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오산시 외곽에서 목격한 구형 대우버스입니다.

 

90년대와 2000년대 초중반까지 도로 위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형태의 차량이지만, 지금은 자취를 감춰버린 그런 존재입니다. 85년 BH120H를 시작으로, 86년 부분변경을 거쳤던 BH115가 이 디자인을 채택하였고 당시 대우버스는 업계에서 독보적인 존재였기에 세기말까지 불티나게 팔려나갔습니다.

 

플랫폼은 일본 이스즈의 것을 유용했지만, 8~90년대 미국 버스로 자주 보이던 GMC RTS와 유사한 디자인을 채택하였습니다. 국내에서 유사한 버스를 흔히 보았기에 미국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RTS 버스가 더욱 익숙하게 느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여튼 BH115는 다양한 파생 차종들이 존재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이, 오랜 기간 판매되었던 차량이 오늘의 주인공인 BH115H. 98년 유선형 디자인의 BH116이 등장하며 자리를 내줬으나 워낙 판매량이 많아 2000년대 중후반까지는 그럭저럭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저 역시 최근 목격이 언제인가 살펴봤더니 2009년 4월. 한 기업체에서 통근버스로 활용하고 있던 차량을 목격했던 게 마지막이었습니다.

 

여튼 그런 버스를 2022년. 오산시 외곽에서 목격했습니다.

 

1996 DAEWOO BH115H

이 익숙하지만 정말 오랜만에 보는 디자인. 경이롭습니다.

경기대학교 분자생물학연구실 부설 한국꿀벌질병연구소에서 사용중이거나 사용했던 차량으로 보입니다.

 

96년 8월 출고. BH115H 치곤 끝물 후기형에 속하는 모델입니다. 특유의 스틸바디가 인상적이던 버스였지만 전체 도장이 된 상태라 그런 모습은 볼 수 없어 아쉽기만 하네요. 수원에 소재한 경기대학교에서 사용하던 버스를 구입하여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지, 아직도 이동식 연구소로 사용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유리창과 버스 천장에 보이는 구조물(태양열 집열판 추정)을 보면 일반적인 승객 수송용 버스가 아닌 다른 특수한 목적으로 개조되었을 확률이 높아보이네요. 화물차를 주차 할 공간이 없어 자세히 볼 순 없었지만, BH115H가 맞습니다.

 

1996 DAEWOO BH115H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갈 길을 갑니다.

 

같은 장소에서 해당 차량을 목격했다는 게시글이 보배드림에 있었습니다만, 화성시 정남면으로 표기해뒀더군요. 화성과 오산의 경계이긴 하지만, 오산땅이 맞습니다. 여튼 위치도 알고 있고 하니 나중에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다시 찾아가서 자세히 보고 오기로 합시다. 25년의 세월을 버텨 온 낡은 버스가 과연 얼마나 오랜 세월 살아남을지는 모르겠다만, 부디 오랜 세월 그 자리를 지켰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

 

어제 평택-제천 고속도로를 타고 가던 길에 폐차장으로 향하던 버스를 목격하여 사진으로 남겼습니다.

 

KD 운송그룹의 핵심인 경기고속에서 화성 안녕동에서 수원을 거쳐 분당까지 올라가는 720-2번 노선에서 사용하던 버스들이네요. 계열사들이 대부분 버스회사인 이 그룹에는 KD 오토리사이클링이라는 버스 전문 폐차장이 계열사로 존재합니다. 상태가 좋은 차량은 자가용으로 매각하거나 수출을 보낸다고 합니다만, 일단 폐차장에 들어간다는 얘기는 자동차로서의 생명을 다 했다는 이야기겠죠. 그렇게 마지막을 불사지르며 음성 생극면에 소재한 이 회사의 폐차장으로 가는 길로 보이네요.

 

2011 DAEWOO BUS BS106 F/L

마치 검은 사이드미러가 팬더를 연상시켜 흔히 '팬더곰'이라고 부르는 버스입니다.

 

차량의 길이에 따라 BS090 '로얄 미디'와 BS106 '로얄 시티'로 나뉘긴 합니다만, 좀 더 길은 버스와 짧은 버스의 차이는 확연하니 육안상으로도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측면 유리창의 개수로도 구분이 가능한데, 이 차량들은 다섯 칸인 BS106입니다.

 

버스의 내구연한은 9년이지만 연장 검사를 거쳐 최대 11년 6개월까지 굴릴 수 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코로나로 인해 한시적으로 차령을 1년 더 늘려줬으니 12년 이상 굴릴 수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지요. 이 차량들은 2011년식 차량이니 기본 내구연한을 모두 채웠고 이후 검사를 거쳐 노선버스로 최근까지 운용했을겁니다.

 

현행 모델인 NEW BS 시리즈가 2012년에 출시되었으니, 11년식인 이 차량들은 사실상 팬더곰 끝물 모델입니다. 이마저도 거의 다 대차되어 이전처럼 도로 위에서 쉽사리 보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리고 얼마 남지 않은 개체들도 이렇게 사라져 갑니다.

 

2011 DAEWOO BUS BS106 F/L

뒤 따라오는 버스는 좌측 헤드램프가 없네요. 그럼에도 큰 위화감이 없어 보입니다.

그렇게 두 대의 국내생산 대우버스가 사라졌습니다.

 

해당 차량들은 8월 말 중국산 전기버스로 대차 되었다고 합니다. 대우버스만 주야장천 출고하던 KD운송그룹 역시 대우버스의 공장 폐쇄로 인해 고속/시외버스는 현대차를, 시내버스는 자체적으로 판매업체를 세워 중국산 전기버스를 도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우 계열 자동차 회사들의 모태가 된 신진자동차도 드럼통 버스를 만들며 성장했던 회사였고 한 때 최고로 쳐주던 버스를 만들던 회사인데 최대 고객에게도 외면받는 이 현실이 매우 안타깝게 느껴집니다.

 

최근 새 주인을 찾은 쌍용차의 회생에는 정치권도 시민들도 많은 관심을 가졌습니다만, 내내 비슷하게 직간접적으로 수천 명의 밥줄이 달린 대우버스는 별다른 관심을 끌지 못하고 공장 문을 닫았습니다. 몇몇 진보정당이 관심을 가져줬던 게 전부네요. 비록 기술개발에서 뒤처지며 경쟁력을 상실했지만 중국산 부품을 국내에서 조립하여 국산 버스라고 판매하는 중소업체와는 달리 그나마 현대/기아의 경쟁 상대라도 될 수 있는 이런 회사 하나가 개도국 시장용 메이커로 전락하고 70년의 역사를 함께 했던 대한민국에서 사라진다는 사실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