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뭐 일주일에 천키로씩 올라가는게 일상이다보니 벌써 엔진오일 교환주기가 다가왔습니다.


일만 삼천키로. 만땅수준으로 보충하고 한 오천키로 더 탔던가요.. 오일 잔량이 바닥 가까이에 가 있습니다. 조금 더 타도 상관은 없겠지만, 매번 그정도 주행하고 가서 교환작업을 했었으니 이번에도 그렇게 용두동 오일마켓으로 가 봅니다.


지난번에 파란색 엔진오일을 주입했었지요. 뭐 첨가제의 영향으로 색이 그렇게 나왔습니다만 우리의 파란 오일은 이미 검은 석탄국물로 변모한 상태랍니다.





이젠 뭐 더이상 설명하자면 입이 아픈 오일마켓..


제 인생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청량리역 그리고 성바오로병원 근처에 있습니다. 뭐 여기서 병원 건물이 보입니다. 병원 얘기는 둘째치고, 서울 근교에 들리거나 할 때 필히 들릴만큼 오일마켓은 오일 교환 비용이 조금 비싸게 느껴지더라도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줍니다.



3월 그리고 8월에 갔었군요. 그리고 11월 말. 올해의 마지막 방문이 되겠습니다.



차량을 리프트 위에 올립니다.


눈이 오고 비가 오고 뭐 일주일 내내 썩 기상상태가 좋지 못했던지라 차도 더럽습니다. 물론 염화칼슘 떡칠이 된 상태가 저도 정말 싫습니다만, 세차를 할만한 기상상태가 아니니 그냥저냥 타고 다닌답니다.


물론 실내도 난장판이자 개판입니다.



오픈흡기 장착차량이다보니 쓰로틀바디에 카본이 정말 더럽게도 많이 낍니다.


매 방문시마다 오픈흡기를 탈거하고 쓰로틀바디에 직접 클리너를 분사해 주십니다. 그냥 차 쭉 올려서 오일 쭉 빼고 내린다음에 신유 넣고 끝내는 오일교환이 아닌 각 차량의 특색을 파악하고 전반적인 차량 관리를 도와주는게 오일마켓의 특색이라면 특색입니다. 암요 그럼요. 요즘에는 지방에도 오일교환 전문점들이 많이 생기는 추세입니다만 그래도 저처럼 지방에서도 방문하는 고객들이 많습니다. 



시동을 걸고 클리너를 분사해 주십니다.


뒤에 가서 배기가스 냄새를 살짝 맏아보면 특유의 역한 냄새와 함께 올라오는군요. 어느정도 공회전이 끝난 뒤 시동을 정지하고 본격적으로 차량을 띄웁니다.



일반적인 빌딩 1층에 입점해있다보니 천장이 그렇게 높진 않습니다.

고로 차량이 아슬아슬하게 올라갑니다.


리프트로 차량을 띄운 상태에서 드레인방식으로 폐유를 제거합니다.



약 일만 삼천키 가까이 주행했던 시커먼 엔진오일..


스위스 모토렉스社에서 생산되어 이역만리 대한민국의 양산형 경차에 들어가다니. 정말 고생이 많았던 오일입니다. 반응이 꽤 무겁고 연비도 와코스에 비해서 조금은 좋지 못했던 편입니다만, 그래도 고속에서 후빨은 상당히 잘 받던 오일이였습니다.



드레인방식으로 어느정도 오일이 다 나왔다 싶으면 석션을 통해 잔유를 배출해 냅니다.


잔유의 인위적인 제거가 호불호가 갈린다면 갈리는 방식이고, 엔진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친다 말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 이곳에서 사용중인 기기는 신유를 다시 그 자리에 주입해주기에 믿고 맏길만 합니다.



겨울철이고 하니 조금 가벼운 오일을 원하니 저기 보이는 둥그런 통에 담긴 오일을 소개해 주시더군요.

이름도 어렵습니다. 베리티 유로 씬스. 일본에서 생산된 오일입니다.


5W30 5W40 그리고 0W20까지.. 세 종류의 오일이 보입니다만, 5W30 세통과 5W40 한통을 섞기로 합니다. 최고급 에스테르기유로 구성된 'Verity EURO SYNTHENCE' 이름도 어려운 이 엔진오일은 과연 어떤 느낌일지요. 정말 궁금하고 또 궁굼합니다.


P.S 우리나라가 일본의 영향을 받아서 그런건지, 아니면 둘 다 영어가 붙으면 뭔가 좀 고급스러워 보이는 느낌이 있어서 그런지.. 어려운 영어 막 가져다 붙이는건 한국이나 일본이나 거기서 거기가 아닐까 싶다..



본격적으로 차량에 주입될 준비를 합니다. 적색에 가까운 약간 진한 갈색 느낌이군요.


오일에서 풍겨져 오는 냄새 역시 좋습니다. 색상도 마치 직접 짠 참기름 색깔이고.. 순간 오일통에 혀를 가져다 댈 뻔 했습니다. 참기름에 밥 비비듯 엔진오일에 밥을 비벼먹고 싶었답니다.


물론 비벼먹었다간 응급실 직행 후 장청소까지 해야겠지요. 아니 이 세상과 작별을 고할수도...

고로 에스테르 기유 특유의 식감을 자극하는 냄새에 끌려 미친짓은 하지 맙시다.



5W30 두 통, 5W40 한 통이 섞였습니다. 그리고 주입은 한순간이더군요. 



이름도 생소한 오일입니다만, 그래도 한번 알아봤습니다.


최신의 DPF장착 디젤 및 GDI, VVT 가솔린 엔진에 적용시 고속 주행시 힘찬 주행 능력 향상과 정숙성 향상에 유리한 100% 합성 엔진오일.


오일마켓 내 상품 설명은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최신의 DPF는 물론 직분사도 아닌 엔진입니다만, 우리의 스파크는 오늘도 호강합니다.


제조사는 일본에서 윤활유와 불연성 스티로폼을 제조하는 산와(SANWA)입니다. 정식 명칭은 삼화화성공업주식회사(三和化成工業株式會社) 대부업체 산와머니와 한자 표기가 같습니다. 본점소재지가 요코하마입니다. 기업 소개 홈페이지 그리고 각 브랜드별 홈페이지가 존재합니다.


산와카세이 주식회사 홈페이지 http://www.sanwakasei.co.jp/

베리티 오일 홈페이지 http://www.verityoil.com/index.html


어느정도 오일이 주입된 이후 코크를 막는 과정입니다. 


코크를 계속 열어두었다간 저 비싼 신유가 폐유통에 폐유와 석여버릴테니 말이지요..



차량을 다시 리프트에서 내려 오일량 체크를 한번 해주십니다. 와셔액도 마저 넣고요..



이제 당분간. 날이 다시 따뜻해지기 전까지는 딱히 올 일이 없을듯 합니다.


아마 내년에 성바오로병원에 내원할 즈음 해서 오지 않을까 싶더군요. 보통 1월에 가긴 합니다만 그렇다면 뭐 중간점검 시기가 될수도 있겠구요. 현재 약 400km정도 주행한 상태입니다만, 자주 사용하는 대역에서는 어느정도 무게감을 가진 상태에서 부드럽고 가볍게 잘 나갑니다. 다만 140km/h 넘어간 이후로 후빨을 잘 받지 못한다면 못한다는게 단점이라면 단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연비도 잘 나오는 분위기이구요.


여튼간에 춥고 고독한 겨울.. 비록 옆자리에 카와이한 처자는 없어도, 카와이한(?) 엔진오일과 함께 나볼까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개인적이라기보단 본인이 현재 운영중인 동호회의 운영자로서의 입장을 밝히는 글이라 블로그에 맞지 않겠습니다만, 블로그에 게시합니다. 


코믹마트라는 행사를 개최한답니다. 7월인지 8월인지 여튼간에 여름에 열렸던 서울코믹월드 행사에 차량을 주차해 놓은 뒤 밥을 먹으러 학여울역 방향으로 내려가던 길에 전단지를 받았던 일이 문득 기억납니다. 그냥저냥 저기도 이타샤 차량이 들어갈 수 있었음 좋겠다 싶었습니다만, 그게 현실이 되었습니다.



서울,부산 코믹월드와 비슷한 성격의 행사인데 2016년 1월 9일 첫 발을 내딛는다 합니다. 


양재동 농수산물유통센터(aT센터)에서 제 1회 행사를 개최하면서 전시를 희망하는 이타샤 차주를 모집한다는 공지가 올라왔네요. 상당히 좋은 조건입니다.


http://www.comicmart.co.kr/xe/board_YteL09/1619


평소 이타샤 차주들이나 공감할법한 요구사항을 전부 다 들어주고, 비용 역시 주최측에서 전액 부담을 해준다 합니다. 주차비 아니 그냥 실내 전시장에 공식적으로 차를 넣어준다는 사실 단 하나만으로도 정말 황송하고 감사한 일이며, 얼마 전 코리아튜닝모터쇼에 참가했던 상황 처럼 참가비를 내고라도 나갈만한 일인데 말이지요.


공지를 확인한 이후, 행사 주최측에 문의겸 전화를 하고.. 전시장소가 한정되어 있다는 소식과 함께 몇대대의 참가가 가능한지를 문의했고, 심사숙고한 뒤 미리 일정수준의 자리를 선점해 두었습니다. 대규모 행사를 기획하고, 흥행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이타샤 차량 초대를 위해 온갖 당근을 준비해둔 정말 좋은 기회에 이것저것 따지고 들어갈게 대체 무엇이 있을지 싶었습니다.


후발주자 입장이라면 을(乙) 아니 병(丙)이 되더라도 자리를 잡아서 이름을 알리고, 장기적인 생존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기회고 중요한 결단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고 보니 이 행사에 대한 소문이 좋지 못하답니다.


개최라도 한번 했던 행사고 운영미숙이 여실히 들어났더라면 모르겠지만, 이제 막 시작하는 행사에 대한 소문이 영 좋지 못한건 사실입니다. 직원의 사적인 논란과 운영 및 관리 미숙으로 벌어진 일들을 뛰어넘어 지금은 그저 까이니 까이는, 모두까기 인형처럼 까이는게 아닐까 싶을 정도입니다. 막상 현재 관련 업계를 독점하고 있는 모 행사 주최측의 횡포가 지나치고 매번 대체할만한 다른 무언가를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면서도 새롭게 도전하는 이들에게 격려해주고 응원해주기 보다는 일단 색안경부터 끼고 바라본다는 사실 자체가 어찌보면 정말 안타깝게 느껴지더군요.


처음에 천여개의 부스를 모집한다던 행사였지만, 현재는 780개의 부스를 모집하는걸 목표로 삼고 있다 합니다. 이 점에서 처음에는 반신반의 했지만 780개의 부스가 들어가고, 이타샤 차량까지 들어가고도 공간이 남는지 계산을 한번 해 보았습니다.



코믹마트측에서 아이러브이타샤 동호회 운영자인 제게 전송해준 도면입니다.

현재 등기관련 업무에 종사중인지라 건물의 전용면적과 관련해서는 상당히 익숙합니다.


이타샤를 위한 공간으로 부스 후열 공간을 내주겠다고 합니다. 가로 길이가 106.6m, 세로 길이가 14.2m라고 합니다. 차량이 약 열대 가까이 전시가 된다고 가정을 한다면 각 차량별 9m 간격으로 배치가 된다고 보면 되겠지요.


이 도면을 믿는게 가능할지 싶어, aT센터 홈페이지에서 제1전시관 도면을 직접 내려받았습니다.



출처는 aT센터 전시장 임대 안내 페이지 (http://atcenter.at.or.kr/contents/acko322100/view.action)


A홀과 B홀 모두를 대관했다고 합니다.


전시장의 면적은 108*33.7=3639.6

도면상 우측에 보이는 조금 튀어나온 다목적실만의 면적은 10.5*14.6=153.3

합계 3792.9 반올림 해서 홈페이지상 전용면적은 다목적실을 포함한 3,793평방미터.


다목적실의 면적을 제외하고 약 천 백평정도의 면적이 나옵니다.


코믹마트측에서 건네준 도면과 면적에서도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럼 이타샤를 위한 공간을 할애하고도 이 행사에서 강조하는 780개의 부스 설치가 가능할까?



출처는 코믹마트 홈페이지의 서클 참가신청 게시판입니다.

(http://www.comicmart.co.kr/xe/board_NqCi20)


원체 논란이 많아 고육지책으로 부스비를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만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sp란 단위가 익숙하지 않은지라, 1sp를 '부스 한 개'라 칭하겠습니다.


부스 한개의 면적은 60cm. 1.2m 책상 하나에 부스 두개가 들어갑니다. 


그리고 코믹마트측에서 건네준 도면을 본다면 두 열이 한 블럭이 되는군요..


블록이 열 세개입니다. 780/13=60


한 블록에 60개의 부스가 입점을 할 수 있다는 이야기고 두 개의 열로 한 블럭이 구성되니

한 열에 부스가 30개, 부스 두 개에 1.2m 테이블 하나씩.. 


한 열은 15개의 테이블로 구성된다 볼 수 있겠군요. 1.2*15 해봐야 18m정도 나옵니다.


차량 전시를 위한 공간 14m 그리고 18m 32m정도 됩니다. 어느정도 오차를 감안하고 이타샤를 위한 세로 넓이를 조금 줄인다면 충분히 공간이 나오고도 남습니다. 주최측에서 추후 신청 상황을 봐서 공간의 여유를 주던지 할 수도 있겠지요. 



일각에서 나오는 몇가지 이야기만으로 뚜껑조차 열어보지 않은 행사를 폄하할 자격은 그 누구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주최측에서 행사의 흥행을 도모하기 위해 자구책을 마련한다는 일은 어찌보면 당연한 사실이 아닐까 싶습니다. 개인주최 행사와 공기업 사기업 하다못해 지자체와 국가기관을 막론하고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흥행과 부흥을 위해 계획을 수정해서라도 성공적인 행사를 만들어 내는게 주최자 입장에서 최선의 선택이지요.


트러블은 있었지만, 이미 독점에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는 바닥에서 새 출발을 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높이 평가를 해 주고 싶습니다. I LOVE ITASHA (아이러브이타샤)는 코믹마트 행사를 적극 지지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