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차접종일이 왔습니다. 2차도 잔여백신 접종이 허용된 이후 중간에 맞으려 했었습니다만, 모더나는 잔여분이 꽤 많이 뜨는데 화이자는 애초에 뜨지도 않더군요. 1차를 아스트라제네카를 맞았으면 모르겠는데 교차접종이 허용되지 않는지라 2차 접종까지 기다렸습니다.

 

그리고 오늘 막 2차 접종을 마쳤습니다. 아직까지는 멀쩡하네요.

 

2021.08.25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코로나19 백신 접종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접종 (화이자)

잔여백신을 신청하여 화이자 백신을 맞았습니다. 예약이 이번주 토요일이기도 했습니다만, 합덕에 있던 와중 잔여백신이 떠 백신을 맞았습니다. 19세 이상 일반인 접종이 26일부터 본격적으로

www.tisdory.com

 

합덕아산병원

본래 접종 예약은 3시였습니다만, 1시 30분 이후 아무때나 오라고 해서 조금 일찍 다녀왔습니다.

 

병원은 사람들로 붐비네요. 저를 포함하여 3명이 2차접종을 위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1차와 동일하게 문진표를 작성하고 의사선생님을 보고 1차때 별다른 특이동향이 없음을 확인하고 주사실로 향합니다. 확실히 두번째 맞는다고 처음보다는 익숙하게 느껴지네요.

 

주사 자체는 아프지 않습니다. 접종 후 15분간 병원에서 대기합니다.

 

 

예방접종증명서

2차접종까지 모두 마쳤기에 예방접종증명서가 발급됩니다.

 

1차는 8월 25일에. 2차는 10월 6일에 접종했습니다. 국민의 절반 이상이 접종을 완료한 상태에서 무슨 마패처럼 쓸 수 있는 물건은 아니지만, 어디 가서 접종 다 끝났다는 증거로 들이미는건 가능합니다. 뭐 가끔 이상한 틀딱TV의 근거없는 주장을 보고 위험하다며 접종을 하지 않겠다는 사람들도 나타납니다만, 바빠서 시간을 내지 못해 접종을 못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그런 이상한 주장은 걸러듣고 접종을 했으면 합니다.

 

예방접종 안내문과 접종완료 캔뱃지

1차 접종 당시 받았던 안내문과 동일한 내용의 안내문을 또 받습니다.

그리고 접종 완료 캔뱃지도 주네요.

 

항시 종이를 들이밀기는 어려우니 이 캔뱃지로 접종을 마쳤다는 사실을 알리라고 합니다. 병원에 머무는 15분간 다행스럽게도 별다른 이상은 없었습니다. 다만 얼굴이 좀 화끈거리기는 하네요. 2차 맞고 응급실에 갔다는 얘기도 듣고 꽤나 고생했다는 얘기도 들었습니다만, 부디 큰 후유증 없이 넘어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천안 모처에 딱 하루 세워두웠던 젠트라.. 다음날 타러 가보니 새똥 테러를 맞았습니다.

 

하 씨발....

풀코스 세차를 마치고 보름 이상 지하주차장에 모셔두었는데, 타고 나오니 이지랄입니다 ㅠㅠ

 

이 자리에 주차를 하기 전 바닥에 새똥자국도 일절 없었고.. 별 생각도 없었는데... 하필이면 커다란 새똥을 여러개 맞았습니다. 다행히 세차용품을 이 차에 넣어두고 옮기지 않았던지라 근처 세차장으로 향했습니다. 천안에서 잠시 살았던게 얼추 10년 전 일이기는 한데, 역말오거리에 세차장이 있었던 사실이 기억이 나 그쪽으로 향했습니다.

 

역말오거리의 셀프세차장은 리모델링만 했지 그대로 영업하고 있더군요. 여튼 세차를 마치고 또 옛 추억에 젖어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를 한바퀴 둘러보고 오기로 합니다.

 

역말오거리에서 북일고등학교를 거쳐 단국대학교 가는 길로 나가다가 단국대학교 진입 전 우회전 해서 큰길로 큰길로 나왔습니다. 지금은 새로 아파트가 생겨서 온전한 이전 기억과 같은 길은 아니지만, 그냥 하나하나가 추억이더군요.

 

상명대학교 정문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로 들어갑니다.

 

내년이면 만으로 10년이네요. 학교로 들어가는 길목도 많이 변했습니다. 캠퍼스를 한바퀴 돌아 내려오는데, 독도 근처에 좐선배라 부르던 사람 모양의 조형물은 사라졌더군요. 그거 말곤 건물도 그대로 딱히 바뀐건 없었습니다.

 

한누리관 너머 본관 뒷편에 파란 젠트라가 보인다.

에이 별거 없네 하고 한누리관을 거쳐 내려가던 길에 파란색 젠트라를 목격했습니다.

 

14인치 알루미늄휠이 적용된 1.2 SX 오토입니다. 젠트라X 중 가장 흔히 보이는 모델입니다. 이 근처에 세워두는 교직원의 지역번호판 비스토가 있었는데, 대략 2~3년 전부터 보이지 않더군요. 뭐 비스토가 사라져서 아쉬웠지만, 비스토 말고 가끔 찾아와서 함께 사진을 찍을만한 차가 있다는 생각에 기쁨을 감출 수 없었습니다.

 

GENTRA X

앞뒤로 젠트라X의 모습이 보입니다.

 

광각렌즈라 왜곡이 있습니다만, 파란색 젠트라가 보이면 나란히 세워두고 사진을 촬영합니다. 역시 교직원의 차량으로 보이는데, 뒷유리에 중고차 딜러의 광고용 스티커를 붙였던 흔적이 남아있더군요.

 

뒷모습만 보면 그냥 같은차.

뒷모습만 보면 그냥 같은 차량입니다.

 

저 차도 레터링만 CDX 16을 붙여두었지 1.6 모델에는 기본으로 15인치 알루미늄휠이 적용되었습니다. 고로 1.2 SX의 레터링 갈이라 보면 됩니다. 그렇게 인기가 있던 차도 아니고 꽤 많은 차량이 수출길에 올라 씨가 마르고 있음에도 찾아보면 꽤 많이 보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같은 색상의 차량과 나란히 세워두고 사진도 찍을 수 있지요.

 

옆에서 보면 조금 다르다.

뒤에서 보면 큰 차이를 느끼긴 어렵지만, 옆에서 보면 조금 다르게 생겼습니다.

 

측면 디자인 차이가 보여지는 이런 사진을 개인적으로 좋아합니다. 문짝이나 유리의 형태도 다르지만 라인도 조금 다릅니다. 칼로스처럼 전면과 후면의 미묘한 차이가 있는것도 아니고 전면과 후면 디자인은 동일하지만, 미묘하게 차이를 뒀다면 조금 더 팔리지 않았을까 싶네요.

 

우측 헤드램프만 누렇다.

이 차도 우측 헤드램프만 백화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제 차도 마찬가지로 좌측만 교환되어 우측 헤드램프는 출고 당시 물건인지라 백화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이 차량 역시 범퍼의 도장 흔적이 보이는 바 좌측으로 파손이 있었던 차량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특유의 병신같은 범퍼 디자인 탓에 앞에 긴 번호판을 달아놓으니 양 옆으로 뜨는 공간이 보이네요. DIY를 거친 제 차는 멀리서 보면 그런 공간이 보이지 않습니다.

 

내년에 와야지

여튼 젠트라로 시작해서 짧은 상명대 구경을 거쳐 젠트라로 끝납니다.

 

작년에는 8월에 다녀갔었네요. 매년 한 번 찾아오는 성지(?)같은 느낌입니다. 내년에 다시 찾아오기로 합시다. 내년에는 많은 변화가 있기를 소망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