요.

차량 내부는 이런저런 물건들로 가득차 있습니다.

 

아마 장사에 필요한 좌판을 비롯한 물건들이나 판매하는 의류가 들어있을 겁니다. 휠커버도 잘 붙어있네요. 휠커버는 흔히 공장기아라 얘기하는 옛 기아 로고가. 전면 그릴과 후면 트렁크에 붙은 로고는 94년형 이후의 타원형 로고가 붙어있네요. 그래서 처음엔 94년형 차량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만, 최초등록이 92년 11월이더군요. 중간에 의도적인 신형개조 혹은 사고로 인한 신형개조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도장면이 떨어진 흔적

 

퍼티를 바르고 수리했었는지 도장면에 부식이 올라오며 칠이 벗겨지고 있습니다.

 

로드뷰를 확인하니 2010년에도 이 베스타가 같은 자리에 주차된 상태로 영업하고 있었습니다. 최소 13년 이상 같은 자리에 세워져 있던 차량인데 언제부터 부동차로 그 자리에 있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가장 오래된 로드뷰 이미지와 지금의 이미지의 차량 상태를 비교해 보면 상당히 오랜 세월이 흘렀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 깨진 후미등

 

후미등과 범퍼의 상태도 썩 온전치 않네요.

 

딱히 파손당할만한 이치는 아닌듯 하지만 오랜 세월 한자리를 지키고 있었음에도 이래저래 파손된 부분들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여러모로 아쉽습니다.

 

전선과 콘센트

 

영업에 필요한 전기를 끌어오는 전선과 콘센트가 보이네요.

그 뒤로 가려진 하이베스타 레터링도 보입니다.

 

배선은 나름대로 깔끔하게 정리한다고 A필러 옆 안테나에 잘 묵어두었습니다. 앞으로도 움직일 일이 없다는 이야기겠죠.

 

베스타와 옷가게

 

작은 노점의 창고 역할로 말년을 보내고 있는 베스타와의 짧은 만남을 뒤로합니다.

 

언제까지 그 자리를 지키고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창고로서의 운명을 다하는 그날까지 큰 탈 없이 그 자리에 남아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움직일 수 있는 차량이라면 더욱 좋겠지만, 다수의 개체가 폐차 혹은 수출길에 올라 사라졌음에도 30년 넘는 세월을 버티고 있는 베스타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핸드폰을 두 개를 쓰고 있긴 합니다. 하나는 아이폰 11 Pro 하나는 LG V50.

 

둘 다 지금 기준 구닥다리 기기여도 큰 문제없이 쓰고 있긴 합니다만, 아이폰으로 전화를 하다 보면 특히 상대방에게 잘 들리지 않는다고 하고 가끔 통화가 먹통이 됩니다. 게다가 블루투스 연결 역시 불안정한 경우가 근래 들어 자주 발생하더군요. 2020년 2월 코로나 팬데믹 직전에 구매했던 기기를 2년 채우고 리퍼받아 지금껏 사용하고 있는데, 큰맘 먹고 C타입을 지원하기 시작하는 새 아이폰으로 교체를 결심했습니다.

 

 

아이폰11 PRO 256GB 구입 (iPhone11 Pro 256GB)

아이폰을 샀습니다.갑자기 웬 아이폰이냐고요? 업무용으로 사용하던 갤럭시J7 2016이 맛이 갔습니다. 서비스센터에 가니 뜯지도 않고 견적을 얘기하며 그냥 바꾸라고 얘기합니다. 그래서 그냥 써

www.tisdory.com

 

아이폰 11 Pro 리퍼. (KT A/S 산본점)

아이폰을 구입하여 사용한지도 벌써 2년이 넘었습니다. 아이폰11 PRO 256GB 구입 (iPhone11 Pro 256GB) 아이폰을 샀습니다. 갑자기 웬 아이폰이냐고요? 업무용으로 사용하던 갤럭시J7 2016이 맛이 갔습니다

www.tisdory.com

 

앞으로도 최소 1~2년은 업데이트를 비롯한 지원이 있을 테고 아직도 고만고만한 인덕션 카메라 디자인으로 팔아먹고 있으니 구형 느낌도 없다 보니 좀 더 쓸까? 싶다가도 배터리 성능도 많이 떨어졌고 5핀 젠더의 불편함과 또 카메라 모듈에 먼지가 들어갔는지 멍이 생겼네요. 거기에 비약적으로 발전한 카메라도 탐납니다. 그렇게 합리화를 한 뒤 15 Pro Max 자급제 모델의 구매를 결정합니다.

 

현재도 그렇고 일주일 전에도 그랬고 일반형 모델이나 그냥 15 Pro의 경우 통신사향이나 자급제나 물량의 여유가 있었지만 Pro Max의 경우 통신사향 기기는 대리점이나 판매점에선 그럭저럭 개통이 가능했어도 자급제 기기의 경우 할인이 없는 애플스토어에 극소량의 재고를 제외하면 재고가 거의 없었습니다. 주문신청조차 막힌 경우도 많았고요. 물론 지금은 일부 색상과 용량에 한해 주문신청이 가능하지만 한참 기다려야 물량이 풀린다고 합니다. 그렇게 아이폰 15의 국내 발매 약 한 달 가까이 지난 시점에 11번가에서 사전예약 막차를 탔습니다.

 

사전예약 막차 탑승

기기값 1,900,000원에 5% 할인된 가격인 1,805,000원.

애플케어플러스 329,000원에 20% 할인된 가격인 263,200원.

합계금액 2,068,200원.

 

우주패스 slim에 가입하면 즉시 사용 가능한 포인트 34,000점을 준다기에 29,000원을 내고 연간이용권 구입하여 실질적으로 지불한 비용은 2,039,200원이 되겠습니다. 16개월까지 무이자할부가 가능하다기에 16개월 할부를 끊었고요. 배송은 11월 15일쯤 가능하다고 하네요.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주문을 취소하지는 않을 테니 아마 다음 달엔 새 아이폰을 받아볼 수 있겠네요.

 

쿠팡보다 11번가의 예상배송일이 훨씬 더 빠르기도 하고 동네가 최근 로켓배송이 가능하다는 소문이 들리긴 하지만 한진택배로 배송되는 지역인지라 쿠팡도 딱히 쓸모 없어 가입조차 하지 않았던지라 11번가에서 구매했습니다. 물론 쿠팡의 조건이 좀 더 좋았더라면 쿠팡에 가입하고 쿠팡에서 주문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여튼 새 아이폰이 오면 후속 포스팅으로 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