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천안 쌍용동 시외버스 정류소.


천안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충남 서해안 권역으로 가는 시외버스들이 의무적으로 정차하는 정류소입니다. 천안터미널에 가기 애매한 쌍용동 근처 주민 및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이용객들로 간이 정류소 치고는 꽤 수요가 많은 정류소입니다.



다음지도상에는 '쌍용동시외버스매표소'라는 상호로 등록되어 있더군요.


물론 이곳은 하행방향 차량을 타는 정류소이고, 천안방향 차량은 쌍용지하차도로 직진하지 않고 충무로로 돌아가기에 전화국 앞(KT 쌍용빌딩)에서 승차와 하차를 진행합니다.


여튼 지난달에도 이 자리에서 버스를 탔습니다만, 오늘 가 보니 조금 이상합니다.



작은 상가에서 수입과자 전문점을 함께 운영하던 매표소입니다만, 문이 굳게 잠겨있습니다.


대체 뭔일인고 하니 매표소가 폐업했다고 하는군요. 요즘들어 이런 소규모 정류장이 문을 닫는 경우가 왕왕 보입니다. 잔돈을 챙겨 승차를 하거나, 교통카드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교통카드 찍고 버스타세요~^^


그렇습니다. 교통카드를 찍고 버스를 타라는 짦은 안내문과 유동인구가 많은 자리에 문을 닫은 상가가 생긴 틈을 타 붙여둔 여러 전단지가 붙어있습니다. 저를 비롯하여 어쩌다 한번 이곳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매표소가 없어진 모습을 보고 큰 혼란에 빠지기도 하더랍니다.



7월 1일자로 매표소가 사라졌습니다.


시외버스매표 안내



본 정류소는 2018년 7월 1일부터 매표를 하지 않습니다. 

시외버스를 이용하실 승객께서는 현금(잔돈) 이나 캐시비 및 후불교통카드를 

준비하여 승차해주시기 바랍니다.



-쌍용동 정"유"소-


뭐 말 그대로 그렇답니다. 7월 1일자로 사라진 기름 대신 버스표를 팔았던 쌍용동 정"유"소는 그렇게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매표소만 사라졌지 버스는 그 자리에 그대로 정차하더군요.



대신에 시간표는 천안터미널 시간표를 붙여놓았습니다.

천안터미널에서 쌍용동까지 10분에서 12분정도 소요됩니다. +10분 감안하시고 보면 편하죠.


매표소가 운영되던 시절에는 쉽게 볼 수 있는 노선도까지 붙여놓았는데, 이렇게 보니 복잡하기만 하네요. 천안터미널 기준 시간표이니 이 노선 중 '(고속도)' 표시가 있는 노선의 경우 천안을 거쳐 수도권 혹은 강원권 및 타지역으로 나간다는 이야기입니다. 


고로 이 시간표에 보이는 충남권이 아닌 타지역행 노선의 경우 KT빌딩 앞에서 승차를 해야하는데, 하차자가 없는 경우 그냥 지나치거나 막차의 경우 쌍용동 하차자가 있는지 물어본 뒤 외곽으로 돌아서 바로 터미널로 꽂아버리는 일도 있으니 가급적 천안터미널의 이용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금 현재 판매중인 3세대 모닝(JA) 역시 '올 뉴 모닝'이라는 이름으로 절찬리에 판매되고 있으나, 여기서 말하는 모닝은 2세대(TA)를 의미한다. 굳이 내 차라서 그런게 아니라 스파크 수동은 생각보다 많이 보이고 많이 타 보기도 했는데, 1세대를 제외한 2,3세대 모닝의 수동변속기 차량은 지금껏 딱 두대를 보았고 두대를 몰아보았다. 


스파크 오너가 느끼는 모닝 특유의 빈 깡통같은 주행질감은 고장력 강판의 비율을 높인 3세대로 와서 많이 나아졌다고 하고 그렇게 느끼긴 하지만, 2세대나 3세대나 똑같이 개떡같다 느껴지는 MDPS나 싸구려틱한 내장재. 조금만 달려도 겁을 먹게 만드는 하체 셋팅과 경차에 바라는게 사치인 NVH는 도저히 내 돈을 주고 사고싶은 생각을 조금이라도 느낄 수 없는 자동차다.


2세대 3세대 모닝, 그리고 1세대(M300)와 지금 쉐보레 엠버서더 시승용으로 주구장창 타고 있는 2세대 F/L(M450) 스파크를 두루 타 본 입장에서는 신형 구형 할 것 없이 모닝보다 스파크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


여튼 별 생각 없이 일을 하던 와중에 청주 오창에서 인천의 엠파크 매매단지로 가는 2세대 모닝 수동 차량을 약 150km 타고 갈 일이 생겼다. 오토야 200km가 넘는 장거리도 3세대 신차와 2세대 중고차 할 것 없이 많이 타 보았지만, 수동변속기 2세대 모닝을 끌고 비교적 장거리를 나서는 일은 처음인지라 기록으로 남겨본다.



2011년 5월식. 2세대 출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나온 모닝. 


어느 동네를 찾아가도 꼭 보이는 흔하디 흔한 밀키베이지색 모닝이라 아주머니 장바구니용 모닝처럼 보이겠다만.. 무려 수동변속기 장착차량입니다. 외관상으로는 바디컬러 도어핸들과 안개등. 14인치 스틸휠과 휠커버가 장착된 차량이니 딱히 속을 들여보지 않아도 '스마트 스페셜' 트림임을 쉽게 알 수 있었습니다.



깡통모닝에서만 볼 수 있는 베이지색 내장재 컬러.

그리고 찾아 볼 수 없는 핸들리모콘과 수동 공조기가 눈에띕니다.


대우 경차는 티코시절부터 완벽히 다른 내장재 컬러로 등급 차별을 했던 전례가 없었지만, 2세대 모닝에 와서는 내장재 색상으로도 어느정도의 등급 구분이 가능합니다. 좀 더 높은 사양으로 올라간다면 블랙톤의 대시보드와 내장재 컬러가 적용됩니다.



그저 동그란 수동변속기 래버.


체결감은 스파크가 우수합니다. 기계식에 익숙해진 몸이라 전자식 악셀과 수동변속기의 조합은 뭔가 앙금없는 팥빵같은 느낌이네요. 살짝 늦은 악셀 반응에 변속 충격도 생기고, 처음에는 이질감이 상당히 느껴지기는 했습니다만 그래도 적응하고 나니 타고 다니는데엔 별 문제가 없었습니다.


밟고 다녀도 트립상 연비는 15km 이상에서 맴돌았고 저출력 경차들에겐 항상 쥐약인 언덕도 에어컨을 켜고 충분히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오토대비 연비도 우수하고, 동력손실이 적어 힘도 좋은 수동변속기만이 경차의 경제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변속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고로 특히 힘 없는 경차는 '수동변속기'로 출고합시다. 


P.S 구형 스파크 수동변속기+루프박스 조합이나, 신형 스파크 풀옵션 무단변속기 조합이나 기름값과 주행거리를 비교하고 있자니 별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요즘 절실히 느끼고 있다. 무단변속기래도 수동변속기 앞에선 별 수 없구나..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