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마 지난달로 기억합니다. 상차를 위해 공장에 입차하니 흔히 91a라 부르는 트럭이 보이더군요. 가서 차주분과 이야기를 나누고 차량 사진을 찍어 올 수 있었습니다.

 

흔히 91a라 부르는 현대 대형트럭은 미쓰비시 후소의 더 그레이트를 라이선스 생산했던 차량입니다. 85년 출시 이후 97년까지 12년간 자잘한 변화를 거치며 판매되었고 2020년대 중반인 현재도 종전보다 영업용으로 굴러다니는 차량을 보기는 어려워졌지만 이렇게 영업용으로 운행되는 모습을 간간이 볼 수 있지요. 살아있는 개체들 중 중형트럭이나 믹서 덤프가 절대다수이긴 하지만 오늘 목격했던 차량과 같은 일반 대형 카고트럭도 가끔씩 돌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1989 미쓰비시후소 더 그레이트 구난차 (三菱ふそう・ザ・グレート)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전주에서 목격한 89년 6월 최초등록된 수입 트럭입니다. 흔히 현대차가 미쓰비시와 기술제휴로 도입했던 중형 혹은 대형트럭을 보고 91A라고 부르곤 합니다만, 일본에서

www.tisdory.com

 

 

1995 현대정공 뉴 갤로퍼 밴 / 1992 현대11톤카고트럭 (91A)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5년 12월 등록된 뉴갤로퍼 밴과 92년 2월 등록된 현대 11톤 카고트럭입니다. 둘 다 화물차로 분류되는 차량들이지만, 나름대로 의미가 있어 사진으로 남겨두었고 이렇게

www.tisdory.com

 

3년 전 목격했던 일본에서 수입된 구난차와 지난해 목격했던 11톤 카고트럭의 포스팅이 존재하네요. 지난해 고속도로에서 목격했던 92년식 11톤 카고트럭은 15년식 트라고 엑시언트로 대차 되었습니다. 얼마 전 심심해서 종전에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던 차량들이 현재까지 생존중인지 확인했었는데 상당수의 차량들이 말소되었더군요. 언제 사라져도 이상하지 않은 차량들인지라 이렇게 기록으로 남기려고 하는 겁니다.

 

1996 현대18톤초장축카고트럭

 

그냥 현대 대형트럭 혹은 91a라 부르곤 합니다만 원부상 정식 명칭은 현대18톤초장축카고트럭.

96년 8월에 최초로 등록된 만 28년의 세월을 달리고 또 달렸던 차량입니다.

 

28년의 세월이 무색하게 느껴질 수준으로 깔끔하게 관리가 되었습니다. 영업용 차량임에도 이정도 상태로 도로를 달리고 있다는 사실은 차주분께서 꽤나 신경을 쓰고 타신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흔히 91a라 부르는 차량으로만 놓고 본다면 최후기형입니다. 97년형이 존재하긴 하나 크게 달라진건 없거든요.

 

28년의 흔적 치곤 깔끔하다

 

FRP로 보수했던 흔적이나 사이드미러에서 흘러내려온 녹물도 보이지만 이정도면 준수하지요.

 

이제 15년차 20년차에 접어든 트라고나 노부스 같은 차량들도 이보다 더 나쁜 상태로 다니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 96년부터 지금껏 도로 위를 달리는 차량이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사당히 준수합니다. 본넷의 경우 HYUNDAI 레터링 스티커의 간격이 일정치 않은 것으로 보아 교체 혹은 도색을 하지 않았나 생각되는데 이후에 또 무슨 일이 있었는지 크게 티는 나지 않지만 찌그러져 있는 상태였습니다.

 

DPF 적폐청산 면제

 

노후경유차를 적폐로 규정하여 말살시키고 있습니다만, 살아남았습니다. 

1종 배출가스 저감장치인 DPF가 장착되어 수도권도 마음껏 다닐 수 있습니다.

 

중국발 미세먼지에는 침묵하며 원인을 석탄화력발전소와 노후경유차를 대놓고 적폐 범주에 넣었던 이전 정권에서도, 이전보다 언급은 덜하지만 내내 노후경유차의 조기폐차를 유도하는 지금 시점에서도 아무런 문제 없이 달릴 수 있는 차량입니다. DPF를 장착한지도 꽤 오래되었는지 DPF 스티커도 흔적만 남아있네요.

 

지금까지 생존한 개체들 중 저감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차량은 지방에 등록된 일부를 제외하면 거의 없을 겁니다.

 

직사각형 2등식 헤드램프

 

직사각형 형태의 2등식 헤드램프와 특유의 凸모양 방향지시등입니다.

 

91년 이후로 대형차종의 경우 헤드램프가 원형에서 사각형으로 변경되었고, 최후기형인 97년형에 와서 이 사각형 헤드램프의 크기가 조금 커지긴 했습니다만, 육안상 큰 차이는 없다고 합니다.

 

`96 환경만족

 

96년식 현대차들에 붙어있던 이 스티커. 기억하시는 분들 계시련지 모르겠습니다.

 

그레이스 포터같은 차량부터 이런 대형차까지 96년 환경기준을 충족했다는 의미에서 이 스티커를 붙여 출고되었는데 지금껏 이 스티커가 붙어있다는 이야기는 도색이나 탑갈이 같은 큰 수리가 없었다는 이야기겠죠. 그럼에도 별다른 관통부식 하나 보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8x4 카고

 

흔히 말하는 앞사바리. 1축과 2축이 조향축인 차량입니다.

 

1축이 운전자보다 뒤에 있어 좁은 골목길을 꺾어 들어가기 조금 불리합니다만, 현대는 2006년 트라고부터 대우는 2022년 맥쎈부터 1축이 조금 더 앞으로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런 앞사바리 트럭의 경우 현대자동차에서 국내 최초로 15톤 8x4 차량을 출시했었고, 이후 97년형 차량에 순정 가변축이 장착된 25톤 10x4 모델이 출시되었습니다. 

 

사제 가변축
사제 가변축

 

8x4 18톤 차량으로 출고되었으나, 출고 이후 3축에 가변축을 장착하여 10x4를 만든 차량입니다.

 

순정 25톤 차량이 출시되기 전까지 이렇게 18톤 19톤 차량을 출고하여 밖에 나와 가변축을 장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3축에 가변축을 장착하는 차량들이 다수였습니다만, 이 시절 판매된 오래된 차량들에도 5축에 가변축을 장착한 경우가 보이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요즘 판매되는 수입차처럼 후축이 조향까지 되는 경우도 봤었습니다.

 

현재는 현대나 대우와 같은 국산 브랜드 기준으로 순정으로 가변축이 장착된 10x4 형태의 차량이 중축 후축 할 것 없이 순정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만, 이 시절만 하더라도 짐을 더 싣고 다니기 위해 밖에 나와 따로 가변축을 장착하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고자 25톤 모델이 출시된 것은 이후의 일입니다.

 

적재함만 교체되었다.

 

적재함과 안전바만 엑시언트용으로 바꾸셨더군요.

 

그래서 년식대비 깔끔한 적재함 상태를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다만 적재함과 안전바만 교체했지 테일램프는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차주분께서는 인천에서 충청도를 다니는 흔히 말하는 시내바리 운행을 하고 계신답니다. 주행거리가 길지 않고 차량에도 큰 애정을 쏟고 계시기에 아마 28년의 세월을 무탈히 버틸 수 있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도로 위에서 다시 만날 그날까지 부디 무탈히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8/12~13 후쿠오카,다자이후 여행기 (2) 우미노나카미치 해변공원(海の中道海浜公園), 일본의 명차

2024.09.15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8/12~13 후쿠오카,다자이후 여행기 (1) 인천공항 출국장 역이동, 하카타역 8/12~13 후쿠오카,다자이후 여행기 (1) 인천공항 출국장 역이동, 하카타역사고로 또 정

www.tisdory.com

 

일본의 명차 역사관에 이어 우미노나카미치 해변공원의 구경을 이어갑니다.

 

우미노나카미치 해변공원 가이드맵

 

지난 2부에서 한국어 가이드맵 PDF 파일 링크를 올렸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매표소 옆이나 주요 시설의 안내센터에 일본어 영어 중국어뿐 아니라 한국어 가이드맵도 존재하니 이 가이드맵을 확인하고 이동하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일단 동물원까지 둘러보고 공원을 넓게 한 바퀴 자전거로 돌아보려 합니다.

 

자전거 주행중

 

원더월드를 빠져나갑니다. 넓게 돌아 동물원이 있는 '동물의 숲 에리아'를 향해 갑니다.

 

폭염은 폭염인지라 당연하게도 자전거를 타는 사람은 드문드문 보입니다. 폭염의 기세가 꺾인 지금 시점이라면 모르겠습니다만, 이 더운 여름에 킥보드도 아니고 자전거를 타는 미친 짓을 했습니다.

 

자전거 주행중

 

날씨는 덥지만 평화롭게 자전거 도로를 달리고 있습니다.

 

드문드문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이 보입니다만, 공원 외곽으로 나오니 고요합니다. 그렇게 머리를 비우고 자전거를 타고 달렸습니다. 달리다 보니 이정표가 하나 나오더군요.

 

동물의 숲

 

동물의 숲까지 1500m를 더 가야 한다고 합니다.

 

자전거로 9분 걸린다고 하네요. 그렇게 자전거 도로로 공원 외곽을 달려 동물의 숲에 도착했습니다.

 

동물의 숲(動物の森)

 

우미나카미치 동물의 숲에 도착했습니다.

 

지도 옆 자전거 주차장에 자전거를 세우고 동물원 안으로 들어갑니다. 동물원의 입장료는 없습니다. 이 거대한 공원 입장료와 같이 퉁쳐지는 것이죠. 매우 가성비가 좋은 공원입니다.

 

한산한 동물원 내부

 

더운 8월 어느날 대낮의 동물원은 한산하기만 합니다.

 

그래도 사람이 보이긴 보이더군요. 뭐를 하나 자세히 봤더니...

 

오리와 백조에게 밥주기

 

공원 내 동물원에서 근무하는 사육사가 오리와 백조에게 밥을 주고 있었습니다.

 

오리와 백조가 사육사에게 다가와서 밥을 먹고 있습니다. 이 더운 여름날에도 동물들을 보살피는 사육사들의 노고에 경의를 표합니다.

 

앵무새와 홍학

 

본격적인 동물의 숲 입구 앞에 동물들이 앉아있습니다.

 

홍학도 보이고요 앵무새도 보입니다. 이 더운 날씨에도 동물원을 돌아다니는 몇 없는 사람들이 앵무새와 사진을 찍고 앵무새에게 말을 걸고 있습니다만, 저기 한 앵무새의 행동이 이상하더군요.

 

탈출을 원한다

 

네. 동물들이 왜 가만히 앉아있겠습니까..

 

당연히 묶어놨지요. 나무에 고리를 걸고 거기에 작은 쇠사슬로 앵무새가 날아가지 못하도록 묶어놓았습니다. 어느 동물원을 가나 비슷할 겁니다. 이렇게 보니 이 앵무새가 불쌍해 보이더군요.

 

그렇게 앵무새를 지나 본격적인 동물의 숲으로 들어왔습니다. 

 

캥거루 에리아

 

오 캥거루가 있네요!

 

한국에도 캥거루가 있는 동물원이 많다고 합니다만, 실제로 캥거루를 처음 봅니다. 어느 사육장이나 동물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으로 문이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캥거루들

 

날이 더우니 캥거루들도 늘어져 있습니다.

 

뭐 당연하겠죠. 사람이 지나가도 미동조차 하지 않고요. 얼마나 덥겠습니까. 에어컨도 없는데.. 캥거루 주변으로 보이는 콩처럼 보이는 물체는 똥입니다.

 

캥거루도 의욕이 없다

 

캥거루도 의욕이 없습니다. 점프를 하는 모습은 커녕 일어나지도 않네요.

 

캥거루를 봤다는 사실에 만족하고 지나가기로 합니다.

 

마라

 

이 토끼도 아니고 고라니도 아닌 동물은 마라라고 합니다.

 

주로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동물이라고 하네요. 한국에서도 마라라고 부른답니다.

 

다람쥐원숭이

 

다람쥐원숭이가 밥을 먹고 있었습니다.

 

제가 방문했던 시간대가 늦은 점심시간대였던지라 동물원도 식사시간이었나 봅니다. 원숭이 우리에는 따로 울타리가 없었는데, 울타리 대신 원숭이 사육장은 고립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원숭이 사육장

 

다양한 종류의 원숭이가 사육되고 있었습니다만, 모든 원숭이 사육장은 섬처럼 고립되어 있었습니다.

 

원숭이가 도무지 건널 수 없는 넓이와 깊이의 수로가 있고, 그 수로를 건너지 못하는 원숭이는 자연스럽게 섬 같은 사육장에 고립되겠죠. 죽을 때까지 저 고립된 섬을 벗어나지 못하는 원숭이들입니다.

 

 

양도 있었습니다만, 더운 여름인지라 털이 모두 벗겨져 염소와 큰 차이가 없던 상태였습니다.

 

먹이주기

 

양에게 먹이를 줄 수 있더군요. 100엔에 급양 체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양도 혹시나 이 사람이 자신에게 먹이를 줄까 다가왔다가 먹이를 주지 않으니 도로 우리로 들어가더군요.

 

거북이

 

육지거북류 거북이들도 꽤 있었습니다.

 

다만 거북이도 더운지 굴 안으로 들어가서 나오질 않네요.

 

식사중

 

다른 한켠에서는 거북이들이 식사를 하고 있었습니다.

 

당근과 배추로 보이는데 야금야금 잘 씹어먹더군요. 무료입장 동물원치곤 살고 있는 동물들도 많았고 관리도 잘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더워서 동물이고 사람이고 다 피곤했을 뿐이죠.

 

홍학

 

마지막으로 홍학을 보고 동물원을 빠져나왔습니다.

 

홍학이 생각 이상으로 평균수명이 길더군요. 좋은 환경에서 서식한다면 기본 60년 이상은 산다고 합니다. 아마 여기 보이는 홍학들 중 저보다 나이가 많은 홍학도 분명 있겠죠.

 

그렇게 동물의 숲을 나와 다시 자전거를 타고 공원 한 바퀴를 돌아봅니다.

 

마린월드

 

자전거를 타고 다시 돌고 돌아 마린월드까지 나왔습니다.

 

아이폰 배터리가 바닥이라 차지스팟 보조배터리를 빌리려고 마린월드에 갔으나 어디 있는지 몰라 포기. 그냥 플립으로 사진을 촬영하고 다녔습니다. 마린월드 옆으로 지나가는 자전거도로를 타고 공원 끝까지 한 바퀴 돌아 다시 자전거 대여소로 가는 것이 목표입니다.

 

숲을 지나고..

 

공원 부지 내부에서도 입장권 없이 들어갈 수 있는 구간과 입장권이 필요한 구간이 있습니다.

 

그래서 드문드문 검문소처럼 직원이 지키고 있는 구간이 있는데 그런 구간만 자전거에서 하차하여 걸어서 넘어가면 됩니다. 대여용 자전거를 타고 있으면 입장권을 발급받고 자전거를 빌렸다는 이야기기에 따로 입장권을 확인하지 않고 보내줍니다.

 

바다 뷰

 

숲을 지나 넓은 바닷가가 펼쳐집니다.

 

현해탄 방면이 아니라 하카타만 방면이라 하카타항의 크레인들이 보이는군요.

 

우미나카미라이교(うみなかみらい橋)

 

아래로 공원 부지를 가로지르는 국도 59호선과 카시선 철도가 지나갑니다.

 

공원 내부에서의 단절된 구역은 우미나카미라이교(うみなかみらい橋)로 이어집니다. 이 다리를 건너면 하카타만이 아닌 현해탄이 보입니다.

 

다리 위에서 바라보는 풍경

 

구름 한 점 없이 맑은 하늘. 아니 더워 뒤지는 날씨..

 

혼자 켁켁거리며 언덕을 올라와 다리 위에서 풍경을 구경합니다.

 

해안사구와 현해탄

 

해안사구와 현해탄이 보입니다.

 

중간에 보이는 섬은 대마도. 그리고 대마도 너머 직선거리로 200km 떨어진 곳이 부산 송정이네요. 부산과 가까운 일본의 대도시라고 합니다만, 그래도 생각보다는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해안사구와 현해탄

 

그냥 보기만 해도 힐링이 되는 그런 분위기입니다.

 

바람만 조금 불고 있을 뿐이지 사람도 없고 파도소리와 자동차가 지나가는 소리 말곤 조용하네요. 잠시동안의 경치구경을 마치고 다시 돌아갑니다.

 

오르막과 내리막의 반복

 

작은 소나무가 심어진 자전거 도로를 달리고 또 달립니다.

 

자동판매기도 없고 자전거나 킥보드를 타고 지나가는 사람도 드문드문 보일 뿐 사막 느낌입니다. 목도 마르고 여러모로 미치겠더군요. 그렇게 열심히 자전거 페달을 밟아 출발했던 우미노나카미치역 사이클링 센터에 도착하여 자전거를 반납합니다.

 

자전거 반납

 

자전거 반납 전에 바로 옆 자판기에서 생수를 구입하여 벌컥벌컥 마셨습니다.

 

진짜 죽는 줄 알았습니다. 여름이라면 꼭 킥보드 아니면 전동자전거로 빌리십시오. 객지에서 탈진하여 쓰러질 뻔했습니다. 자전거를 반납하고 다시 기차를 타고 돌아가기 위해 역으로 향합니다.

 

역으로 가는 길

 

사이클링 센터에서 역까지는 도보로 3분 거리.

 

역에서 걸어서 들어왔던 길을 다시 돌아갑니다.

 

열차를 기다리는 인파가 엄청나다.

 

열차를 기다리는 인파가 엄청납니다.

 

역 대합실도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할 간이역 수준이고 열차 시간에 맞춰 돌아가려는 사람들이 몰려 이렇게 되어버리네요. 아 열차도 지연입니다. 이미 종점을 찍고 돌아와야 하는 시간임에도 아직 열차가 종점에 들어오지도 않았습니다.

 

진입하는 열차

 

사이토자키역까지 가서 종점을 찍고 와야 하는 열차입니다.

 

수요가 그리 많지 않은 노선인지라 2량짜리 열차로도 그리 혼잡하지 않게 돌아올 수 있었네요. 카시역에서 하카타행 열차로 갈아타고 하카타역으로 돌아옵니다.

 

하카타역

 

하카타역에서 도보로 5분 거리의 호텔을 잡아놓았으니 일단 체크인 먼저 하고 봅시다.

 

오봉 연휴에 성수기임에도 역에서 가까운 호텔을 잘 잡았네요. 이게 다 지진 걱정에 여행을 포기하셨던 여러분들 덗입니다. 4부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