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폐지를 줍고 다니는 거지도태남의 소중한 생계형 자동차인 2008년 10월식 126마력 칠성사이다 포터 2.

 

적당히 굴리다 조기폐차나 보내야지 하고 들고왔던 적폐 4등급 노후경유차지만 기대하지 않았던 작년 검사도 거뜬히 한 번에 통과했고, 소소하게 돈이 들어가긴 하지만 큰돈은 들어가지 않는 정말 효자 같은 차량입니다. 매번 억까나 당하고 고라니나 자석처럼 붙어대는 미국산 대우 전기차보다 어쩌면 정이 더 가는 차일지도 모르겠네요.

 

며칠 전 평소처럼 차량 시동을 걸고 차 옆에 서있었는데 배기가스 냄새가 나더군요. 뭔가 하고 살펴보니 머플러 파이프가 부식되어 덜렁거리고 중통 뒤에서 바로 배출가스가 발산되고 있었습니다. 중통과 엔드 파이프도 이전 차주 시절에 한 번 교체된 느낌이었는데, 중통은 그래도 멀쩡했지만 엔드 파이프가 부식되어 떨어져서 행거에만 걸려있었습니다.

 

파이프 부식

 

포터 고질병이라고 합니다. 

중통과 후단 파이프를 연결하는 부위에서 주로 부식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저기가 터지면 곧 중통 끝부분도 터질거라 하는데 아직 멀쩡해서 일단 후단 파이프만 교체하고 타기로 합니다. 폐지줍는 거지도태남이 무슨 돈이 있겠습니까. 나중에 중통 터지면 그때 가서 중통만 교체하던지 하지요. 여튼 검사기간이 도래하여 어차피 검사도 받아야 하는 마당에 일단 멀쩡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단 근처에 고정적으로 파지를 가져오는 대형차 공업사에 가기 전 포터 봉고 전문 정비소인 유림모터스에 가서 상태를 보여주고 미리 비품을 주문해 달라고 사장님께 부탁드렸습니다. 그리고 파지를 싣고 와서 바로 리프트로 차량을 올립니다.

 

유림모터스

 

한 때 손님의 대부분이 현대제철 협력사의 포터와 봉고들이었지만 지금은 승용차 비중이 늘은 유림모터스.

 

바로 차를 입고시키고 작업을 시작합니다. 이미 부러진 기존 머플러 파이프는 쉽게 탈거되는데, 중통과 엔드파이프를 이어주는 볼트를 푸는 행위가 가장 어렵습니다.

 

 

비품

 

저렴한 비품을 사용합니다. 현대 품번은 28730-4F020

 

포터2도 초기형은 중통과 엔드 파이프가 일체형이었다고 하네요. 126마력부터 중통과 후파이프가 분리되어 나왔고 이후 133마력 모델에 가서 또 형상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차량번호 혹은 차대번호를 확인하고 주문해야 내 차에 맞는 부속품을 살 수 있습니다.

 

영롱한 파이프

 

역시 새 파이프는 영롱한 은빛을 뽐내고 있습니다.

 

부품집에서 약간 먼지가 묻어서 오긴 했는데, 그럼에도 영롱한 자태를 뽐내고 있는 파이프입니다.

 

포터2 신형 후P

 

누리정공에서 제조한 제품입니다.

 

누리정공 누리킴스 머플러 등등 부르는 이름은 다양합니다만, 비품 머플러로 꽤나 유명한 회사입니다. 품질은 현대 정품대비 조금 떨어질지 몰라도 몇년은 충분히 버틸테니 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거 같습니다.

 

탈거된 파이프

 

이것도 그리 많이 썩지 않았고 중간에 전 차주가 한 번 교체했던것처럼 보입니다만..

 

그럼에도 고질적인 연결부 부식으로 결국 교체당하게 됩니다.

 

보드가 쩔었다.

 

중통과 엔드파이프를 연결해줬던 기존 보드는 다 쩔어서 풀리지도 않습니다.

 

결국 산소를 대서 다 풀어냈습니다. 다 풀어내고 삭아버린 기존 가스켓까지 다 긁어낸 뒤 새 마후라 파이프를 끼워줍니다. 새 가스켓과 새 파이프를 끼우고 너트를 체결하려 하니 나사 산이 야마나서 또 나사산도 만들어주고 여러모로 귀찮은 작업이 되었습니다.

 

귀찮은 작업이 되었어도 잘 해주셨다.

 

다시 야마를 내고 너트를 체결한 뒤 차량을 내려 시동을 걸어줍니다.

 

저는 옆에서 이 카센터 한 구석에 쌓여있는 박스나 챙겨간다고 열심히 박스를 정리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와중 작업이 다 끝났네요.

 

장착된 새 머플러 파이프

 

파이프공장에서 생산하며 기재된 규격까지 그대로 나와있네요.

 

기성 파이프를 이리저리 구부려서 만드는게 이 머플러 파이프인데 제 포터에 장착한 이 머플러 후단 파이프가 만들어진 부분에 적혀있을 뿐이지요.

 

밤에봐도 빛난다

 

밤에 봐도 파이프만 빛나고 있습니다.

 

그렇게 8만원을 결제하고 돌아왔습니다. 조만간 검사도 받아야 하니 슬슬 검사 준비도 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거지도태남의 생계형 폐지수집 포터.

 

얼마 전부터 전륜 브레이크 패드가 다 된 건지 끽끽 소리가 나더군요. 바빠서 시간도 없고 그냥저냥 버티다 결국 지난주에 여유가 생겨 차를 몰고 포터 봉고 전문이라 봐도 무방한 유림모터스에 들어갔습니다. 카센터에 가는 길에 우측 방향지시등의 속도가 상당히 빨라졌기에 전구가 나갔다고 생각했더니만... 빠져있더군요. 결국 가서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로터 그리고 우측 후미등까지 비품으로 구입하여 교체하였습니다.

 

그러고 보니 작년에 뒷 드럼 라이닝은 교체했었죠. 이번에 전륜 패드까지 교체했으니 제가 가져와서 전후륜 모두 교체하게 되었네요.

 

 

포터2 후륜 슈 라이닝 교체 및 허브베어링 구리스 작업

거지 도태남이라 폐지를 줍고 다니는 칠성사이다 포터의 이야기입니다. 얼마 전부터 브레이크를 잡으면 간헐적으로 페달이 푹 들어가며 무언가가 탁탁 걸리고 요란한 소리가 납니다. 분명 무언

www.tisdory.com

 

빠져도망간 후미등

 

따로 건드리지도 않았는데.. 이게 왜 떨어져 나갔는지는 저도 모릅니다.

 

정비소에 오기 불과 10여분 전만 하더라도 멀쩡하게 붙어있었는데 오는 길에 떨어졌으리라 추정됩니다. 볼트도 삭아있고 일부는 부러진 지 꽤 오래된 흔적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언제 떨어져도 이상하지 않았을 상태라고 하네요. 온 김에 비품으로 주문하여 교체합니다.

 

패드 디스크 탈거

 

일단 전륜 패드와 디스크를 탈거합니다. 쩔어서 탈거에 힘든 볼트까지 다 풀고 허브까지 뜯어냈네요.

 

패드는 이미 다 닳아서 디스크를 긁고 있던 상황이라고 하더군요. 좀 더 탔다가는 그냥 꼽았을 거라 합니다.

 

갉아먹은 디스크

 

다 닳은 패드로 갉아먹은 디스크로터입니다.

 

긁힌 자국이 선명합니다. 21만km를 타며 중간에 한 번 교체했었는지 아니면 신차 출고 당시부터 지금까지 17년의 세월을 버텨왔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제 놓아주기로 합니다.

 

다 닳은 패드

 

다 닳은 패드의 상태입니다.

 

처참합니다. 열심히 쇠를 긁고 있었네요. 패드도 중간에 한 번 교체했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다행히 캘리퍼가 고착이 된 상태는 아니라 둘 다 균일하게 닳아서 디스크를 파먹고 있었습니다.

 

부품 도착

 

비품 디스크로터와 역시 비품인 상신 하이큐 패드로 장착합니다.

 

원체 포터와 봉고가 많이 들어오는 곳이라 패드는 여분이 있어서 먼저 뜯어서 썼고 새로 주문한 물건은 재고로 놔두시더군요. 탈착이 쩔어붙은 보드가 많아서 힘들었지 장착은 금방입니다.

 

비품 후미등 교체

 

함께 주문한 비품 후미등으로 새 후미등도 달아줬습니다.

 

정품대비 아주 약간 저렴합니다. 좀만 일찍 왔더라면 며칠 전에 입고된 다른 포터 아저씨가 좌측은 완전히 깨졌고 우측은 커버에 살짝 금이 갔는데 교체해 달라고 해서 탈거해 놨던 물건이 있었는데 이날 낮에 폐기물업체 차량이 와서 싹 다 폐기물로 보내버렸다고 하더군요. 살짝 금만 갔지 사용에 문제가 없던 그거라도 주워서 달았더라면 조금이라도 아낄 수 있었는데 아쉽습니다.

 

25만원 결제

 

그렇게 25만원을 결제하고 사장님과 이야기를 나누다 퇴각합니다.

 

6월에 유림모터스에서만 티코 에어컨 및 엔진오일 교체와 포터 브레이크 작업으로 50만 원 정도 썼네요. 큰 차도 이거 저거 고친다고 돈 많이 썼는데 정비비용으로만 큰 차 작은 차 구분 없이 300만 원은 쓴 기분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