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뭐 며칠전에 1주년을 맞이했던 킥보드 말입니다.... 결국 돌아가셨습니다.



잘 타고 자동차 트렁크에 넣었다 뺀 킥보드의 전원이 갑자기 들어오지 않더군요. 말 그대로 무용지물이 되어 집으로 돌아와 충전을 하니 충전은 잘 됩니다. 충전은 잘 되는데 켜지질 않더군요. 발판을 뜯어봅니다.



이거 뭐 봐도 아나요.


발판 아래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는 노란색 배터리와 은색 컨트롤러. 그리고 배선들이 전부입니다. 혹시나 배선이 끊어지거나 탄 부분이 있는지부터 확인합니다. 펑하고 터진것도 아닌지라 일단은 살펴보기만 합니다.



중국제 컨트롤러.


육안상으로는 아무런 문제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직접 테스트를 해 볼 방법도 없고요. 그냥 가지고 유로휠 당진점으로 갑니다. 당장 있다 없으면 불편하니 빠르게 고쳐야 하기도 하고요.





뭐 육안상으론 문제가 보이지 않습니다.


사장님도 컨트롤러 키박스 등등 확인을 해 봐야 하니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일단 놓고 밥을 먹으러 갔다오니 약 두시간 뒤 연락이 옵니다. 일단 쉽게 확인이 되는 부분은 정상 작동한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핸들을 탈거해야 하는데, 이미 맛이 간 핸들은 한번 빼면 고정이 되지 않을겁니다. 공임도 많이 나올테고요. 결국 새 제품을 구매하기로 마음먹고 이따가 다시 찾아갈테니 충전을 부탁드렸습니다.


그렇게 1년동안 엄청난 고생을 했던 킥보드는 사망판정을 받았습니다. 새 제품 셋팅과 더불어 악세사리 부착 그리고 기존 제품의 활용과 관련된 이야기가 2부에서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대천. 보령. 서해안의 대표 해수욕장인 대천해수욕장이 소재한 보령시의 중심지. 옛 대천시 지역.


대천이라 불리는 지역의 버스시간표입니다. 터미널의 정식 명칭은 보령종합터미널이며, 바로 옆에 이마트와 대천역이 소재해 있어 쇼핑을 하거나 기차로 환승하기에는 매우 용이합니다. 다만, 시내버스의 경우 아직도 구터미널과 구 대천역을 중심 기점으로 삼아 움직이기에 해수욕장 방면으로 가는게 아니라면 터미널을 경유하는 100번 버스를 타고 구도심으로 나가서 버스를 갈아타야만 합니다. 


일부 직통 노선도 있지만, 대다수의 노선이 군산에서 출발하거나 홍성 예산등을 경유하여 올라가기에 중장거리를 간다면 버스보다는 철도가 유리한 편이긴 합니다. 그렇지만 장항선 열차가 그리 자주 있는건 아니고 일단 여름만 오면 엄청난 인파가 몰리는 동네기에 터미널의 수요는 어느정도 있습니다. 




지상 2층 규모의 터미널 건물입니다. 비교적 넓은 대합실과, 미로처럼 얽힌 상가들이 있네요.


일부 상가의 경우 공실로 남아있기도 하고, 오후 6시가 조금 넘은 시간임에도 일찌감치 영업을 종료하기도 합니다. 2층에는 예식장이 있어 주말에는 다소 혼잡하리라 예상됩니다.



시간표는 최근에 보기 좋게 바뀐듯 보입니다. 


크게 수도권 방향 노선과 대전,충청권 방향 노선이 존재합니다. 대전과 충청남도를 제외하고 다른지역으로 나가는건 장항을 넘어 군산으로 가는 일부 버스 말곤 없고요. 전국민적인 인지도를 가진 관광도시임에도 생각보단 버스 노선의 폭이 좁습니다.



소요시간까지 친절히 적혀있습니다.


강남(센트럴시티)행 직통노선은 2시간이 소요되며 20분~1시간 간격으로 9시 30분까지 운행됩니다.

남부터미널(서초동)행 노선은 광천,홍성,내포를 경유하여 2시간 50분이 소요되며 일 2회 운행합니다.

동서울터미널(구의동)행 노선 역시 광천,홍성,내포,고덕까지 경유하여 3시간 10분이 소요되며 일 6회 운행합니다.

인천터미널행 노선은 1시간 50분이 소요되는 직통은 일 7회. 3시간이 결리는 완행은 일 2회 운행합니다.

성남터미널(야탑)행도 광천,홍성,내포,고덕까지 경유하여 2시간 40분이 소요되며 일 4회 운행합니다.

안양역과 부천터미널을 거쳐 고양터미널(백석동)으로 들어가는 버스는 일 5회 운행됩니다.

안산터미널행 역시 광천,홍성,내포를 거쳐 3시간 10분이 소요되며 일 3회 운행합니다.


광천,홍성,내포는 기본 경유지이고. 상황에 따라 신례원 예산 혹은 고덕까지 경유합니다. 끔찍합니다.



김포공항을 거쳐 인천공항을 가는 노선도 자차 이용을 권장하는 수준의 소요시간을 자랑하네요.

충청도 방향 노선도 별반 다르지는 않습니다.


서천,장항,군산행. 군산 직통 일 10회 장항경유 일 1회. 서천경유 일 6회.

홍성,예산,아산,천안행. 홍성종착 2회. 광천,홍성,내포경유 일 8회. 청양,운곡,신양경유 일 1회.

해미,서산,태안행. 일 7회. 갈산,고북경유 일 2회.

당진행. 일 2회. 내포신도시 경유.


대전 무정차. 대전복합터미널(동대전)행 일 7회 1시간 50분 소요. 서대전행 일 10회 1시간 40분 소요.

청양,공주,유성,대전행. 청양종착 일 2회. 서대전행 일 10회. 동대전행 일 6회.


장항선 라인에 있는 동네들은 가급적 철도 이용을 권장합니다.



요금표입니다. 경유지가 많은 완행노선들이 대다수이다보니 버스요금도 생각보단 비싼편입니다.


전주,광주행 노선은 여름 휴가철에만 한시적으로 운행한다고 하네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