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뭐 제 인생이 풀리는 일이 있냐 싶다만은, 킥보드를 타고 가다 사고가 났습니다.


한 면소재지를 지나며 갓길을 타고 달리고 있었는데, 저를 추월해서 나갔던 승용차가 상가 방향으로 우회전을 하면서 결국 그 차의 조수석 뒷문과 충돌하였고 킥보드는 차체 아래로 들어가 차량에 깔려버렸습니다.



SM6 뒷바퀴에 깔린 킥보드의 모습입니다.

뒷문짝은 판금이 불가할 정도로 움푹 들어갔고요.


그렇습니다. 반사적으로 차를 피해 안쪽으로 들어가다가 차량과 충돌한 뒤 킥보드는 차 밑으로 깔려들어갔습니다. 저는 오른쪽 어깨와 팔뚝으로 차량과 추돌한 뒤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 자세로 굴러떨어졌네요.


핸드폰 거치대는 따로 떨어져 나왔고, 킥보드 핸들은 그대로 밟혀있습니다. 넘어진 자리에서 일어나서 본 상황은 대충 이랬습니다. 그래도 머리는 다치지 않았습니다. 일단 차를 빼고 사고처리를 진행합니다. 자동차 아니 하다못해 오토바이만 하더라도 책임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법으로 강제하고 있습니다만, 킥보드는 그런류의 보험도 단체보험 말곤 없고 그마저도 신차 출고시 1년말고는 보장을 받을 방법이 없습니다.


결론은 과실에 따라 상대 차량 수리비용을 현금으로 지불해야 한다는 얘기겠지요.



차가 깔고 지나간 자리의 킥보드는 일단 그대로 유지시켜놓습니다.


핸들을 밟고 지나간 이상 핸들에 달린 핵심부품들은 다 아작났을테고, 견적을 내도 뭐 신차에 준하는 견적이 나올 것 같습니다. 수리비 비싼 삼성차를 들이받은 사람이 할 걱정은 아니지만, 뭐 여튼 그렇습니다.


일단 어깨로 차체와 충돌했고 굴러떨어지면서 손바닥과 팔꿈치에는 타박상을 입었고, 팔을 몸 안쪽으로 굽히며 당장은 아녔지만 시간이 조금씩 지나니 갈비뼈를 건드려 늑골에 통증이 옵니다. 



SM6 문짝은 꽤나 심하게 들어갔습니다.


사이드스텝 몰딩과 문짝 그리고 상단의 크롬몰딩까지 총 세판이 파손되었네요. 여러모로 수리비가 비싼 삼성차라 수리비 걱정도 하고 있습니다. 여튼 보험사 출동직원이 와서 대인 및 대물 접수를 하고 택시를 타고 차를 찾아 집 근처 병원으로 향했습니다.


X-RAY를 촬영하고, 타박상을 입은 자리에는 드레싱을 했습니다. 당장 소견상에 보이는 골절은 없어보이네요. 늑골의 경우 숨을 쉬다가 뼈에 금이 간 모습이 보일 수 있으니 며칠 더 지켜봐야 한다고 합니다. 


여러모로 일상배상책임보험으로 처리가 된다면 좋겠습니다만, 일상배상책임보험은 무동력장치에 한해 활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자전거나 일반 킥보드를 타고 가다가 타인과 사고나 났다면 모를까 전기자전거나 전동킥보드는 원동기이다보니 해당이 없다고 하네요. 여러모로 일도 없는데 힘들게 되었습니다.


뭐 보험사끼리 싸우는것도 아니고 보험사와 개인이 서로 따져봐야 개인의 힘이 얼마나 있겠습니까. 요즘 풀리는 일도 없고 되는일도 없는데 암담하기만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9일차 이야기입니다.


모처럼만에 화창한 토요일을 맞이했습니다. 교육도 얼추 절반 이상 받았고, 날은 점점 더워지고 있습니다. 9일차 교육부터는 변화가 있었는데, 기존에 지도를 해주시던 강사님께서 교육으로 인해 앞으로 뵙기 어려워졌고 주말에 쉬고 계시던 다른 강사님께서 교육을 도맏아 하시게 되었습니다. 


거기에 교육기간의 절반이 지나면서 역순으로 크레인에 올라타게 되었네요. 그동안 일찍 타고 일찍 집에 갈 수 있어서 기뻤습니다만, 앞으로는 번호가 늦다보니 거의 마지막에나 탑승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날부터 지게차 교육 수강생이 시작되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강의실 대신 타워크레인 교육 시절 듣던 강의실로 들어왔습니다.


그렇게 대기실 겸 강의실을 옮겨왔네요. 물론 이쪽 강의실이 환경이 훨씬 더 좋긴 합니다. 9일차부터 느지막에 타게 된 상황이다보니 아침부터 방통대 강의를 보고 끊김없이 공부를 할 수 있는 부분도 좋긴 하네요.



그렇게 탑승을 위해 강의실 밖으로 나왔습니다.


천막 아래 그늘에서 대기합니다. 전반적으로 지난주보다는 주변 환경이 정리가 된 느낌입니다. 주변 공사도 어느정도 마무리 되는 느낌이고 다음주에 온다면 더욱 달라진 분위기에서 실습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게 크레인에 탑승합니다.


매번 아침에 타다가 정오가 지난 시간에 탑승하니 뭔가 다른 느낌이네요. 그래도 이제는 얼추 적응해서 동작을 혼동하거나 미숙한 운행으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벽을 긁어내면서 미니굴삭기를 넣어두던 토굴 역시 사라졌습니다.


타워크레인 시험을 볼 때 벽에 화물이 닿아 실격당했는데, 그런 일은 앞으로 발생하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나저나 6월 시험은 꼭 객기부리지 말고 붙어야죠.  운행과정은 이전과 거의 동일했습니다만, 크레인 내부에 새로운 물건이 생겼습니다.



타이머가 생겼습니다.


자석형 타이머로 기중작업실 벽에 붙어있습니다. '분' 버튼과 '초' 버튼을 함께 누르면 초기화가 됩니다. 초창기 구분동작으로 연습하던 시기에 시간을 측정했고, 이후 연속동작을 배운지 얼마 지나지 않아 한번 더 측정했었는데 두번 다 제한시간 내에 운행을 마치지 못했습니다.


그 이후로는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시간을 의식하며 자꾸 실수를 하다보니 시간을 측정하지 않았고요. 이제 어느정도 기중작업에 익숙해졌다는 생각이 드니 오랜만에 시간을 측정하기로 합니다.



오전에 4회, 오후에 4회 그리고 마지막에 2회를 탑승하였습니다.

모든 운행 과정에서 시간을 측정하지는 않았고, 오전에 2회 오후에 2회 총 4회의 시간을 측정하였습니다.


오전 2회차 기중작업을 완료한 시간은 2분 52초. 준수합니다. 제한시간이 3분 15초임을 생각한다면 안정권입니다. 다만 시간을 측정하다보니 뭔가 시간을 줄여보겠다는 욕구가 생깁니다. 그래서 악셀을 좀 더 밟고 시간을 줄여봅니다.



오전 4회차 기중작업. 2분 43초.


시간이 대략 10초 가까이 줄었습니다. 악셀페달은 조금 세게 밟았더니 10초가 줄었네요. 충분한 시간이지만 타이머가 켜진 이상 시간을 어디까지 줄일 수 있는지 해보고싶다는 목표가 생겨났습니다.


오후 2회차 기중작업 2분 35초.


악셀을 사정없이 밟고 작업했습니다. 돌릴때도 악셀을 밟고 돌립니다. 다행히 후리가 크게 생기지는 않았으며, 시간 줄이기에 자신감이 붙었습니다.



오후 4회차 기중작업. 리셋을 하지 않았는데, 5분 2초에서 2분 35초를 빼고 남은 시간은 2분 27초.


2분 20초대에도 진입합니다. 진짜 사정없이 풀악셀 땡겨가며 작업을 하니 거의 1분 가까운 시간의 여유를 두고 들어오기도 하네요. 아 물론 여기까지. 강사님께서 너무 빨리 들어와도 좋지 않다고 하시네요. 실제 현장에서는 크레인이 기중작업중에 속도를 내는 일이 없습니다. 너무 빠르다고 실격당하는건 아니지만 RPM이 높아지면 검정원들이 좀 더 유심히 들여보게 되고 감점 사유가 있을 수 있다고 하네요.


강사님 말씀을 들은 뒤 RPM은 적당히 올리기로 합니다. 어짜피 터보차저도 없는 디젤엔진인데 RPM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토크밴드를 벗어난다고 출력이 눈에 보이는 수준으로 높아지지 않으니 말입니다. 그렇게 남은 2회는 살살 운행했습니다.


그렇게 매주 새로운 무언가를 알아갑니다. 10부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