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카'에 해당되는 글 156건

반응형

 

올드카 목격담에 넣기도 참 애매하고..

경이로운 차량 만나서 감탄했던 이야기인데 그냥 써봅니다.

 

지난 주말 업계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유명하신 분을 친구와 함께 만나고 왔습니다. 이전에도 종종 뵈었스니다만, 이번에는 실물로는 처음 보는 차량을 타고 오셨네요. 91년식 엑셀(X2) GLS 3도어 수동입니다. 다른 차량들도 소중하게 아끼고 계시지만, 특히 이 차량은 지하주차장에 애지중지 모셔두고 날 좋을때만 타고 다니신다고 하시네요.

 

여튼 귀한 엑셀 3도어를 실물로 보게 되었습니다.

 

90년대 주차장

마치 90년대 주차장 느낌입니다.

 

91년식 차량과 96년식 차량 두대가 주차되어 있습니다. 좌측 갤로퍼는 울산 지역번호판을, 나머지 두대는 흰색 전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습니다. 둘 다 지역번호판이라면 진짜 90년대라고 해도 믿겠습니다만, 발급 당시에는 바보번호판 소리를 들었지만, 십수년이 지난 지금 시점에서는 나름 유지하려는 사람들도 생겨난 녹색 전국번호판도 아니고 흰색 전국번호판이라 아쉽게만 느껴집니다.

 

90년대 주차장 - 2

녹색 빨간색 은색. 컬러도 다양합니다.

 

이제 막 만 30년이 넘어간 빨간 엑셀과 계란 한 판을 향해 뒤따라 늙어가는 두 차량들. 21세기가 시작된지 20년 이상 흘렀음에도 순정 본연의 모습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국산차의 성능과 내구성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던 21세기 차량들도 슬슬 차령 20년이 넘어가고 있고, 저렴한 가격에 원활한 부품수급으로 상대적으로 유지가 쉬운 영타이머 올드카에 대한 관심도 많아졌습니다. 그만큼 대놓고 차익을 보려는 사람들이나 그저 오래된 차 탄다고 유세떠는 사람들. 인스타용 사진이나 찍어 올리고 질리면 차익을 노리며 팔아버리고 나가는 관종들도 늘어나긴 했지만, 예전같으면 똥차 취급 당할 차량들의 가치를 알아보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사실만큼은 분명합니다.

 

엑셀 구경

귀한 빨간색 3도어 엑셀 구경이나 해 봅시다.

 

같은 3도어인 뉴엑셀 밴모델은 아주 가끔 보입니다만, 구형 엑셀 3도어 승용모델은 어릴적에도 언제 봤었는지 정확히 기억나지 않습니다. 깡통휠과 특유의 휠커버도 준수하게 보존되어 있으며, 차체의 대부분이 순정 출고칠이고 문콕이나 살짝 긁힌 자국들은 존재합니다만 전반적으로는 매우 준수한 상태입니다.

 

마치 두부집 차를 연상시킨다.

엑셀(X2) 특유의 테일램프가 인상적이다.

 

마치 두부 썰듯이 반듯하게 나뉘어있는 특유의 테일램프와 작은 스포일러가 인상적입니다. 물론 세단모델도 비슷한 테일램프가 적용되었고, 뉴엑셀 차주들이 이 구형 램프를 달기도 했다고 하는데 아직까지도 신품 재고가 잡힌다고 하네요. 이런거 보면 오래된 차량일수록 현대차를 구입하는게 답이긴 합니다.

 

사이드 몰딩에는 작은 철판이 들어가 있다.

보면 볼수록 경이롭습니다.

 

감탄사를 자아내며 이리 살펴보고 저리 살펴봅니다. 확실히 옛날차라 그런지 하체 방청 및 방음을 위한 부품은 거의 없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거기에 특이하게 느껴졌던 부분으로, 사이드 몰딩에 얇은 철판이 들어가 있네요. 그래서 몰딩 끝부분이 살짝 부식되어 올라오기도 합니다.

 

깔끔한 엔진룸

생각보다 넓고 깔끔한 엔진룸입니다.

 

현대 영문 로고 오일캡. 흡기 부품에는 럭키화학 로고가 찍혀있습니다. 나름대로 독자개발했던 차량이라 하더라도 미쓰비시의 흔적들이 곳곳에서 보입니다. 불과 20여년 사이에 현대는 손에 꼽는 글로벌 일류 브랜드로 도약했고, 미쓰비시는 사실상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에 인수되어 다시 재기를 노리고 있습니다. 잠시나마 경이로운 상태로 유지된 귀한 차량을 구경해서 영광스러웠고, 다음에도 좋은 모습으로 뵐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P.S 젠트라 3도어도 한 10년 이상 더 놔두면 이 취급 받을 수 있으려나...?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대우의 8톤 트럭이 그 주인공입니다.

 

중형인 5톤트럭에 대형트럭용 고하중 타이어를 장착하고, 대형캡 그리고 각 메이커마다 가장 길다며 온갖 수식어를 붙여 판매하는 초장축 적재함을 옵션으로 선택하면 사실상 8톤 대형트럭이라 부르던 차량과 큰 차이 없는. 트럭을 톤수로 구분하기엔 혼란이 오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개별면허 기준으로 이러한 차량에 가변축을 장착하여 5톤 트럭의 적재량을 합법적으로 9.5톤까지 늘릴 수 있습니다. 

 

그런 시대에 4X2 형태의 가변축이 없는 8톤트럭 시장은 사장되었습니다. 가변축을 장착한 5톤 축차들과의 경쟁에서도 밀리니 8톤 트럭 차주들도 차량 교체 시 5톤 축차를 구입하여 이러한 행렬에 합세하거나 가변축을 달아 상급 트럭들의 짐을 넘봅니다. 당연히 순수한 4X2 형태의 8톤 트럭도 카탈로그에는 존재합니다만, 가변축을 장착하여 증톤 하지 않고 순정 상태 그대로 출고하여 타는 경우는 보기 드문. 환상 속의 자동차가 되었습니다.

 

서울에 올라가던 중 간단히 점심거리라도 사먹고 가기 위해 서해안고속도로 매송휴게소에 들렀는데 저 멀리 구형 대우 트럭이 보이더군요. 흔히 640 365T라 부르던 그 트럭입니다.

 

1994 DAEWOO 4X2 8t TRUCK

92년부터 판매된 최후기형으로 분류되는 대우 대형트럭입니다.

이후 94년에 미묘한 변경이 있었지만, 큰 차이는 없습니다. 원부상 최초 등록은 94년 4월이네요.

 

이전에 올드카 목격담에서 사실상 식당차(?)로 사용하던 차량을 다루기도 했었죠. 해당 차량은 저감조치가 되어있어 적폐 취급은 당하지 않지만 사실상 고정시켜두어 언제 달렸는지도 모르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래도 이 차량은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하고 최신형 트럭들 사이에 당당히 주차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목격했으니 직접 달려서 휴게소에 들어왔겠죠.

 

크기도 훨씬 커지고 성능도 좋아진 21세기 트럭들 사이에 1970년대 이스즈 뉴 파워(ニューパワー)트럭을 기반으로 대우중공업에서 라이선스 생산하던 MAN 엔진을 올리고, 대우에서 독자적으로 디자인을 다듬은 그런 20세기 트럭은 2022년 오늘도 달리고 있습니다.

 

해당 사진을 촬영하고 바로 다음날 시화공단에서 후기형으로 분류되는 86-92년형 대우 대형트럭을 목격했습니다만, 카메라를 켜는 순간 반대편에서 바로 사라져 버렸습니다. 해당 차량과 함께 소개했더라면 정말 좋았을 텐데 아쉽기만 합니다.

 

나름 신형 대우트럭과 구형 대우트럭.

일반 슬리퍼캡 프리마 트랙터와 나란히 세워져 있습니다.

차종은 달라도 포지션은 같은 캡입니다. 20년 넘는 세월을 버티며 크고 웅장해졌습니다.

 

하이돔 트랙터가 아닌 일반적인 대형 슬리퍼캡이니 사실상 같은 포지션의 캡입니다. 90년대 대형트럭의 슬리퍼캡과 2010년대 대형트럭의 슬리퍼캡이 나란히 세워져 있습니다. 프리마와 올해 출시된 부분변경 모델인 맥쎈이 사실상 동일한 캡을 사용하니 과거의 대우트럭과 현재의 대우트럭을 함께 보는 자리라 해도 이견은 없을 겁니다.

 

앞으로 30년 가까운 세월을 보낸 뒤 지금의 대우트럭과 미래의 대우트럭을 나란히 세워둔다면 어떤 느낌일까요. 내연기관의 종말 친환경차의 전환을 앞둔 이 시점에서 90년대 대우 대형트럭이 얼마나 버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부디 앞으로도 무탈히 도로 위를 달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