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터2'에 해당되는 글 11건

반응형

 

적폐 4등급. 조기폐차라 쓰고 적폐청산이라 읽는 행위로 차익실현을 위해 가져왔으나 지금은 최고의 다이어트 수단이자 거지새끼의 용돈벌이 폐지수집에 사용되고 있는 포터의 이야기입니다.

 

지난해 1월에 19.6만 km의 포터를 가져왔었는데, 벌써 21만 km를 넘겼습니다.

 

 

포터2 주행거리 200,000km 돌파 기념 엔진오일 교체

맨날 억까나 당하는 최신형 미국산 대우 전기차보다 훨씬 더 정이 가는 적폐 4등급 칠성사이다 포터. 지난 1월에 19.6만 km를 탄 차량을 가져와서 20만 km의 벽을 넘어섰습니다. 차가 크게 속 썩이

www.tisdory.com

 

지난해 5월에 적산거리 20만km를 넘겼으니 1년에 1만 km 하고 조금 더 타는 수준으로 보이네요. 처음에는 차익 실현을 위해 가져와서 얼마 타지 않으리라 생각했었는데 나름 폐지 줍기 다이어트에 재미를 붙이며 생각보단 많이 타고 있습니다.

 

209999

 

적산거리 위에 보이는 시계상으로 딱 오후 2시에 209,999km가 찍혀있네요.

 

조금 더 달려서 21만km의 벽을 넘겼습니다.

 

210000

 

210000

 

그렇게 적산거리 210000이 찍혀있는 모습을 사진으로 담았습니다. 매일 억까나 당하는 미국산 대우 전기차와 달리 이 포터는 크게 속썩이는 문제도 없고 오히려 돈을 벌어다 주고 있으니 효자가 아닐 수 없습니다. 앞으로도 이렇게 천년만년 큰 탈 없이 타 보자구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번 발판 교체 역시 신형개조 작업의 선행작업의 성격이 어느 정도 있긴 했습니다만, 칠성사이다 포터의 신형개조를 추진한다는 얘기를 듣고 친구가 신형 본넷을 지파츠에서 구입하여 보내줬습니다. 부품을 수령하고 막상 본넷을 교체한 뒤 겉칠이라도 올리고 신형 라이트와 신형 범퍼를 장착하여 완전한 신형 개조를 하려 했습니다만, 애초에 힌지도 먹어있고 차체가 먹어있는 상태라 새로 교체한 본넷도 유격이 생기는 탓에 결국 포기했습니다.

 

뭐 여튼 무교환인 기존 구형 본넷을 탈거하고 새 본넷을 끼우면서까지 신형 개조의 열망을 보였습니다만, 아쉽게도 포기하게 되었습니다. 그런 아쉬운 마음을 담아 본넷 교체 과정을 포스팅으로 남겨봅니다.

 

2024.08.0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포터2 뒷 발판 교체 및 에어탱크 제거

 

포터2 뒷 발판 교체 및 에어탱크 제거

전에 언젠가 진흙탕에 빠져서 큰 차로 잡아당겨서 빼냈었는데 번호판 아래 발판이 휘며 조금 위로 올라왔습니다. 번호판이 보여서 그냥저냥 다녔는데 어떤 깨시민이 또 신고를 해서 귀찮게 하

www.tisdory.com

 

포터와 포터 본넷

 

포터2(HR)는 2004년부터 현재까지 부분변경과 규제대응만 거치며 판매중인 차량입니다.

 

현대의 기아 인수 이전까지는 나름 포터와 봉고가 광고도 내보내고 서로 자신들의 차량이 힘이 좋다고 홍보해대고 풀체인지급 부분변경의 주기도 상당히 짧았습니다만, IMF를 거치며 현대가 기아를 인수하여 사실상 계열사가 된 이후 출시된 포터2와 봉고3는 경쟁의 필요성이 사라졌으니 20년째 큰 변화 없이 판매중입니다.

 

20년간의 변화가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당장 초기형으로 분류되는 이 칠성사이다 포터를 지금 나오는 최신형 포터로 개조하는 것이 판금이나 휀다의 교체 없이 범퍼 라이트 본넷만 교체하면 되는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것이 반증이겠죠.

 

현행 포터의 본넷과 범퍼는 2012년 유로5 대응 133마력 모델의 출시와 함께 사용되기 시작했던 부품들입니다. 이후 헤드램프의 디자인 변경을 제외하곤 외관상 변화는 없었으니 현행모델의 범퍼와 본넷도 10년 넘게 우려먹고 있다고 보면 되겠지요.

 

본넷 탈거

 

본넷을 열고 10mm 볼트를 풀어줍니다.

 

무교환으로 16년을 버텨왔던 본넷의 볼트를 풀어줍니다. 약간 유격이 생겨 운전석 헤드램프에 간섭이 있었던지라 새 본넷으로 교체하면 조금 더 나아지겠지라는 생각으로 무교환차를 교환차로 만들어 버립니다.

 

신형 본넷과 구형 본넷

 

위는 신형 본넷 아래는 구형 본넷입니다.

 

구형 본넷은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적용되었고 신형 본넷은 2012년부터 현행 모델까지 적용되고 있습니다. 현대 엠블럼이 확연히 작아졌고 본넷에 불필요한 라인도 상당히 단순화되었습니다. 조립은 분해의 역순인지라 그대로 볼트를 끼워줬습니다만...

 

제치보다 더 안 맞는다

 

제치보다 더 맞지 않네요...

그래도 위화감 없이 잘 맞는 느낌입니다.

 

막상 본넷을 뜯어보니 힌지의 위치가 다르더군요. 아마 언젠가의 사고 충격으로 안쪽까지 먹었는데 제대로 펴지 않고 대충 라이트만 교체하고 범퍼만 교체해서 타던 상황이 아녔나 생각됩니다. 위화감은 없는데 와구는 더 맞지 않고 본넷을 열면 번호판 가드에 닿아버리네요. 신형개조 전에 먹은 부위부터 펴내야 하는 상황인데 그럴거면 그냥 타자는 생각에 신형개조를 포기해버렸습니다.

 

뭐 여튼 그렇습니다. 위화감 없는 신형 본넷으로 열심히 돌아다녀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