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솥뚜껑도 아니고 고무통도 아니고 바가지도 아닌 대야역.


대야역이라 하면 수도권에 살고 계신 분들은 지난해 개통한 시흥시 대야동의 서해선의 시흥대야역이나, 애매한 위치의 4호선 군포 대야미역을 연상합니다만 이보다 훨씬 먼저 생겨나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군산시 대야면에 소재한 대야역이라는 이름의 작은 역이 있습니다.



이 역에 왜 왔는지 말하자면 길으니 넘어가고...


1912년 지경리에 소재하여 지경역으로 개업하여 1953년 현재의 대야역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하루에 상행선과 하행선 무궁화호가 하행 5회 하행 4회 정차하는데, 대부분 교행하는 형태로 정차하는듯 합니다. 


물론 역사만 놓고 본다면 한일합방 2년 뒤인 1912년에 생겨나 100년이 넘은 역이지만 빨간 벽돌로 마감된 현재의 역사는 100년 전 지어진 건물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옛 시골역 분위기를 잘 간직하고 있고, 무인역도 간이역도 아닌 1인근무지정역으로 역장 혼자 근무하고 있는 보통역입니다.




정사각형에 가까운 작은 대합실은 적막하기만 합니다.


매표소 앞에는 벨을 눌러달라는 안내문과 함께 작은 벨이 있고, 저는 코레일톡 애플리케이션으로 표를 예매했기에 따로 매표소에 들리지는 않았습니다만, 곧 사람이 들어온 모습을 확인한 상대적으로 젊어보이는 역장님께서 기차를 타러 오셨느냐고 물어보시더군요.



플랫폼으로 나가는 방향.


방역중이라는 X배너가 서 있습니다만, 따로 방역을 하지는 않았습니다. 8~90년대에 주로 사용하였고, 지금은 보기 힘들어진 짙은 갈색의 구닥다리 강철샷시로 만들어진 문입니다. 대략 3m 가까은 높이의 문은 173cm의 제가 열기도 조금 힘이 들어갔는데, 작은 면소재지의 역을 이용하는 연로하신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문을 여시기에는 힘들지 않나 싶습니다.



2004년 KTX 개통 초창기에 걸어놓았을법한 액자. 그리고 오래된 스피커와 매립형 CATV 유닛.


구형 로고의 인켈 스피커와 코드 그리고 콘센트 유닛과 케이블TV 유닛이 대략 80년대에 사용하던 물건들인지라 이 역사가 지어진 지난 세월을 말해줍니다. 그리고 2000년대 초반 KTX 개통 당시 촬영했던 사진이 걸린 액자도 꽤 오랜세월 걸려있네요.



작은 원탁과 낡은 의자. 


이 작은 시골역 원탁에 둘러앉아 이야기를 나눌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오랜 세월을 버텼음에도 찢어지거나 망가진 부분 없이 잘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알림판에 걸린 포스터들. 그리고 열차 시간표.


화장실로 들어가는 작은 문도 보이네요. 열차를 기다리는 사람은 저 혼자이니 마음껏 대야역을 둘러봅니다.



작은 입구로 들어가면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이 나뉘어 있습니다.



80년대에나 사용했을법한 청색 바닥타일. 청소도구함의 나무문.


사진만 보면 악취가 풍길 것 같습니다만, 악취 없이 매우 깔끔하게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세면대도 소변기도 모두 그시절 그대로. 다만 세면대의 오수가 내려가는 아이트랩만 비교적 최근에 교체한것으로 보입니다.



상행과 하행 총 9회 정차하는 대야역의 시간표.


저는 9시 13분에 정차하는 1556호 열차에 탑승하기 위해 이 역에 왔습니다만, 열차가 양쪽으로 들어온다고 합니다. 교행을 한다는 이야기겠죠. 시간표상 정차하는 하행열차가 아닙니다만, 하행 열차도 문이 열렸고 내리던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혹여나 



여객운임표입니다.


상행 종착지 용산까지는 15,100원. 하행과 상행 웅천까지는 기본요금으로 해결됩니다. 경유지가 많을수록 요금이 늘어나는 시외버스대비 확실히 저렴합니다.



열차시간이 임박하자 승강장으로 향하는 문을 열어줍니다.


그리고 승강장으로 나가네요. 상행선 열차는 향나무 방향으로 들어오는 차라고 역장님께서 알려주십니다. 



요즘은 보기 힘든 낡은 정사각형 보도블럭. 곳곳에 깨지고 풀이 자라는 자리도 보입니다.


장항선 익산-대야구간의 복선전철화가 끝나고, 대야역을 시점으로 건설중인 군장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의 공사가 마무리되는 2020년 이맘때 즈음이면 이 역도 새 철로 부근으로 이설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물론 그때부터는 화물만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여객열차는 모두 통과 할 예정이라고 하는군요. 



철길 너머 보이는 대야역.


커다란 은행나무와 향나무들. 열차가 이 자리로 다닐 날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역은 사라진다 해도 나무는 잘 자라겠죠.



해가 뜨고 있습니다. 향나무 너머로 해가 뜨기에 제가 탈 열차가 올 철로는 그늘이 생겼습니다.



아직 아침이슬이 남아있는 플라스틱 벤치.


지금은 어디 운동장을 가도 이런류의 플라스틱 벤치를 보기가 쉽지는 않더군요.



익산방향으로 임피역에서 여객취급을 중단한지 10년이 넘어 하행열차는 바로 종점인 익산역에 정차합니다.



승강장을 알리는 간판은 케이블타이로 고정된 상태.


바람이 많이 불어 흔들리며 잡소리를 내던게 원인인지, 아니면 고정이 불안하여 다 떨어지려 하는걸 얼마 남지 않은 이설 전까지 버티기 위한 임시방책인지는 모르겠지만 케이블타이 여러개로 고정되어 있었습니다.



저 멀리 철도건널목에서 차단기가 내려오고 경고음이 울려퍼지니 열차가 곧 역을 향해 들어옵니다.


물론 면소재지를 그대로 관통하는지라 안내원이 직접 차량출입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안내원이 철길을 통제하는 일도 이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열차는 점점 가까워집니다.



양 열차가 대야역에서 만나 교행합니다.


좌측의 열차에 오릅니다. 우측 열차는 시간표상 정차하는 열차가 아니지만, 문이 열리고 사람이 내리더군요. 그렇게 장항선 열차를 타고 대야역을 떠났습니다. 아마 내년 이맘때 즈음이면 여객영업 중단과 선로 이설을 앞두고 수많은 철도동호인들이 이 역을 찾지 않을까 싶습니다.


매번 교행으로 기본 10분 연착은 애교수준인 장항선이 가끔 짜증나고 속 터질때도 있습니다만, 이런 오래된 역들이 역사속으로 사라지는 모습을 볼때마다 직선화와 복선화가 아쉽기만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19/04/1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 인천공항. 에어서울 항공기의 지연.

2019/04/15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2) 후쿠오카 도착! 혼다 피트 렌터카

2019/04/1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3) 텐진 아파트먼트(Tenjin Apartment), 나카스 포장마차 거리-1

2019/04/19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4) 나카스 포장마차 거리 -2, 焼鳥まことちゃん(야키도리마코토짱)

2019/04/2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5) 2일차 시작, 일본의 당진(唐津) 가라쓰로 가는 길

2019/04/28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6) 하마사키 해수욕장(浜崎海水浴場), 니지노마쓰바라(虹の松原), 가라쓰버거(からつバーガー)

2019/05/0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7) 가라쓰성(唐津城)

2019/05/0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8) 북오프 가라쓰점(BOOK OFF 唐津店), 구 미쓰비시 합자회사 가라쓰지점 본관(旧三菱合資会社唐津支店本館) / 좀비랜드사가 - 타츠미 코타로의 저택

2019/05/15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9) 이마리시(伊万里市) 드라이브 인 토리(ドライブイン鳥), 이마리 유메미사키공원(いまり夢みさき公園)

2019/05/21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0) 우레시노온천(嬉野温泉), 시볼트노유(シーボルトの湯) 공중목욕탕

2019/05/2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1) 토요타마히메 신사(豊玉姫神社,메기신사), 무텐쿠라스시(無添 くら寿司), 2일차 마무리

2019/06/0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2) 3일차 시작, 기타큐슈시립 자연사박물관 -1

2019/06/12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3)기타큐슈시립 자연사박물관 -2

2019/06/18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4) 고쿠라성(小倉城)

2019/06/25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5) 탄가시장(旦過市場), 우오마치긴텐가이(魚町銀天街)

2019/07/04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6) 큐슈철도기념관(九州鉄道記念館), 간몬교(関門橋)

2019/07/08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7) 간몬터널(해저터널)

2019/07/20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8) 하카타 완간시장 100엔 스시, 3일차 마무리

2019/07/30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9) 4일차 시작, 나미하노유 온천

2019/08/06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20) 애니메이트 텐진점, 아사히맥주 하카타공장 -1

2019/08/12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21) 아사히맥주 하카타공장 -2


아사히맥주 하카타공장의 견학을 마치고 나온 티스도리 일행..


이제 여행의 끝을 향해 달려갑니다. 그리고 22부에서 여행기가 마무리 됩니다.



곧 차량을 반납하여야 하니 주유를 하기로 합니다.


만땅으로 받아왔으니 주유량 역시 만땅을 채워줘야 합니다. 가는 길 셀프주유소에서 주유를 하기로 하네요. 우리나라의 고급휘발유에 해당하는 하이옥탄과 일반 휘발유에 해당하는 레귤러. 그리고 경유 노즐까지 총 세개의 노즐이 존재합니다.



레규라(일반 휘발유) 만땅을 선택하니 100리터가 기본적으로 셋팅되네요.


이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에서는 한시적으로 유류세를 50% 인하했던 시점이라 우리나라 기름값이 좀 더 저렴했습니다만, 절반은 이미 올렸고 곧 유류세 인하분 역시 올린다고 하니 일본의 기름값이 환율을 감안해도 조금 더 저렴해졌을겁니다.


어짜피 석유를 전량 수입하는것은 한국이나 일본이나 마찬가지죠. 우리나라 셀프주유소들처럼 먼저 카드의 선 승인이 진행되고, 그 이후 주유된 용량만큼 결제됩니다. 



총 35.71L가 주유되었고, 세액을 포함하여 5,035엔이 결제되었습니다.


처음에는 1엔 선승인 문자만 오고 수정된 문자가 오지 않아 제대로 결제가 되지 않은 듯 싶었습니다만, 집에 와서 카드 청구서를 확인하니 수정된 금액으로 결제되어 청구되더군요. 약 550km를 주행하고 35리터 수준의 기름을 채웠으니 연비는 15km/l 정도로 측정됩니다.



헌책방 아니 씹덕 만물상을 표방하는 서브컬처 전문 헌책방 프랜차이즈. 만다라케입니다.


만다라케는 지난 2015년 홀로 여행을 갔던 당시에도 들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물론 그 당시에도 제 구미에 맞는 물건들은 없는지라 별다른 물건을 사오진 않았는데,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별다른 물건을 사오진 않았습니다.



총 2층 규모의 대형 매장을 가진 중고용품 전문점입니다.


말이 중고 헌책방이지 장인의 나라 일본답게 온갖 취미용품을 다 아우르고 있습니다. 흔히 생각하는 프라모델과 피규어 그리고 다이캐스트 모형을 비롯하여 일본에 어느정도 매니아를 갖춘 분야의 수집품들은 다 있습니다.



헌책방 만물상이라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깔끔히 정리된게 특징입니다.


구하기 힘든 물건은 비싼 가격표를 달고 있고요. 4년 전 방문 당시에도 전시되어 있어 구경했던 기억이 있는 물건이 그대로 있기도 했습니다.



이런 평범한 캐릭터 인형들은 물론이고요..



중국제 포톤(FOTON)트럭의 탱크로리 다이캐스트 역시 진열되어 판매중이였습니다.



철덕을 위한 가와사키 중공업의 쇼와 56년 명패. 그리고 오래된 열차에서 떼어낸 수집품들도 보이네요.


국내에는 이런 포지션을 가진 헌책방 혹은 취미 만물상 프렌차이즈가 없기에 딱히 비교 대상으로 삼을만한 업소가 없습니다만, 국내에선 그저 골동품 쓰레기 혹은 애들 장난감 취급받을 물건들을 거래하는 문화가 활성화된 일본이 취미생활 하기 좋은 나라임에는 틀림 없습니다.



일본에도 자동차 카탈로그를 수집하는 사람들이 있더군요.


국내에서도 꽤나 마이너한 수집취미에 속하는 분야인데 역시 일본에도 존재했습니다. 여러 하드케이스 카다록과 20년 넘은 우리나라로 따지자면 자동차생활 비슷한 잡지들을 따로 모아놓은 공간도 있었습니다.



가발과 구체관절인형을 다루는 공간도 있었습니다.


2층에는 성인용 동인지와 AV를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여튼 저는 구매한 물건이 없습니다만, 같이 가신 두분은 면세한도 이상을 구매하셔서 면세혜택을 보고 가셨습니다.



이제 진짜 마지막입니다.


만다라케에서 나와 다음 목적지는 렌터카 사무실입니다. 차를 반납하고 공항으로 가 비행기를 타야죠.



하카타 중심지에서 렌터카 사무실까지의 거리는 5.6km


4시 25분에 탑승이 시작됩니다. 렌터카 사무실의 예상 도착 시간은 3시 7분입니다. 생각보다 촉박합니다.



신호대기중 식육가공식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배송트럭을 운행하시는 아저씨가 코를 파고 계시네요..


4개월 전 신호대기중 코를 파던 아저씨의 사진은 이렇게 박제되어 있습니다.



첫날 밤 들렸던 나카스 거리.


밤에는 불야성을 이루더니만 낮에는 그저 건물 위 간판들이 세워진 평범한 강변의 건물들입니다.



배낭을 매고 자전거를 타고 횡단보도를 건너는 아주머니와 뒤를 따라 걷는 아저씨.



토요타 신차 매장.


전시된 차량들과 함께 서비스센터도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입차 브랜드를 제외하곤 거진 신차 영업소와 정비소가 따로 떨어져 있습니다만, 일본은 대부분 신차 영업소와 메이커 정비소가 함께 붙어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습니다. 물론 거기에 더불어 중고차 매장까지 붙어있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타임즈렌터카 사무실에 도착했습니다.


서쪽으로는 사가현 우레시노시, 동쪽으로는 기타큐슈시까지 3박 4일간 달리고 달렸던 혼다 피트를 이제 놓아주어야만 합니다. 아마 지금쯤 다른 관광객의 발이 되어 큐슈 곳곳을 돌아다니고 있겠죠. 



총 주행거리 551km


주유 후 약 6km 이상을 달려왔음에도 주유게이지는 떨어지지 않습니다. 대략적인 평균연비는 15km/l선. 그래도 대여 당시와는 다르게 한국인 직원분이 계셔서 반납절차는 수월했습니다.



큐슈 고속도로 패스 역시 정산합니다.


카드 대여료 1일에 300엔. 3일권을 4,500엔을 내고 구입했는데, 총 도로비는 10830엔이 청구되었습니다. 이 중 도로공사의 민영화 법인 서일본고속도로의 도로에서만 패스권이 적용되고 기타 자잘한 도시고속도로는 적용되지 않는지라 도시고속도로 요금인 3,130엔이 따로 청구되었습니다.


뭐 여행객이 도시고속도로인지 넥스코 관할 고속도로인지 그거 일일히 따져가며 고속도로에 올릴만큼의 정신은 없으니 그냥 타고 다니다가 정산하면 됩니다. 카드 대여료를 포함하더라도 훨씬 싸게 먹힙니다.



바로 하이에이스 승합차를 타고 공항으로 향합니다.


저희 일행을 내려주고 백인아저씨가 기다렸다는듯이 셔틀버스에 탑승하시네요.



늦었습니다. 비행기 이륙까지 한시간도 남지 않았습니다.



티케팅까지 마치고 나니 시간이 꽤나 촉박합니다.


대략 4시 10분 즈음 출국수속을 밟기 위해 줄을 섰습니다.



줄은 길고 험난합니다.


갈 때 지연이 되길 진심으로 바랬습니다만, 지연따윈 없었습니다.



그렇게 열심히 뛰어 탑승동으로 향했습니다.


거의 막바지에 탑승 완료.



후쿠오카를 떠나 다시 인천공항으로 향합니다.


약 한시간 수준의 짧은 비행을 마치고 후쿠오카 국제공항을 떠나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했습니다.



한국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줄여서 한.오.환.. 한오환이 짤려버렸네요.....


다시 한국에 오기 전 있었던 나라로 돌아가고싶게 만들어 주는 마법의 문구 한오환. 한오환을 봤으니 다시 한국에 왔음을 실감합니다. 여러모로 한국에 오니 조금 춥네요.



IRON FRILL - FANTASTIC LOVERS

여행 외적으로 이 노래를 건진(?) 알찬 여행이였습니다. 


지금도 이 노래를 들으니 4일간 여행지에서 있었던 일들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여러모로 노래에 얽혀진 기억은 평생 갑니다. 이번 후쿠오카 사가 여행 역시 이 노래를 들을 때 마다 기억날테고 노래와 함께 평생 기억되겠죠.



탑승동에서는 모노레일을 타고 입국수속을 받으러 가야합니다. 그게 참 불편합니다..



같은 비행기를 타고 온 관광객들.


암만 빨리 와봐야 모노레일이 도착하지 않으면 얄짤 없습니다.



입국수속을 마치고 수화물을 찾아갑니다.



그리고 세관을 통과한 뒤 출구를 나서면 이제 완전히 한국에 발을 들이게 된 것입니다.



오자마자 와이파이 도시락을 반납합니다.


시간은 대략 7시. 뿔뿔이 흩어져 각자의 목적지로 향합니다. 저 역시 차를 찾으러 주차대행 사무실로 향했습니다.



주차대행 사무실.


아 물론 발렛파킹 서비스가 되는 삼성카드를 잃어버린진 1년도 넘었습니다만, 삼성페이로도 혜택을 볼 수 있다고 하네요.



삼성페이의 최소 가동조건은 배터리 5%..


보조배터리는 숙소에 놓고와서 잃어버렸고,, 급하게 주차장 기둥 콘센트에 충전기를 연결하여 충전하여 차키를 받습니다.



험난한 여행은 그렇게 끝이 났습니다.


주차대행업체가 임의대로 차를 옮기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다행히 차가 많은 시기가 아니라 처음 주차한 자리에서 차를 옮겼던 흔적은 없네요. 여러모로 4개월동안 쭉 지켜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렇게 후쿠오카+사가 여행기를 마칩니다. 

긴 여행기를 읽어주신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후쿠오카+사가 여행

2019.04.08 ~ 2019.04.11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