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喪)을 치루고 수영장에 다녀 오는 길에 세차장에 들렸습니다.


보름 넘게 쏟아지던 비가 내일은 내리지 않는다고 하네요. 그런고로 차량 실내도 매우 더럽고 하니 세차를 하고 집에 들어가기로 합니다. 그동안 차에 사람을 태울 일이 없어 걍 쓰레기고 짐이고 아무곳에나 던져놓고 다녔지만, 막상 며칠 사람이 타다보니 그게 좀 불편하게 느껴지긴 하더군요.



근 한달 가까이 묵어있는 때를 불리고 벗겨냅니다.


폼건을 뿌리고 살살 미트질을 해줍니다. 휠도 닦아주고요. 곧 일반보증기간의 만료를 앞두고 있습니다. 빨리 수리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수리를 하고 봐야합니다. 대략 500km만 더 타면 이제 제 돈을 주고 교체하거나 그냥 인내하고 타야하는 부분이니 말이죠.


실내세차까지 마치고. 지난 토요일에 대형마트에서 구입했던 틈새쿠션(크랙쿠션)을 장착하기로 합니다.



브론즈 사이드 크랙쿠션. 틈새쿠션 혹은 틈새커버라고도 부르는 물건입니다.


개인적으로 매우 조잡해보여서 썩 좋아하지 않던 물건이지만, 핸드폰이 정말 꺼내기도 힘든 공간으로 자주 빠지다 보니 짜증이 나서 마트에서 판매중인 이 물건을 집어왔습니다. 두개 해서 9,900원에 판매중이더군요. 조금 비싼 감은 없지 않지만, 내내 인터넷 최저가를 선택하고 배송비를 내도 사실상 비슷한 가격이니 그냥 감내하기로 합시다.



포장을 뜯어봅니다. 마치 BMW의 고성능 브랜드 M을 연상시키는 스티치가 들어가 있네요.


시트와 콘솔 사이 틈으로 들어가면 보이지 않을 부분인데 왜 저기 스티치를 박아놓았는지 모르겠네요. 차라리 저런 데코레이션 대신 가격을 조금 낮췄으면 어떨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못해도 몇백원은 저렴해질텐데요.



그냥 길쭉한 쿠션처럼 보여도, 안전벨트 버클이 들어갈 자리엔 구멍이 나 있습니다.


안전벨트 버클을 이 구멍으로 집어넣고 시트와 콘솔박스 틈새 사이로 꾹꾹 눌러 집어넣어주면 매우 간단한 설치작업이 끝납니다. 딱히 설치라 할 것도 없습니다. 그냥 시트와 콘솔 사이에 꾹 눌러 넣어 줄 힘만 필요합니다.



아 생각보다 삼각떼의 시트와 콘솔 사이 공간은 좁은편이네요.


경차나 SUV들이 아마 넓지 않을까 싶습니다. 생각만큼 잘 들어가지 않습니다. 이렇게 조잡해보이는 모습이 싫어서 이런 크랙쿠션을 사용하지 않으려 했습니다만, 핸드폰이 빠져서 그걸 찾기 위해 지랄발광을 하는 것 보다야 훨씬 낫다고 느껴지니 결국 장착을 하게 되었습니다. 



운전석으로 향합니다. 


조수석이야 따로 걸리는 부분이 없지만, 운전석쪽으로는 사이드브레이크 레버가 걸립니다. 뭐 오토차량이라 수동처럼 활용빈도가 높지 않아 한달에 한두번 언덕이 아닌 이상 올릴까 말까 합니다만, 그래도 걸리작거리는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합니다.



꾹꾹 눌러 집어넣습니다.


뭐 싸구려틱한 레자가죽 시트에 레자가죽으로 덮인 크랙쿠션이라 위화감 없이 잘 맞습니다만, 사이드브레이크를 사용 할 때는 조금 불편하게 생겼습니다. 여튼 써보고 정 불편하고 보기 싫으면 다시 걷어다가 마티즈에 가져다 달던지 해야겠습니다.


당장은 핸드폰이 시트 틈으로 빠지고 그걸 찾는 일이 짜증이 나 구매했지만, 오래 가진 않을 느낌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 8월 9일 일요일 오후. 외조부께서 갑작스레 96세의 일기로 별세하셨습니다.


올해 초 골절로 거동이 불편해지셔서 요양병원에 들어가셨는데 아무도 임종을 지키지 못했다 하고, 갑작스러운 소식에 다행스럽게도 월요일 스케쥴을 잡아놓지 않아 일단 어머니와 둘이 급히 논산으로 내려갔습니다. 여러모로 거리도 있고 해서 소식을 알리지는 않았지만, 평소 정정하신 축에 속하셔서 100세는 무리 없으실 것 같이 느껴지던 외조부께서 갑작스레 소천하셨던 일은 큰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느지막에 일가친척들이 다 모였고 먼 거리임에도 동네 친구와 동생이 조문을 오기도 했었습니다. 사실상 조문만 다녀봤지 직접적으로는 나이 먹고 처음으로 겪는 일인지라 여러모로 낯설게도 느껴졌고 외조부의 명복을 빌며 동시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틀동안 거의 조문객들에게 음식을 나르고 상을 치우는 일을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첫날은 저녁 늦게 빈소가 마련되어 손님이 많지 않았지만, 둘째날은 손님이 정신없이 들이닥치더군요. 실수도 하긴 했지만 다행히 문제 없이 마무리 지었습니다.



셋째날. 장례식장에서 발인하여 운구버스를 타고 장지인 외가 선산으로 향했습니다.


비가 막 쏟아집니다. 굴삭기가 동원되어 묘자리를 정리합니다. 손자들이 상여를 매고 장지까지 올라갑니다. 저도 상여를 매고 장지까지 이동했고, 절차에 따라 묘를 만드는 모습을 지켜보고 제사를 지내고 왔습니다. 근래들어 많이 간소화되었다고 해도 장례 절차는 많이 복잡하고, 장례를 치룬 사람들에게 모두 고생했다는 인사를 하는 이유를 알게 되었네요.



모든 절차를 마치고 집에 왔습니다. 

구두는 미리 운동화로 갈아신었고, 정장바지는 흙범벅이네요.


다들 멀리서 모인지라 삼우제까지 당일날 지낸다고 하더군요. 다행히 미친듯이 내리던 비는 중간에 그쳤고, 비가 내리지 않는 환경에서 무사히 제를 드리고 올 수 있었습니다. 동생을 논산역에 내려주고 저도 오후 늦게 일정이 있는지라 먼저 집에 올라왔습니다.


친조부는 제가 태어나기 한참 전 돌아가셨고, 외조모는 제가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열흘도 지나지 않아 돌아가셔서 당시 저는 친척들 집을 전전하며 학교에 다녔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언젠가는 겪겠지 싶었던 일을 막상 겪고 나니 직접적으로 부친상을 당한 모친보다는 아니겠지만 힘들더군요. 여러모로 7남매 중 막내딸의 아들이지만 제 자신이 누가 되지 않도록 열심히 임했고 명복을 빌었습니다.


내일부터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영면하신 외조부의 명복을 빕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