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다반사'에 해당되는 글 1166건

반응형


평화로운 월요일 오후.


퇴근하며 우편함을 들여다 봅니다.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온 편지가 하나 있네요..



나는 딱히 잘못한게 없는데.. 라고 생각하며 우편물을 확인하기로 합니다.


아무래도 지난해 업무용 알뜰폰의 약정이 끝나고 번호이동을 하며 생긴 미환급금이 연초에 확인되어 이런 우편물이 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동안 통신사 미환급금 조회 서비스가 방송을 타고 주목을 받을 때 마다 한번씩 돌려보곤 했습니다만, 환급금이라고는 단 1원도 나오지 않았었지요. 이번에는 생긴듯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CJ헬로로 납부하신 서비스 요금 중 환급금이 있어 다음과 같이 신청방법을 안내드립니다.


그렇습니다. 지난해 2월 KT망을 사용하는 CJ헬로 알뜰폰에서 LG U+망을 사용하는 (주)큰사람 이야기알뜰폰으로 번호이동을 했었습니다. 그 당시 CJ헬로에서 청구되었던 요금이 번호이동 후 사업자인 큰사람에서 함께 청구가 되었는데, 필요 이상으로 더 걷어간 금액인듯 합니다.


여튼 CJ그룹이 2000년대 초반 케이블 방송 사업의 진출을 목적으로 지역 유선방송사를 합병하며 몸집을 불려왔던 CJ헬로비전은 IPTV의 등장과 뉴미디어시대의 시작으로 한계에 봉착하였고, 몸집 불리기에 혈안인 LG그룹의 통신사에 인수되었습니다. 그렇게 2019년 12월 24일. 주주총회를 거쳐 CJ 이름을 떼어내고 LG헬로비전으로 사명이 변경되었지요.


사명이 변경된지 대략 보름가까이 지났습니다만, 아직 안내문에는 CJ 로고가 선명히 박혀있었습니다.



물론 안내된 홈페이지 주소에서 새 사명이 포함된 주소로 변경되었습니다.

http://mobile.lghellovision.net/ 홈페이지 주소가 매우 길어졌습니다.


홈페이지 주소가 매우 길어졌음에도, 헬로모바일 홈페이지는 로고가 바뀐 모습을 제외하고는 거의 그대로입니다. 말이 LG의 통신 계열사지만, KT망과 SKT망을 임차하여 알뜰폰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아마 LG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된 이상 KT와 SKT망을 이용하는 요금제보다 훨씬 더 저렴한 상품이 탄생하지 않을까 기대가 되긴 합니다.


여튼 홈페이지 우측 하단에 보이는 '미환급금 조회/신청' 카테고리를 클릭합니다.


유선상품의 경우 엘지헬로비전 홈페이지(http://www.lghellovision.net/) 최하단에 미환급금 조회 카테고리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처음에 유선상품용 홈페이지에서 조회했더니만 아무것도 나오지 않아 모바일 페이지로 이동했었습니다.




간단한 본인인증으로 미환급금의 조회 및 신청이 가능합니다.


선납 또는 과납한 금액이나 공시지원금 부가세 과다 과금액을 돌려준다고 합니다. 거기에 비록 작은 돈이겠지만 그동안의 이자까지 계산하여 지급한다고 하네요. 물론 큰 돈이 아닌지라 이자가 눈에 띌 수준은 아니겠습니다만, 1원의 이자라도 붙어있겠지요. 제게는 1원도 소중합니다.




제 몫으로 남아있는 미환급금은 1332원.


환급 은행과 계좌 연락처를 입력하고 신청버튼을 누르면 매우 간단한 신청절차가 완료됩니다. 뭐 큰 돈이 남아있으리라 기대하진 않았지만, 기대보다 훨씬 적었기에 약간 실망하기는 했었네요. 그럼에도 과자 하나 먹을 수 있는 그런 돈입니다. 그저 받아도 그만 안받아도 그만인 돈이라지만 제게는 소중합니다.




그렇게 환급 신청을 마쳤습니다. 과도하게 청구된 부가세 환급금이라고 합니다.


지난 월요일에 접수했고, 화요일 오후 2시 13분에 소정의 이자가 포함된 1485원이 입금되었습니다. 그리 큰 돈은 아니지만 그래도 과자 한봉지 값은 벌었으니 기분은 정말 좋네요. 통신3사의 유/무선 상품의 미환급금은 통신사업자연합회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https://www.smartchoice.or.kr/)에서도 일괄 확인이 가능합니다.


알뜰폰의 경우 이렇게 안내우편물이 오거나, 각 통신사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여튼 그렇습니다. CJ시절에 냈던 돈을 회사의 주인이 LG로 바뀌고 소정의 이자까지 더해져 받았습니다. 기분은 좋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비가 내리던 오후의 홍성역.


기차에서 하차하여 역을 지나 걸어가던 중 눈에 띄던 택시가 한 대 보였습니다. 신형 그랜져 택시도 하나 둘 보이기 시작하는데 출시된지 조금 지난 K7 프리미어 택시가 뭔 대수냐 싶겠습니다만, 임시번호판을 달고 손님을 맞이하고 있기에 촬영을 해 보았습니다.



1세대 K7이 출시된지 얼마 지나지 않았던 시기에 온양터미널 앞에 세워진 K7 택시를 신기하게 보고 사진을 촬영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2002년 포텐샤의 단종 이후 기아자동차의 준대형 택시 계보는 당시 기함이던 오피러스와 옵티마의 고급형 모델인 리갈이 이어받았고, 현재는 K9의 택시전용 모델 출시 없이 K7 택시가 기아자동차에서 판매하는 택시 모델 중 가장 고급형 모델이지요.



검정색. 18인치휠. 마치 입을 벌린 상어를 연상케 하는 역동적인 그릴과 레이더.

그러고 보니 택시 전용모델이 아닌듯 보입니다(??)


K7 프리미어의 택시모델은 18인치 휠을 선택 할 수 없습니다. 그냥 밋밋한 17인치 휠이 적용되곤 하는데, 18인치 휠에 드라이브와이즈가 적용된 모습이네요. 아마 조건에 충족하여 장애인용 모델을 출고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장애우용이나 일반 휘발유 차량을 개조하여 쓰는 경우도 종종 있지만, 임시번호판이 달린 차량을. 그것도 택시 전용 모델이 나오는 차량을 막상 따지고 보니 택시용 모델이 아니라는 사실에 당황스럽네요. 여튼 영업을 위한 준비는 모두 끝난듯 보였습니다. 머지 않은 시일 내에 노란색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하고 다니겠지요.


기사님과 일면식도 없는 사이입니다만, 따끈따끈한 2020년식 신차 출고 축하드리고 대차하는 그날까지 안전운행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