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동킥보드를 구매하여 타고다닌지도 벌써 1년이 지났습니다.


사실상 스쿠터급의 속도를 내는 퍼스널 모빌리티로 신세계를 맛보았고, 많이 넘어지고 다치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1년을 타면서 수리비로도 많은 돈을 썼고 걸레짝과 같은 상태로 굴러가니 굴리는 상황입니다.




1년을 탔습니다.


당시 출시된지 얼마 안된 유로휠의 TS600의 부분변경모델을 100만원 가까운 돈을 주고 구매하여 그 중 비가오는 날이나, 눈이 내리던 날을 제외하고 거의 매일같이 타고 나갔습니다. 크게 다쳤음에도 도심에서는 이보다 빠르면서도 접어서 차에 싣고다니거나 대중교통을 이용 할 수 있는 이동수단이 없기에 위험을 감수하며 타고다녔습니다.


여튼 그동안 통으로 된 후륜 러버타이어만 총 세번 갈았고, 발이 닿는 부분은 칠이 다 닳아버렸습니다. 



주행거리는 4400km. 하루에 11.9km를 주행한 셈.


최초 구매가 10월 24일이고 촬영일이 27이니 368일로 나누어 보니 11.95 12에 가까운 수치가 나옵니다. 즉. 하루에 12km씩 탔다는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물론 얼마 타지 않고 가지고만 다닌 날도 있고, 어떤날은 배터리를 바닥까지 써가며 40km 넘게 달리기도 했으니 평균치인거죠.


뭐 많이 타고다니는 만큼 상태는 좋지 못합니다.



핸들바는 이미 고정의 기능을 상실하여 테이프로 붙이고 다닌지 오래입니다.


고정해주는 심이 부러졌습니다. 고치려면 싹 다 갈아야 합니다. 물론 폴딩을 위한 잠금장치 역시 다 닳아서 갈아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선 바디 전체를 갈아야 한다고 합니다. 어디까지나 수리비의 압박으로 고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뭐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고 적응하니 탈만하고 일단 굴러는 잘 가니까 타지만 말이죠. 



핸들도 휘어서 조금 갸우뚱하게 갑니다.


핸들은 이전에 한번 갈았습니다만, 또 휘어진지라 포기하고 그냥 타고 있습니다. 가끔 조향이 마음대로 되지 않아 식겁하기도 하지만, 적응하면 별 문제는 없네요. 여튼 앞으로 얼마나 더 타고 새 킥보드를 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계속 타는 그날까지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P.S 8인치 킥보드 중 사실상 최고성능을 내는 제품인데 최근엔 배터리 용량을 줄인 저가형 동일모델이 나오고는 있지만, 바꾸더라도 같은 모델로 바꾸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은 당진터미널입니다.


당진터미널은 주소는 수청동이지만 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걸쳐 계획 및 실시된 도시계획에 따라 조성된 원당지구에 소재해 있습니다. 본래 터미널은 읍내동. 구도심의 로타리 앞. 현재의 진원스타타워 자리에 소재해 있었지만, 심각한 교통체증의 원인이 됨에 따라 95년 출범한 민선 1기 시절부터 꾸준히 이전 계획을 세워 2003년 9월. 현 위치로 이전하여 영업을 개시했습니다.


터미널을 필두로 도시스러운 개발이 진행된 원당동 및 수청동 일대 원당지구는 15년이 넘는 세월동안 '신터'라 불리우며 2000년대 후반까지 당진시 상권의 중심을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CGV를 필두로 한 우두동 일대로 상권의 중심을 많이 빼앗겼지만, 그럼에도 당진시 주요 상권을 대표하는 그러한 당진터미널 이야기입니다.




처음 영업을 개시했던 당시만 하더라도 깔끔하고 산뜻했던 2000년대 스타일의 터미널이였는데..


세월은 많이 흐르고 흘러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는 민자터미널이 많이 생겨남에 따라 비좁고 부족해보이는건 사실입니다. 지난해까지 충남고속이 위탁운영을 해 왔으나, 현재는 당진시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당진 종합버스터미널은 당진군민의 생활편의에 기여하고자 발전소 주변지역지원에관한 법률에 의하여 

총 사업비 172억원중 96.5억원을 당진발전본부에서 지원받아 건립한 건축물입니다.


준공년월일 2003.5.17


이제 지어진지 15년. 생각해보니 벌써 세월이 그리 흘렀나 싶습니다만, 15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습니다.



현재 터미널 주기장 내 아스팔트 포장을 새로 하고, 화장실의 리모델링 등 여러모로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중입니다.


시간표 역시 근래에 새로 단장한 모습이지만, 그 사이에 시간표의 변동이 생겨버렸네요.



일부 태안 혹은 서산발로 당진을 경유하는 차량도 섞여있지만, 당진 자체에서도 수요가 나오는 몇몇 노선의 경우 당진에서 직접 출발하기도 합니다.


서울 강남(센트럴시티) - 오전 6시부터 2~30분 간격. 일 9회 기지시 경유.

서울 남부터미널(서초동) - 일 10회. 기지시 경유. 일 1회 신평,삽교천 경유.

동서울터미널(구의동) - 일 6회. 기지시 경유. 일 1회 신평,합덕 경유.

 

인천터미널(관교동) - 일 17회. 기지시 경유. 일 4회 신평,삽교천 경유.

의정부터미널,동두천 - 일 3회. 기지시 경유. 일 1회 동두천착.

안중터미널,평택터미널 - 일 13회. 기지시,신평,삽교천,밀두리 경유

인천공항(T1,T2) - 일 12회. 기지시 경유.

김포공항,고양 백석터미널 - 일 12회. 기지시 경유.

수원터미널 - 일 10회. 기지시,신평,삽교천 경유.

광명터미널,안양역 - 일 15회. 기지시 경유.

부천터미널(소풍) - 일 11회. 기지시 경유.

성남터미널(야탑) - 일 8회. 기지시 경유.

안산터미널 - 일 13회. 기지시,신평 경유.


광주광역시(유스퀘어) - 일 6회. 당진착 서산경유 광주행

 




대전복합터미널(동대전) - 일 15회. 1시간간격. 일 6회 기지시 경유

예산,공주,세종,유성 경유 대전복합터미널 - 기지시,신평,합덕,예산경유 일 2회. 공주행 일 3회. 세종시 일 1회.


내포시,보령(대천),군산 - 일 2회. 고속도로 경유.

천안행 - 합덕경유 일 14회. 삽교천경유 일 10회. 아산 직통 일 1회. 각 일 1회 천안경유 안성,춘천착.

서산,태안행 - 7시 20분부터 밤 10시까지 수시운행.

제천행 - 일 3회. 평택 직통.


동부산(노포동) - 일 4회. 기지시 경유.

서부산(사상) - 일 2회. 기지시 경유.


구미터미널,포항터미널 - 일 1회. 기지시 경유

동대구터미널 - 일 6회. 기지시 경유

울산터미널 - 일 1회. 기지시,신복 경유




요금표입니다. 일부 우등과 일반차량이 함께 다니는 노선의 경우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터미널 플랫홈은 15개. 빠른 번호부터 8번까지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가 사용하고, 나머지는 시내버스용입니다.



시내버스 시간표가 복잡하게 있긴 합니다만, 당진시청 홈페이지에서 보시는게 훨씬 깔끔하고 빠릅니다.


가야하는 방향이 어느 방향인지 잘 확인하시고 아래 페이지에서 .pdf 파일을 확인하십시오. 일부 노선의 경우 구터미널을 경유하여 터미널로 들어오지만, 대다수의 노선이 당진터미널에서 출발하여 구터미널을 경유합니다.


https://www.dangjin.go.kr/kor/sub05_07_04.do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