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랜만에 폐차장행 오더를 탔습니다. 


딱히 타고싶어서 잡은건 아니지만, 제가 대전 목적지에 도착하기 약 10분 전만 하더라도 넘쳐나던 오더가 싹 사라졌다가 근처에서 뭐가 뜨길래 일단 잡고 보니 폐차장행 오더였습니다. 빼기 뭐하니 그냥 가기로 합니다. 그러고 보니 적요란에 적힌 차종이 '엘란트라'더군요. 단종된지 약 20년. 후속모델인 구아방도 슬슬 보기 힘들어지는 마당에 설마 엘란트라를 타고 가는건가 했더니 진짜 엘란트라네요.


그렇게 약 25년을 달리고 또 달려왔던 엘란트라의 마지막 가는 길을 데려다 주었습니다.



조금 미리 도착해서 차량 상태를 살펴보았습니다.


지역번호판(대전30) 그리고 당대 현대차들에 두루두루 쓰이던 비둘기색(카타리나 블루)입니다. 엑셀과 엘란트라 그리고 쏘나타와 갤로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컬러입니다. 전반적인 관리상태는 나쁘지 않았습니다.



다만 앞범퍼가 깨져있네요. 깨진 모양이 절묘합니다.


범퍼레일은 멀쩡하구요. 안개등도 멀쩡합니다. 딱 범퍼만 특이하게(?) 깨져있는 상태입니다.



그 외에도 오랜 세월동안 햇볕을 보며 칠이 벗겨지고 빛이 바랜 부분도 있었습니다.


뭐 올드카에 세월의 흔적이 없을 순 없으니 이정도면 그래도 꽤나 주인에게 사랑받고 지내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이 엘란트라는 자신이 곧 폐차장으로 갈 운명이란 사실을 알고 있을까요.



휠도 분진으로 뒤덮이거나 쩔어붙지 않고 나름 깨끗합니다.


그렇게 근처 모처에서 대기하다가 차주분을 만나 열쇠를 받게 되었습니다.



며칠 전 정기검사를 받으러 가다가 범퍼를 깨어먹고, 검사를 통과하지 못해 결국 보낸다 하더군요.


2년 전 검사 당시에는 싹 정비를 마친 뒤 재검사에서 자랑스럽게 통과를 했다 합니다만, 이번에는 범퍼가 깨진것도 있고 여러모로 보내는게 낫지 않겠냐는 의견에 차량을 떠나보낸다 하십니다. 햇수로는 25년 만으로는 24년동안 함께 해왔던 엘란트라는 일산의 한 폐차장을 향해 떠나갈 준비를 모두 마쳤습니다.



적산 주행거리는 216,226km.


꽤 많이 탄 느낌입니다만, 차령이 만 24세임을 감안하면 1년에 채 1만km도 타지 않은 민트급 차량입니다. 간간히 20만km도 넘기지 못하고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져가는 올드카들을 보곤 합니다만, 그래도 이 엘란트라는 나름 달릴만큼 달린 차량입니다.



세월의 흔적이 느껴집니다. 핸들은 닳고 또 닳았습니다.


오디오는 사제. 그 외의 모든 구성품들은 25년 전 출고 당시 그대로입니다. 곧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질 차량이지만 살아있는 근대 유물입니다. 앞으로 5년만 더 가지고 있는다면 제대로 올드카 대접 받을텐데요.



내심 수동이 아닐까 싶었지만, 자동변속기 차량입니다.


4단 자동변속기는 생각보단 타고다니는데 크게 불편함은 없었습니다.



압력조절기능이 없는 구형 연료캡. 티코에도 비슷한 형태의 물건이 적용됩니다.


HMC(Hyundai Motor Company) 로고가 선명히 박혀있습니다.



나름 2만원정도 넣어주니 생각보단 많이 올라오네요.


최후의 만찬을 만끽하고 있는 엘란트라입니다. 휘발유값이 600원 700원대 하던 시절부터 약 두배 이상 뛴 오늘날까지 달리고 또 달린 그 차에게 주는 마지막 선물입니다. 비록 차주가 주는 최후의 만찬은 아니지만 부디 잘 먹고 무탈하게 올라가길 빌고 또 빌었습니다.



처참한 몰골.. 


그래도 안개등은 잘 붙어있습니다.



요즘은 보기 힘든 수동식 사이드미러.


뭐 접는건 수동으로 접는 차들이 종종 있긴 합니다만, 거울을 조절하는것 역시 양쪽 다 수동입니다.



엘란트라의 마지막 주행. 만 24년간 수도없이 다녔을 경부고속도로 역시 마지막입니다.


세월은 흐르고 흘러 고속도로도 선형이 많이 변했고, 주변을 지나다니는 차들도 많이 변했습니다. 이 엘란트라보다 더 오래된 차는 승용차건 화물차건간에 볼 수 없었습니다. 그렇게 올드카 한대가 도로 위에서 사라질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미 눌려버린 자동차들과 곧 눌릴 자동차의 만남.


이미 눌린 차들도 이 엘란트라보단 더 짧은 차생을 마친 뒤 폐기되는 차량들이였습니다. 그래도 저 차들보단 오래 살았으니 미련은 없을겁니다. 그렇게 달리고 달려 엘란트라의 연고와는 관련이 없는 폐차장으로 도착했습니다. 



총 주행거리 216,419km


216,419km를 마지막으로 자동차로써의 생명을 다 했습니다.



바로 번호판이 탈거됩니다.


그리고 차량의 해체 처리가 빠른 이 폐차장의 특성상 바로 지게차에 들려 해체작업장으로 들어갔겠지요. 혹여나 정기검사를 위해 달려가다가 범퍼가 깨지지 않았더라면.. 검사를 거뜬히 합격했더라면 사라지지 않았을 차량이니만큼 아쉽기만 합니다. 


만 24년을 달리고 또 달려왔던 엘란트라는 결국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지지만, 차주의 마음속에는 영원히 달리고 있을겁니다. 93년 11월식 뉴-엘란트라의 명복을 빕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미나미야마테를 열심히 돌아다니던 도중.. 언덕 밑에 2층짜리 목조건물이 보이더군요. 



조금은 오래되어보이는, 정원엔 야자수가 한그루 심어진 이 건물에 흥미가 돋더랍니다.



입장료는 100엔. 우리돈 천원 수준입니다.


저 건물의 명칭은 나가사키시 스카 고고도 미술관. 나가사키 출신 일본의 화가 스카 고고도의 작품을 전시해둔 미술관이라 합니다. 1913년 태어난 스카 고고도는 일본의 사계절과 특유의 문화 그리고 정서를 보여주는 작품들을 그려냈다고 하더군요. 뭐 여튼 일본을 넘어 세계 각지에서 인정받는 화가의 미술관이 입장료가 100엔이라니.. 당장 들어갑니다.



입장권과 함께 일본어로 된 팜플렛을 하나 받습니다.



1913년 나가사키에서 태어나서부터 2008년 95세로 작고하기까지 일생의 약력이 담겨있습니다.


1층은 풍경화 위주의 원본 작품들이. 2층에는 복제본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고 하더군요.




이러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스카 고고도상께서 사용하시던 붓.



함께 사용하시던 파렛트.



전시관 한켠에 마련된 벽난로. 뭐 그냥 모양만 남은듯 보입니다.



여러 잡지에 소개된 내용도 전시가 되어있네요.


여튼 100엔을 내고 1000엔이 넘는 가치의 작품들을 보고 왔습니다.



현재 미술관으로 활용되고 있는 해당 건물은 러시아인이 처음 지은 건물이라 하는군요.


메이지시대 지어진 이후 1992년과 1993년에 반 해체 복원작업을 거쳤다 합니다. 지금은 옛 모습 그대로 복원된지 20년이 지난 시점이네요.



다시 내려오는 길목에 올드카 한대가 보이네요. 자세히 보기 위해 가까이 다가갔습니다.



닛산(NISSAN) 글로리아(GLORIA) 5세대.


1975년부터 1979년까지 약 4년간 생산되었던 올드카입니다. 세월이 흘렀음에도 관리를 잘 받아 40년 넘는 세월동안 장수하고 있는 모습이네요.



닛산의 배기가스 저감 기술인 NAPS(Nissan Anti Pollution System)가 적용된 차량이네요.


저보다도 나이가 근 두배는 많은 차량입니다만, 상태도 좋고 번호판도 두자리 숫자의 구형 번호판입니다. 과연 이 차의 주인은 어느분일지. 궁굼하더군요. 다만, 차주를 볼 수 없었기에 발길을 돌렸습니다.



종전에 성당으로 올라가던 길에 오르골을 팔던 기념품점이 있어 다시 들려보았습니다.


삿포로 오르골집에 가선 암것도 사오지 않았는데, 갑자기 오르골 뽕에 들려 오르골을 보러 들어갔네요. 뭐 근래까지 우리나라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던 영화 '너의 이름은'의 주제가 '전전전세(前世)'의 오르골이 있더군요. 오르골도 근래 인기 있던 노래들 위주로 유행을 타나 봅니다.


그리고 특이한 기념품들이 이목을 끄네요.



철덕 버덕을 위한 열쇠고리가 넘쳐납니다.


나가사키현을 돌아다니는 열차 전차 그리고 버스의 모형 열쇠고리가 가득합니다. 우리나라 지자체의 꼰대 공무원들 머리에서는 절대 나올 수 없는 그런 아이템입니다. 일본의 철덕 버덕들은 이런 굿즈가 있어서 참으로 행복하겠습니다.



여기 버스 양말도 보이네요!


우리나라에선 절대 볼 수 없는 아이템인지라 몇개 사와서 대중교통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한테 선물로 돌릴걸 그랬습니다. 이제와서 후회되네요. 여튼 나가사키에서는 대중교통 역시 기념품 사업에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부분은 제발 좀 본받아 갔음 좋겠습니다.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