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톤 차량의 가변축(3축)에 장착되는 385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정확한 규격은 385/65R22.5 덤프트럭이나 복륜이 아닌 단륜 형태로 된 트레일러 샤시에 주로 사용되는 규격의 타이어입니다. 흔히 사용되는 12R 22.5 사이즈의 타이어 대비 훨씬더 크고 두껍고 철심도 더 많이 들어가는지라 당연히 가격도 더 비쌉니다. 미쉐린 같은 고급 수입품의 경우 60만원대 후반 70만원대의 가격을 호가하고, 중국산도 30만원대는 요즘 찾아보기 어렵더군요.

 

제 차의 경우 중량짐이 실릴 경우 보조하는 가변축에 장착되는지라 평소에는 축이 상승된 상태로 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고로 일반 타이어에 비해 마모되는 속도가 느리고 보통 40만km 전후로 교체하게 됩니다. 다만 저의 경우는 차량 운용 초창기에 자동축의 이상으로 가변축이 올라가지 않아 타이어를 파먹은 흔적이 있어 상대적으로 빨리 다 닳아버려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겸사겸사 지난 4월에 교체했던 5축 타이어 두 짝 역시 조금 이르지만 들어간 김에 교체해줬습니다.

 

 

프리마 25t 카고 펑크수리 및 5축 타이어 2본 교체

며칠전에 4축 타이어에 반생이가 박혀 펑크가 났기에 거의 다 닳은 5축 타이어를 교체해줬습니다. 지난해 5월에 중국산 타이어 네 짝을 끼웠었는데.. 프리마 카고 5축 타이어 교체 - 중국산 12R 22.5

www.tisdory.com

 

교체작업 시작

 

3축 타이어의 상태가 좋지 않았어도 그래도 여름은 버틸 수 있지 않을까 싶었지만 철심이 보이더군요.

 

철심이 보이는 모습을 보고 바로 신품 타이어를 끼우러 왔습니다. 딱히 국산이나 미쉐린같은 고급 타이어는 필요치 않고요. 저렴한 중국산이 있는데 더블스타나 청산보다 더 좋은 제품이라고 하는 물건으로 장착합니다. 뭐 중국산 타이어도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만, 지난 겨울에 트레드가 뜯어져 나갔던 딱 한 번을 제외하면 중국산 타이어의 품질 문제로 조기에 교체하는 사례는 없었기에 이번에도 중국산 타이어로 교체합니다.

 

CTM 타이어?

 

지나다니면서 그럭저럭 많이 봤던 CTM타이어라는 회사의 제품입니다.

 

중국에 수많은 타이어 공장과 수많은 브랜드가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입니다. 장착될 제품의 모델명은 XR300. 국내에 385 규격의 타이어는 이거 하나만 수입되네요. 네 줄 짜리 타이어입니다.

 

수입자는 신화타이어

 

수입자는 대전 중구에 소재한 신화타이어입니다.

 

제조자명은 jiangsu general science technology라고 뜨네요. 한자로는 江苏通用科技股份有限公司라고 하는데 2002년에 설립되어 이제 겨우 20년 조금 지난 회사입니다만,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상장기업입니다.

 

장착

 

신차 출고 당시부터 사용했던 브리지스톤 타이어를 내리고 신품 CTM 타이어를 장착합니다.

 

25년 02주에 생산된 타이어네요. 신차 시절처럼 가변축의 이상으로 타이어를 파먹거나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면 이번에 장착하면 못해도 4년 이상은 사용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4년 안에 기변을 하게 된다면 처음이자 마지막 교체가 되겠지요.

 

기존 타이어 상태

 

기존 타이어의 상태입니다.

 

거의 민자까지 왔습니다. 요즘 타이어들은 리그루빙을 염두해두고 나오는지라  그나마 이 타이어는 상태가 좋았던 편이고, 반대편 타이어에 철심이 보여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철심이 보인다

 

반대편 타이어는 완전히 가셨습니다.

 

좀 더 버텨야겠다고 꼬장부리다 터져서 챔버까지 해 먹느니 저 상황에선 당장 교체하는 것이 이득이지요. 그래도 고집대로 버틸만큼 버티긴 했습니다.

 

장착완료

 

장착을 마치고 화물을 상차한 뒤 달려보았습니다.

 

확실히 트래드도 많이 남은 새 타이어라 승차감도 조금은 좋아진 느낌이더군요. 과연 이 타이어가 다 닳아서 한번 더 교체할 때 까지 이 차를 타고 있을지, 아니면 차를 바꾸게 될지 잘 지켜보도록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1축과 2축 타이어를 지금 시점에서 교체해야겠다는 생각은 딱히 없었습니다만, 구리스를 치러 간 김에 요즘 장거리도 자주 다니고 최근 타이어값도 대폭 상승했는데 아직 오르기 전 가격을 받는다고 하기에 그냥 1,2축 타이어를 교체하고 왔네요. 5축 타이어로 여름을 버틴 뒤 1,2축을 뒤로 밀어버릴 생각이었으나 그 계획을 조금 앞당긴 것이 되어버렸습니다.

 

타이어 탈착

 

그냥 요즘 타이어 얼마나 해요? 하고 물어보다가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전륜. 1,2축에 꼽혀있는 타이어는 금호타이어의 KXA17. 2013년 11월에 월동준비를 할 겸 끼웠던 당시 출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던 신제품이던 타이어를 작년 가을에 1축과 2축의 위치를 X자로 바꿔준 뒤 다 닳은 4축에 중국산 새 타이어를 끼워가며 알뜰하게 타고 있었습니다. 그래도 전륜에는 조금 좋은 타이어를 끼워야 조금이라도 승차감이 괜찮아지니 상대적으로 싼 타이어를 뒤에 끼워가며 버텼다는 얘기겠지요.

 

 

프리마 카고트럭 타이어 교체 (금호타이어 KXA17 12R 22.5)

또 타이어 교체 시기가 찾아왔습니다. 지난해 겨울에 파업이 끝날 즈음 1,2축 타이어를 4축으로 보내고 새 타이어를 끼웠었는데 이젠 4축 타이어가 거의 다 닳아서 1,2축 타이어를 다시 4축으로 보

www.tisdory.com

 

금호타이어의 KXA17은 정말 좋은 타이어임에는 분명합니다. 미쉐린 X MULIT Z2와 유사한 패턴으로 사실상 미쉐린의 승차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었으니 말이죠. 다만 생각보다 빨리 닳아버리더군요. 미쉐린과 비슷한 패턴 역시 다 닳아버리니 그냥 네 줄짜리 타이어랑 크게 다를 게 없었고요. 그래도 하중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1축과 2축에서만 굴렸던지라 23년 11월부터 25년 5월까지 그래도 트래드가 40% 수준은 남은 상태로 오래 버틸 수 있었습니다.

 

탈착된 기존 타이어

 

탈착 된 기존 타이어의 모습입니다.

 

거의 다 닳은 것처럼 보입니다만 아직 마모한계선까지는 많이 남았습니다. 일단 이 가게에 킵 해두고 여름이 지난 뒤 5축 타이어가 다 닳으면 그때 5축에 끼워주면 되겠습니다. 그럼 아마 내년 봄까지는 큰 문제없이 버티리라 예상됩니다.

 

그렇게 기존 타이어를 탈거하고 새로 끼우게 된 타이어는 브리지스톤 R118II가 선택되었습니다.

 

브리지스톤 R118II

 

브리지스톤 TBR(Truck Bus Radial)의 스테디셀러인 R118에 내구성을 더한 제품이라고 하네요.

 

2023년에 출시된 이후 이상마모가 있다는 평들이 좀 있어 다시 R118이 시장에 나온다고 합니다만, 그래도 기존 R118 대비 마일리지 성능이 25% 향상되었다기에 좀 더 좋지 않겠나 생각되네요. 23년 11월에 KXA17을 끼웠을 때 역시 같은 가격에 브리지스톤 G540이 있었습니다만, G540은 16PR 타이어인지라 18PR의 금호 KXA17을 끼웠었는데 결국 출고타이어를 다 쓰고 난 다음에도 다시 브리지스톤을 끼우게 되는군요.

 

중국산인데 일본기술이라고 한다.

 

12R 22.5 R118II

152/149L 18PR Japan Technology

 

스펙은 기존 KXA17과 동일합니다. 일본 기술이라고 하는데 제조는 중국이고 한국 도로에 최적화된 컴파운드라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근데 확실히 트래드가 깊긴 깊더군요. 당연히 새 타이어라 그렇겠지 싶지만 유독 깊게 느껴진 것도 이 타이어를 선택하게 된 이유였습니다.

 

타이어 창고

 

타이어 창고에는 다양한 타이어가 있었습니다.

 

한국타이어의 스마트 플렉스 AH89, 금호타이어의 KXA17 그리고 브리지스톤의 R118II가 같은 가격이었는데, 금호 KXA17을 추천하시더군요. 물론 좋은 타이어는 맞습니다만, 같은 가격이면 브리지스톤이나 한 번 끼워볼까 싶어 결정했던 게 가장 큽니다.

 

한국타이어 AH89

 

한국타이어의 최신형 라인업이라고 하는데 이전에 3x 4x대 제품들의 결함이 개선되어 나왔다고 하네요.

 

한국타이어가 예전같지 않다는 이야기도 들렸었는데, 그런 결함을 개선해서 나온 제품이 AH89라고 합니다. 승차감이나 마모도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패턴은 금방 지워져서 큰 의미는 없을 수준으로 보이더군요.

 

금호 KXA17

 

기존에 1,2축에 끼우고 다녔던 금호 KXA17입니다.

 

한국 AH89와 가격은 동일합니다. 패턴도 좋고 승차감도 다 좋은데 너무 빨리 닳았던지라 같은 가격이라면 이번엔 브리지스톤을 끼워보자 싶어 이 타이어들 중 R118II로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장착작업 진행

 

1축에 이어 2축까지 장착작업은 일사천리로 진행되었습니다.

 

23년 11월에 41만원에 1만원을 할인받아 달았던 KXA17과 큰 차이 없는 가격에 장착했네요. 그러고 얼마 지나지 않아 KXA17의 가격이 대폭 올랐다는 이야기를 듣긴 했었는데, 지난번에 장착했던 가게에서는 아마 이 가격보다 조금 더 비싸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1,680,000

 

그렇게 쿨하게 일시불로 168만원을 결제했습니다.

 

언젠가부터 그냥 할부가 싫어지더군요. 요즘은 그냥 낼 수 있으면 한 번에 다 내는게 습관이 되었습니다. 무이자여도 할부를 길게 가져가기 싫어서 생긴 습관입니다.

 

주행

 

이번에 장착한 타이어로 내년 내후년까지 부디 무탈히 버틸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살짝 타 보니 승차감도 조금 부드러워졌네요. 얼마나 튼튼한지 마모의 속도는 어떨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일단은 내년 내후년에 다 닳아 사라질 때 까지 무사히 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