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차 출고 후 통산 26번째 엔진오일 교체입니다.

 

2019.0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첫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03.0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0304 더 뉴 아반떼 펑크수리 + 엔진오일 교환

2019.05.2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디젤 엔진오일 교환 + 현대블루핸즈 홍성오관점

2019.08.1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19.10.1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1011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12.0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배터리점검 + 내포현대서비스

2020.02.0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130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오일누유

2020.03.3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330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20.05.2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527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0.07.2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보증수리(헤드램프 교체)+블루기본점검+브레이크액 교체

2020.09.0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903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0.10.24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DCT 미션오일+중국산 타이어 교체

2020.12.1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1216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내포현대서비스)

2021.02.1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0215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내포현대서비스

2021.04.10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0409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연료필터 교체

2021.06.0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블루기본점검

2021.07.22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1.09.10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타이어 펑크 수리

2021.11.0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1102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2022.01.1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블루핸즈 고대점

2022.05.09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20509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라핀 테크 드라이브 5W30

2022.07.19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20718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발보린 터보 FX 0W30

2022.09.12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20908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2022.1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디젤 연료필터, 엔진오일 교체

2023.01.2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30119 더 뉴 아반떼 디젤 엔진오일 교체

 

230119 더 뉴 아반떼 디젤 엔진오일 교체

신차 출고 이후 통산 25번째 엔진오일 교체작업을 진행했습니다. 2019.0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첫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03.05 - [티스도리의 자동차

www.tisdory.com

 

1월에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약 60일 만에 다시 교체합니다.

 

보통 2개월/7000km 주기로 교체했는데, 7000km를 도달했음에도 요즘 일이 바빠 시간이 잘 나지 않기에 어느 정도 여유가 있는 토요일에 차량을 수레카서비스에 입고하여 엔진오일을 교체했습니다.

 

 

차량 입고

차량을 입고했습니다.

 

옆 봉고의 작업이 꽤 오래 걸릴 거 같은 느낌이라 차를 밖에 세웠는데 사장님이 먼저 해주신다고 하셔서 바로 정비고로 들어가네요. 엔진오일은 기존에 사용하던 발보린 터보 FX 0W 30을 계속 사용하기로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 확인

타이어 공기압을 보충해 줍니다.

계절이 바뀌는 시점이라 잘 챙겨줘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을 맞춰주고 지난번 브레이크 디스크 및 패드 교체 후 패드의 편마모 여부를 확인합니다. 또 우측 캘리퍼의 안쪽 패드가 조금 덜 닳긴 했다고 합니다만, 크게 문제 될 수준은 아니라고 합니다. 그래도 몇 년은 더 탈 수 있다는 얘기겠지요.

 

애초에 신차 출고 당시부터 20만 km 전후로 타고 큰돈 들이기 전에 차를 바꿀 생각을 했던지라 신차 계약을 해두긴 했습니다만, 데일리로 타기엔 조금 부담 가는 차를 계약해 둬서 아마 새 차가 나오더라도 디젤 삼각떼를 계속 굴릴 확률이 높습니다.

 

드레인 완료.

엔진오일 배출을 마치고 새 오일을 주입한 뒤 시동을 걸어줍니다.

 

클러치 디스크 상태를 확인해달라고 하니 시동을 걸고 스캐너를 물어서 확인해주시네요. 약 5~60% 남았다고 합니다. 지난해 대비 좀 많이 닳은 느낌이긴 합니다만, 20만 km 가까이 타면서 그래도 별 문제 없이 타서 다행이네요.

 

오일값이 올랐다.

모든 정비를 마치고 결제의 시간이 왔습니다만, 오일값이 올랐습니다.

 

1월에는 작년 가격을 받으셨다고 하시네요. 1월 대비 6,600원 인상되었습니다. 이전에 사용하던 현대 순정 엔진오일(에코 프리미엄 디젤)로 교체하면 10만 원이 넘어갈거라 합니다. 그리고 블루핸즈에 가면 약 12~13만원정도 할거라고 하네요. 안그래도 보증이 한참 남은 휘발유 투싼(NX4)이 블루핸즈에서 가솔린 엔진임에도 13만원이 나왔다고 합니다. 이거 뭐 현대기아 차값도 엄청 올려놓더니만 유지비도 수입차와 가까워지려고 하고 있습니다.

 

교체 후 주행거리

다음 교환 주기는 197,269km. 20만 직전에 한 번 더 교체하게 되는군요.

 

그래도 무탈히 20만 가까이 달려왔습니다. 다음 교체 전까지 문제 없이 탈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

 

지난 엔진오일 교체 시기 즈음부터 디스크 긁는 소리가 나더랍니다.

 

그래서 엔진오일 교체 시에도 브레이크 패드 확인을 부탁드렸는데 육안상으로 패드는 멀쩡하다고 하더군요. 당연히 제가 봐도 휠 안쪽으로 보이는 브레이크 패드는 아직 충분히 많이 남아있었습니다. 여튼 미세하게 디스크 긁는 소리가 났지만 물을 뿌리니 그 소리가 사라지더군요.

 

그렇게 설 명절을 보내고 1월 말쯤 됐을까요. 드럼 긁는 소리가 아주 거슬리게 납니다. 물을 뿌려도 소리는 그대로. 그래도 브레이크는 잘 잡히고, 육안상 패드는 아직도 많이 남아있는 데다가 정비하러 갈 시간도 없어 그냥 타다 긁는 소리가 심해지고 휠에 쇳가루가 떨어진 모습이 보여 정비소로 향했습니다.

 

 

더 뉴 아반떼 브레이크 패드 교체.

대략 일주일 전 즈음부터 조향을 하다 보면 쇠 긁는 소리가 나기 시작했습니다. 당연하게도 신차 출고 이후 14만 5천 km를 타며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하지 않았기에 드디어 패드가 수명을 다 했구

www.tisdory.com

 

브레이크 패드 교체 이후 약 13개월. 4만km만에 다시 교체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휠에 보이는 쇳가루

휠이 더럽긴 더럽습니다만, 전륜 우측 휠에 반짝거리는 쇳가루가 보입니다.

 

확실히 디스크(드럼)를 갉아먹는 상태인지라 차를 리프트에 올려 브레이크 패드를 확인해 보기로 합니다.

 

편마모를 먹는 브레이크 패드.

네. 브레이크 패드가 편마모를 먹고 있었습니다.

당연히 육안상 보이는 겉 패드는 멀쩡했으니 대충 봐선 모르죠.

 

완전히 갉아먹어 쇠를 긁고 있는 패드가 우측 안쪽. 거의 다 닳은 패드가 좌측 안쪽 패드입니다. 상대적으로 아직 많이 남아있는 물건은 우측 바깥쪽 브레이크 패드의 모습이고요. 패드는 심한 편마모를 먹고 있었습니다만, 캘리퍼 상태는 지극히 멀쩡합니다. 당연하게도 캘리퍼가 고착되었으리라 예상했는데, 캘리퍼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군요.

 

일단 캘리퍼는 기능상 문제가 없어보이니 일단 타보고 다음 오일 교환시 확인해보자 합니다. 이미 다 썩을 대로 썩은 전륜 디스크드럼과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하기로 합니다. 하는 김에 2020년 7월. 헤드램프 보증수리와 함께 76,338km에서 교체하고 10만km 이상 주행했던 브레이크액도 같이 교체하기로 합니다.

 

 

더 뉴 아반떼 보증수리(헤드램프 교체)+블루기본점검+브레이크액 교체

거의 2주 연속으로 내포현대서비스를 찾는 느낌입니다. 지난번 방문 당시 범퍼의 센서를 교체하고, 안에서 깨지는 좌측 헤드램프와 센서 오류를 찾는답시고 판금부 직원들이 여기저기 기스를

www.tisdory.com

 

2020년 당시 DOT3 규격의 브레이크액으로 교체했었네요.

 

리프트 위에 올라감

차량을 리프트 위로 올리고, 부품은 모두 비품으로 주문합니다.

주문과 동시에 브레이크액 교체작업이 진행됩니다.

 

보증도 한참 전에 끝난 차량인지라 역시 돈 없는 하위 10% 거지 도태남에게는 비품만큼 좋은 물건이 없습니다. 물론 현대기아는 순정부품도 그렇게 비싸지 않아 비용절감의 효과가 크지도 않지만요. 그리고 요즘은 브레이크액 교체 장비도 좋아져서 따로 에어 뺀다고 차에 올라타서 브레이크를 잡지 않아도 큰 상관은 없나 보네요.

 

손님이 계속 온다

한 시간 이상 잡아먹는 작업인지라 뒤로 차가 계속 밀립니다.

 

새 브레이크액이 주입됩니다. 그리고 보리차처럼 진한 갈색의 기존 브레이크액이 배출됩니다. 이 과정에서 다른 간단한 작업을 하는 차량들이 옆 리프트로 올라가더군요. 그리고 곧 주문한 새 디스크로터가 도착했습니다.

 

새 디스크로터

출고 당시부터 약 18.5만 km를 함께 달렸던 기존의 디스크가 탈거되고 새 디스크가 장착됩니다.

 

4년 조금 넘는 시간 동안 전국을 누비며 방열구가 다 썩은 상태로 퇴역했습니다. 아마 제가 이 삼각떼를 매각하는 시점까지도 특별히 갉아먹지만 않는다면 교체할 일은 없을 겁니다. 교체하더라도 40만km 가까이 가서 교체하겠죠.

 

원산지 : 중국

높은 산봉우리 같은 나라에서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디스크로터로 중국몽 함께 합니다 훠훠훠

 

평화발레오 박스에서 꺼냈는데 중국산이네요. 뭐 중국산이고 국산이고 기능상에 문제는 없을 테니 잘 써보기로 합시다. 그래도 비품치곤 비싼 제품이라 방열구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검은색으로 칠이 되어있네요. 순정보다 더 오래 버틸지도 모르겠습니다.

 

갉아먹은 브레이크 디스크

편마모를 먹어 다 닳아버린 패드와 마찰하여 이미 다 갉아먹은 디스크의 모습입니다.

 

어차피 패드 교체주기에 함께 갈아줄 예정이었는데, 브레이크 패드가 생각보다 빠르게 사망하여 예상보다는 빠르게 교체당했습니다. 그래도 고철이라 재활용이 충분히 가능하니 다른 철제품으로 환생하겠죠.

 

카포스 브레이크패드

브레이크 패드는 카센터에 있던 카포스 패드를 사용합니다.

 

카포스 브랜드의 브레이크 패드는 홍성브레이크에서 납품하나 봅니다. 그간 순정을 제외하면 상신 하이큐와 프릭사 제품을 사용했었는데, 상신의 저가형 제품인 하이큐는 교체하고 얼마 못 가더군요. 지역 향토기업인 홍성브레이크에서 납품하는 카포스 패드는 과연 얼마나 오래갈지 모르겠습니다만, 한번 믿고 써보기로 합시다.

 

작업완료

부가세 포함 총 246,400원을 결제했습니다. 부품값이 포함된 수치입니다.

 

블루핸즈에 비하면 저렴하지만 공임나라에 비하면 비싼 그런 가격대입니다. 비품 치곤 좋은 비품들을 써서 비품 가격이 얼마정도에 왔는지 파악이 어렵습니다만, 다음에는 예상 가능한 정비의 경우 부품을 챙겨가야겠습니다.

 

이번 패드와 디스크는 부디 오래 버티기를 기원해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